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세계 살림지식총서 85
강유원 지음 / 살림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지구에 살고 있는 사람들 중 절대 다수가 책을 읽지 않는다...로 이 책은 시작한다. 

책을 읽는 행위는 인간이란 '종'이 동물이란 '유개념'의 다른 종들과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는 '종차'로서 인간을 정의할 수 있는 특성이기도 한데... 그럼... 읽지 않는 인간은 무엇인가... 

한국이란 나라에서 사는 일도 피곤하지만,
한국이란 나라에서 팔리는 책들이란... 우스울 때도 많다.
어쩌면, 성경(이건 미친 일이다. 교회쟁이들은 툭하면 성경을 몇 권씩 사서 선물하고 하더라. 헐~)이 많이 팔린다고 하지만, 그건 편집광들이 벌이는 일종의 돌려막기니 그렇다 치고, 운전면허를 위한 크라운 출판사의 문제집이 2등을 차지하며... 그 외의 가장 큰 시장은 아마도... 고등학교 입시 문제집이 아닐까 싶다. 그 뒤로 만화책이나 어린아이들의 책, 교육청 지정 독서 경시대회 대상도서 같은 것... 

이번 겨울에 강유원과 책읽기란 강좌를 들으면서, 나처럼 닥치는 대로 독서하기가 좋지 못한 습관임을 많이 생각한다.
독서를 통하여 세계를 바라보는 <창>의 프레임을 만들고, 그 프레임이 제공하는 세계관으로 세상을 분석하고 해석할 수 있어야 하는데... 그것이 독서의 존재 목적이 되어야 하는데... 나의 책읽기는 그닥 목적적이진 않았다. 우선, 고전이라 일컬어지는 것들...(그것이 서양 편향적이든 아니든 간에)에 대해서 겁이 많았고, 사실 그런 것들을 읽으려 노력하지 않았던 것은 아니지만, 노력에 비해서 결실이 없었던 비극적 과거가 고전을 쉽게 손에 들어오게 하지 않았던 모양이다. 

이번 연수를 통하여 고전에 대해 조금이라도 만만한 마음을 가졌으니 그건 좋은 일이다.
엊그제 부산시민도서관의 e-book을 검색하다가... 제법 쓸만한 책들이 많은 것을 발견했다.
전에 남구 도서관과 부전 도서관을 찾았을 때는 별로 볼 것이 없었는데 말이다.
전자책이 비주얼이 조금 부족하긴 하지만, 손쉽게 볼 수 있고, 여러 번 찾아볼 수 있단 점에서 좋은 점도 있다. 그렇지만... 아무래도 종이책을 넘기는 맛, 그리고 책꽂이에 꽂아두고 뿌듯해하는 맛은 떨어진다.  이 책은 전자책으로 보기엔 좀 아쉬운... 그러나 한번 읽는 책이지, 사기까지는 좀 그런... 책이다. 가치가 없단 얘긴 아니다. 연수도 듣고 했으니 한번 읽고 더 넓은 지평으로 독서의 눈을 넓혀야 하리란 이야기다. 

'작품 work'이란 용어가 'text'란 용어로 대체되어 쓰인 것이 제법 오래 되었다.
작품이라고 하면... 작가가 공들여 창작한 '물 자체'의 것이란 의미가 담겨있는데,
텍스트는 놓인 상황에 따라... 곧, context에 따라 전혀 다른 것이 될 수도 있다는 의미가 있다. 

이 책에선 책을 컨텍스트에 따라 읽기...라는 강유원의 시점을 따라 여행하는 것이다.
좀 내용이 튼실해서 고전 읽기 특강 형식으로 300페이지 정도 되었으면 좋았겠는데, 93페이지로 끝나는... 용두사미 격의 책이어서 조금은 실망스럽다.  

길가메시서사시나 모세5경, 일리아스와 플라톤의 국가론 읽기는 고전을 어떤 눈으로 보아야 하는지를 친절하게 읽어주는 글이다. 이런 글들을 좀더 세밀하게 적어주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그 시대의 매체, 곧 진흙판과 파피루스 등에 대해서도 살피고 있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기, 그리고 중세의 신국, 신학대전, 미켈란젤로를 그야말로 간결하게 살피고 다시 중세의 출판 문화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다룬다. 

리바이어던과 국부론, 종의 기원으로 책은 마무리되는데... 마리앙투와네트와 결합된 포르노그라피를 읽으면서... 글자로 나타내어진 것과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났던가를 제대로 읽는 일의 중요함과 어려움을 다시 생각한다.  

읽는 일은, 제대로 읽는 일을 배운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누군가는 자기 입장을 강변하려 거짓을 과장하여 적을 수도 있는 일이지만, 그것을 곧이곧대로 믿는 일은 독서하는 동물로서의 인간이 할 짓이 아니다.
용산 참사를 두고, 용역의 잘못이 있는지 조사한다는 둥, 다시 군포 살인 용의자를 엄청 강조하는 등 하면서 얄궂은 경찰청장 사퇴의 물타기를 조장하는 작금의 글자들을 보면... 읽지 않는 자 망할 것이 뻔하다는 생각이 든다. 

고전을 열심히 읽으라고 해 놓고는... 고전 속을 헤엄친다고 올바른 눈을 갖게 되는 것도 사실 아니라는 마지막 말들은... 그만큼 책읽기 작업의 어려움을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일이기도 하겠다. 

이 척박한 땅에서 자기 관점을 가지고, 세상을 바른 방향으로 지어 나갈 수 있도록, 철학적 바탕을 가진 독서를 강조하는 강유원 선생의 작업이 더욱 탄탄한 대중적 기반을 닦아 나가기를 바라는 마음 크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늘빵 2009-01-26 23: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 글샘님 강샘에게 단단히 빠지셨군요. 저도 한번 뵙고 싶네요.

순오기 2009-01-29 15: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고전읽기~~~~ 어렵고 겁나지만 매력있는 독서!
내가 제대로 읽어내고 있다곤 생각되진 않지만 열심히 읽어내려고 노력은 한답니다.^^

marine 2009-02-24 00: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래 전에 읽었던 책인데 글샘님 서재에서 만나보니 반갑네요. 다시 읽어 봐야겠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