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Book] 물의 연인들
김선우 지음 / 민음사 / 2012년 11월
평점 :
이 소설은 그의 시집 <나의 무한한 혁명에게>의 사랑 이야기가,
이명처럼 들려오는 귀를 쩡쩡 울리는 '강 살리기'란 이름으로 자행되는 '강 죽이기'에 대한 사고들과
얼키고 설켜 하나의 구조물이 되어 나타난 이야기다.
소설을 '허구'라고 한다.
영어의 'fiction'이 지어낸 이야기~란 뜻이라는데,
한자어 '허구'에 담긴 의미가 더 그럴 듯하다.
암튼, 소설은 하나의 '구조물, 구성품'인 것인데, 그 구조물이 얼기설기 엮인 재료는 언어인 것은 같지만,
그 언어들이 지어내는 형상은 작가의 생각에 따라 다르다.
김선우의 글들 중 가장 빼어난 것은 시이며, 다음은 수필이다.
그의 소설은... 아쉬움을 가득 안고 있다.
강물 이야기가 너무 작위적으로 구조물에서 두드러져 보이고,
또, 이야기를 얽어매는 데 엉성하다.
'개연성'이 없다고 할 수 있겠다.
소설 속 인물들이 정말 내 곁에서 살아 숨쉬는 것처럼 보여야 '형상화'에 성공하고 있는 작품인데,
김선우의 인물들은 어린 시절 만화 속에서 읽으며 느끼던,
내 상상 속의 구조물 속의 인물들처럼 느껴져 다소 실감이 떨어진다.
그러나, 이 소설은 나에게 어떤 점에서 아주 의미있는 책이었다.
버려진 기억이 있는 사람들은 사랑이 어려워요.
사랑해도 사랑한다 말 못하기 일쑤죠.
버려졌던 사람들은, 뭐 전부 그런 건 아니겠지만,
아무튼 저는, 그래서 더욱더, 동정받는 게 싫어요.
그냥 대등하게 이해해 주는 거, 그거면 충분해요.(223)
해울이 한 이 말은 내 소중한 친구가 했던 이야기이기도 했다.
그리고 해울에게 수린이 던진 이 말은 내가 그 친구에게 건넨 이야기이기도 했다.
다섯 살짜리였던 수린이,
눈물이 가득 고인 채로, 내게 다가와서, 내 얼굴에 손을 내밀어 내 뺨을 만졌어요.
"아파?"라고 묻더군요.
처음 보는 나를, 안타까워하면서 "아파?"라고 묻는 수린의 마음엔 동정같은 게 없었어요.
아프냐고, 진심으로. 그냥 묻는 거였어요.
아프지 말라고, 진심으로. 단지 그 마음만으로, 절실하고, 따뜻하게...(223)
이 페이지를 읽는 것 만으로도, 그 친구와 내가 충분히 공감했던 이야기가 떠올라,
마음이 저리기도 하고 따뜻해지기도 한 부분이었다.
<여주강 이포의 일출>
작품에 등장하는 Y강과 은륵사는 '여주강'과 '신륵사'를 떠오르게 하는 지명들이었다.
와이강, 은륵사로 바꾼 것은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토막나고 파헤쳐지고 적출되는 와이강이 유경의 머릿속에서 유린, 구타, 강간, 폭행, 모멸, 증오, 살인 같은 단어들을 마구 끄집어 내고 있다.(129)
이런 부분은 소설로 보기엔 지나치게 생경하다. 많이 아쉽다.
셀 수도 없이 많은 무언가를 죽이고 다니면서 아무렇지도 않게 살았다.(106)
생명을 노래하는 시인 김선우기에 이런 구절이 등장하는 것은 이해하지만,
아무래도 시에서 뜬금없이 이야기할 수 있는 구절들이 소설에서 긴밀하지 못하게 널브러져 있는 걸 보는 일은 아쉽다.
모친과 부친의 결혼과 가정폭력, 도피와 살인, 자살... 로 이어지는 유경의 가족력은
물의 연인들이 추구하는 '달콤한 사랑'과 '쓰라린 작별'의 이야기와 덜그럭거리면서 겉도는 느낌이다.
이야기의 매력적인 소재들이 필연성을 갖지 못할 때, 독자는 집중하기 힘들어진다.
사랑한다고 여겨 관계를 맺은 어떤 남자에게서도 결코 느끼지 못한 감정이 유경을 뒤흔들었다.
그와 함께 있으면 몸 전체가 성감대가 되는 것 같았다.
'꽃이 성기'라는 닳고 닳은 말을 빌리자면 온 몸이 꽃이 되고 있는 느낌.
자신의 온몸이 꽃이 되어 그를 향해 페로몬을 풍기고 있는 듯한 그런 느낌이 전혀 수치스럽지 않았다.(33)
이렇게 시작되는 사랑 이야기를 제대로 이끌고 갔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는다.
사랑은 그런 것이다.
자기를 버리고 상대방에게 투항하는 마음.
그래서 수치스러움이나 부끄러움 따위 서로 갖춰 챙길 필요 없는 마음 말이다.
거긴 더러운데.
세상에! 무슨 소리야, 여기가 왜 더러워?(138)
사랑하면, 더러운 것 하나 없다.
그게 사랑이다.
사랑에 대하여...
어떤 앎은 그런 식으로도 오는 것이다.
이해가 안 갔던 부분~~~
242. 조난당하며 깨진 쇄골이 심장을 찌르고 들어간 것... 글쎄, 의학적으로 가능한 일일까? 늑골의 착오지 싶다. 목 부분의 쇄골이 심장을 찌르려면... ㅠㅜ 상상력이 부족한걸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