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반양장)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청미래 / 2002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을 교재로 쓴다면 '사랑의 이론과 실제 - 만남에서 이별까지 A to Z' 정도로 붙일 수 있지 않을까?

이 책은 소설이란 제목을 붙여놓지 않았다면, 문학 코너가 아닌, 심리학 코너에 전시될 법한 책이다.

글을 읽는 내내, 이런 식으로 분석적으로 바라보면, 정말 사랑할 수 있기나 한 거야?하는 생각이 든다.
사랑할 때는 두 눈이 멀어 버리고, 눈 위에 콩깍지가 씌이는 거라는데...
이렇게 냉철하게 분석하고 있어서야, 원.

사랑에 빠졌을 때는, 아주 마음에 드는 상대방의 어느 한 부분을 그 사람의 성격 전체로 확장하는 <환유>의 오류에 빠지는 거다. 좀 문학적인 표현이지만, 쉽게 말하면, 사랑은 중독이고 미망(길을 잃고 헤매는)이라는 것이다. 희미한 착각 속에 빠져 화려한 오해를 하고 있는 셈이다.

보통은 참 대단하다.

처음 구애할 때, 모든 의심들을 '그가 나를 바라는 것일까?'하는 한 가지에 몰두하는 과정서 부터,
전화를 하지 않는 연인의 악마같은 손에 전화가 들어가면 고문 도구가 된다는 집착의 단계,
너무도 매력적인 상대방 앞에서 입을 다물고 있으면 구제불능일 정도로 자기 자신이 한심하게 보이는 자기학대의 단계, 이것을 말의 변비라고 표현한 작가는 탁월한 언어의 마술사다.
뮐러 - 리어의 착시처럼 똑같은 선 양쪽 끝에 붙어 다르다는 인상을 주는 것이 사랑으로 여기는 환각의 단계.
나의 슈퍼 에고가 너의 에고를 공격하면서 싸우는 과정.
그리고 우리만의 약속인 언어를 만드는 친밀한 단계를 넘어
사랑하는 사람은 나의 배경이 아니라 함께하는 사람임을 확인하는 완성 단계까지...

사랑은 누구에게나 오지만, 누구에게나 꼭같이 오는 것은 아니다. 그야말로 그때 그때 다른 것이고, 마음 속에 있는 것이다.

그래서 사랑은 영원한 노스탤지어라고 한 것일까?
20세기까지의 소설이 인생을 모방한 것이어서, 플라톤이 제거하려했던 그것이라면,
이런 소설들은 소설은 인생을 모방하는 것에서 한 단계 더 넘어선, 포스트모던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
소설을 통해 세상을 바라볼 수 있는 눈을 가지게 하는, 깨는 소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6-04-07 2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직 못 읽어본 저는 두렵기만 하군요

캐서린 2006-04-08 2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랑에 대한 글을 이렇게 써가리라곤 상상도 못해본 책이었지요...보틍은 정말
보통이 넘었습니다...

글샘 2006-04-08 23: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늘바람님... 두렵긴요. ㅋㅋ 읽어 보세요. 재밌습니다.
캐써린님... 정말 보통 이상인 소설이었어요. 반갑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