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제록 강설 - 무비 스님
무비 지음 / 불광출판사 / 201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무비 스님이란 분이 계시다. 내가 불자가 아니어서 잘은 모르지만, 그분의 금강경 강의 같은 걸 읽다 보면 참 쉬우면서도 적절하게 설명하시는 분이란 생각이 들었다. 스님께서 선 불교의 고전, 임제록을 강의하신 말씀을 적어둔 책이다.

임제 선사의 가르침은 '불교는 쉽다'는 것이란다. 지금의 불교는 다 거품이라는 것이다.
복잡한 불교 이론들을 공부하면서, 길을 찾아가려고 수행을 하는 '짓거리'는 모두 두상안두 頭上安頭란다.
머리 위에 어찌 머리가 있을쏘냐. 머리 위에 머리를 두면, 그건 괴물이다.
이미 부처인 존재에게 부처에게 가는 길을 적거나 말한 것들은 모두 똥닦는 종이에 불과하다는 과격하지만 곧장 지르는 직지의 '할'을 보여주시려 한 것이다.

마음이 혼란스러운 제자에게, 네 마음을 가져 오면 내가 고쳐주겠다고 하신 분. 마음을 찾을 수가 없습니다... 원래 없는 마음을 고쳐 줄 것도 없다. 선 불교란 그런 것이란다.

모든 수행이란 '짓'들도 모두 없을 짓는 일이라고 겁을 확 주신다.
이미 부처인 존재가 이미 부처인 존재들에게 수행을 하라고 하거나, 수행은 이렇게 하라고 하는 일은 모두 엉터리라는 말.

莫錯! 막착! 착각하지 말라!!! 수행하는 체 하면서 고고해 지는 양, 경전을 읽으면서 마음을 닦는 양...
수처작주 隨處作主하면 입처개진 立處皆眞이다. 사는 곳, 가는 곳에 따라 자기가 주인이 되면 선 곳이 곧 참된 곳이고, 그 때의 내가 바로 참 사람이다. 높고 낮은 지위가 없는 참사람, 無位眞人이다.
이 곧, 금강경의 응무소주 이생기심과 통하는 말이 아닐까 한다.

먹을 때엔 먹는 데만 열중하고, 온 몸이 밥이 되어 밥을 먹는 일. 이 곧 수처작주다.
이익, 손해, 훼방, 추켜세움, 칭찬, 놀림, 고통, 즐거움... 이런 것들에 흔들리지 않으면 어지간히 공부를 하고 있는 셈이라 하신다.

보화 스님과의 활발발한 이야기들은 정말 삼국지의 초반부, 장비 관우 공명을 만난 유비를 읽는 일처럼 시원스럽다.

그런데 무비 스님의 말씀 가운데, '선의 종주국의 깃발을 온 세계에 힘차게 드날리자'고 하시는 말씀이 있다. 종주국이 어디있고, 온 세계는 어디일까?___()___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달팽이 2007-02-25 15: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비스님의 말이 어디서 나온 말인지 모른다면
그것은 말만 쫓은 것이 되겠지요.
그러니 그에게는 같은 말이 우리에겐 다른 말이 되는 이치도 알아야 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익, 손해, 훼방. 추켜세움...이런 것들에 흔들리지 않는 공부면 어지간히 공부가 된 것이라는 말은 우리에게 그대로 통용되는 말이군요...
고봉스님이 숭산스님을 인가해주시면서 앞으로 너의 불법이 온세계에 퍼질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는데...진실로 그랬습니다.

마지막 말씀도 말에 속아선 안되겠습니다.

_____()_____

비로그인 2007-02-26 00: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우연히 다른 분 숙제 도와 준다고 읽었는데, 의외로 쉽고 재밌었어요. 불교공부도 하면 재밌겠구나 이런 생각도 들더라구요. 돈만 모이면 담에 내 돈 주고 사봐야지 하고 있어요.

해적오리 2007-02-26 00: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단 보관함으로 들어갑니다. ^^ 옆에 있는 동생에게 물어보니 무비 스님에 대한 책을 읽은 적이 있다고 하네요.

글샘 2007-02-26 00: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달팽이님... 저야 아직 말만 쫓는 수준입니다.^^ 이 책은 쉬우면서도 재미있더군요.
이유님... 안그래도 이책 살 때 님의 페이퍼가 있더라구요. 불교 공부도 해보면 재미있습니다. 맨날 속터지는 일이 일어나는 현실에선 마음 다스리는 공부가 꼭 필요한 셈이죠.
해적님... 무비 스님 책 참 좋습니다. ^^ 많이 읽어본 건 아니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