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난 서울 - 미래를 잃어버린 젊은 세대에게 건네는 스무살의 사회학
아마미야 카린, 우석훈 지음, 송태욱 옮김 / 꾸리에 / 2009년 4월
평점 :
내심, 대충은 알고 있으면서도 말하여지지 않아서, 타인과의 대화에서는 다르게 얘기하는 것들이 있다. 여기서 말하는 2030세대의 실업난 같은 것들.
혹자는 눈높이는 높아져서 힘든 일을 안 하려 하니까 그렇지, 눈높이를 낮추면 일자리는 무궁무진하다고 얘기한다. 또 다른 혹자는 그동안 열심히 하지 않아서 일자리를 못 구하고 있다고 말한다. 좋은 직장에 정규직으로 번듯하게 취직해 다니는 또 다른 친구와 비교하면서. 하지만 우리는 모두 내심 알고 있을 거라고 생각한다. 이 세상이 이상하다고. 무언가 이 사회에 문제가 있는 거라고.
대학시절 학점이 2.5만 넘어도 현재 내노라하는 대기업 두 세군데에서 어디로 가야 할지 고민했다는 선배들의 이야기는 이제 전설일 뿐이다. 지금의 4~50대들이 취업을 시작했던 시절과 지금의 2~30대들의 상황은 하늘과 땅만큼 차이가 크다.
한창 왕성한 열정으로 일을 시작해야 할 이 나라의 젊은이들이 이태백으로 무의미하게 시간을 보내고 있는 작금의 현실은 분명, 이 사회에 문제가 있음을 드러내는데, 현재의 2~30대들은 자신의 무능력만을 탓하며 자기계발에, 어학연수에, 각종 고시에 매달린다. 그들에게 삶은 희망적이고 살아볼 만한 것이라기 보다는 버텨내야만 하는 고단한 의무감일 뿐이다. 한창 자신이 하고 싶어하는 일을 시작하며, 살아가는 희망에 부풀어 있어야 할 20대 사망원인 1순위가 자살이라는 것은 얼마나 비극적인지?
비록 우리나라가 20대 실업률은 OECD국중 최고라고 하지만, 위 이야기는 비단 우리만의 이야기는 아니다. 이웃나라 일본 역시 마찬가지임을 이 책은 지적한다. 한때, 취업이 어려운 시기에 그 답답함에서 벗어나는 대안으로 각광받았던 '프리터'의 진상은 '프레카리아트(불안한 프롤레타리아트)'일 뿐이다.
일본 '프레카리아트'운동의 잔다르크로 알려진 아마미야 카린은 일본과 유사한 한국의 젊은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한국을 방문한다. 우리들의 삶이야 현재 여기에 살고 있는 우리가 잘 알아야지 맞겠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하다. 오히려 비슷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는 이웃나라의 의식있는 사회 운동가의 시선이 더 정확하고 객관적인 듯 싶다. 책을 읽으면서 연방 깨닫게 되는 장면들 중 하나는 일본과 유사함을 느끼는 아마미야 카린의 놀라움이다.
빈집을 점거하며 예술 활동을 하는 문래동의 아티스트들, 연합을 형성하는 '전국 백수 연합', 양심에 따라 병역을 거부하는 젊은이들, 코뮌을 만드는 연구자들. 이들과 같이, 절망적인 현재의 상황 속에서도 남들처럼 자신의 탓으로 돌리지 않고, 사회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깨닫고 지적하며, 대안을 모색하는 몇몇 20대들이 모습에서 우리는 희망을 논할 수 있지 않는가 하는 생각을 해 본다. 결국 당사자가 사회의 모순을 직시하고 자신의 처지가 그 때문임을 깨달을때, 진정한 연대는 이루어 질 수 있을 테다. 현재의 상황에서 그 일은 요원해 보인다. 아마미야 카린 역시 고단한 자신의 인생을 직시하는 과정에서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깨닫고 사회운동을 시작하게 된 계기를 밝힌다. 우리 역시, 삶의 고단함을 자신의 무능력 탓으로 돌리며 무기력하게 살아갈 것이 아니라, 사회적 모순을 직시하고 부조리함을 바꾸기 위한 연대에 들어가야 할 것이다. 나아가 아마미야 카린이 주장했듯이, 단지 한 개인의, 한 나라의 한 지역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적인 문제로 인식하고 연대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