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바람돌이 님이 주제 사라마구의 책을 칭찬하시는 바람에 학교 도서관에 물어봤더니 이 책이 있었다. 그래. 눈뜬 자들보담, 먼저 감은 자들을 읽어야쥐... 하고는 어제 시립 도서관에 갔더니 눈뜬 자들도 있어서 빌려다 두었다.
이 소설은 어마어마하게 메가톤급으로 재미있게 시작한다.
근데, 중간 넘어가면서는 주제 사라마구가 존경스러워졌다. 이런 소설을 어떻게 끝냈을까 싶도록...
뒷부분은 겨우 읽어냈다.
얼마나 신선한가.
어떤 한 사람이 갑자기 세상이 하얗게 되는 실명증에 걸린다.
그런데 정말 놀라운 상상력은 그 증상이 전염성이 있다는 것이다.
작가는 솔직히 말하면 이 두 가지 모티프만 만들었을 뿐이다.
그 이후엔 당연히 저질스런 말종 인간들이 이야기를 끌어 간다.
그 이야기는 미국이었든, 포르투갈이었든, 아니면 한국이었든 비슷하게 전개되었을 것이다.
현대 과학이라는 보잘 것없는 힘을 믿고 자연 위에 군림한다고 착각하고 있는 인간을 망가뜨릴 수 있는 길은 아주 쉬운 것들이다. 그렇다. 결국 인간은 이런 사소한 질병 하나로 멸망해 버릴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소설은 상상 소설이 아니다. 미래에 일어난 일을 그냥 그렸을 뿐인 실화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주제 사라마구는 엄청난 흡인력으로 독자를 끌어당긴다.
인간은 제 앞길도 모르기때문에, 점집이 흥성한다.
그런데 인류의 앞길을 보여주는 이런 소설이 안 팔릴 도리가 있나.
이 소설은 우화 소설의 알레고리를 쓰는 것처럼도 보이고, 인간 세상을 소설에 빗대서 깨우치려는 것처럼도 보이지만, 알 필요도 없는 사람들 - 눈 멀고 나니 아무 쓸모가 없는 안과 의사 양반, 의사의 부인, 맨 처음 눈먼 사람, 그의 아내 등... 의 이름도 없고, 그 공간도 얼마나 좁은지 말할 수도 없다. 그렇지만, 그 좁고 냄새나고 더러운 곳에서 제 앞길도 모르면서 잘난 체 하고 떠드는 것들이 인간이란 점을 이처럼 잘 보여주기도 어렵다.
다만 내 바람이라면, 이 소설이 딱 절반 두께만 되었으면 얼마나 환상적이었을까... 하는 것이다. ^^ 너무 오래 가면서 상황 자체가 지긋지긋했기 때문인데, 그것이 이 소설의 주제가 노리는 것인지도 모른다. 주제, 주제라... 사라 마구!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