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들목에 닿자 어둑발이 내리기 시작했다. 짱뚱어다리 위에 서서 한순간에 잠기는 해를 바라보았다. 왠지 목이 잠겼다. 붉은 해를 삼킨 검푸른 바다가 빨아 당길 듯 넌출거렸다. 짙어지는 어둠 속에 바다는 소리 없이 잠겨들었다.

 

외로운 섬끼리 섬을 찾아갔다. 섬에 가서도 우리는 익숙하게 거리를 두고 떠 있는 섬처럼 편안하기도 적적하기도 했다. 깊은 고요 속에 뒤척이다 여명이 밝아오자, 아무도 밟지 않은 너른 바다로 걸어 나갔다. 엎드려 있던 하얀 파도가 리듬을 타며 들고 일어났다. 파도가 일으켜 세워주는 마음을 수평선까지 뻗었다. 기지개를 켜듯 그렇게.

 

뜨끈한 매생이국으로 속을 달래고 숙소를 빠져나온 우리는 겨울햇살이 포근히 내리쬐는 섬을 천천히 돌았다. 마음이 붙들리는 곳이면 어디든 차를 세워두고 느리게 거닐었다. 섬은 그야말로 스스로 그러한 풍경이었다. 마음이 더없이 수굿해졌다. 세상의 소음을 삼킨 그 섬에서 우리는 어떤 풍경이었을까.

 

풍경 속에 소금밭이 자리했다. 살짝 얼어 있는 그 위를 조심스레 디뎌 보았다. 소금밭 앞 쪽으로 길게 이어진 갯둑에는 나무로 지은 집들이 간격을 두고 도열해 있었다. 쨍한 하늘을 받들고 선 몸에 풍화의 흔적이 위엄마저 풍겼다. 함석판이 덮인 지붕이 부조화를 연출했지만 시커먼 나무판 사이사이 밴 냄새가 묘한 감정을 불러왔다. 소금꽃을 품었던 공기와 바람과 햇살의 냄새였다. 이제는 할 일을 못하는 이 집들은 속엣 것을 다 내놓은 빈 집, 세상의 어미들처럼 낡아가는 껍데기였다. 모진 바람과 뜨거운 태양을 견디고 버텨 서 있는 육신이 삭아져 내리고 있었다. 오래된 시간이 켜켜이 쌓였을 그 안으로 들어가 보고 싶었다.

 

소설 한 편이 그해 겨울을 불러준다. 정미경 작가의 유작 장편소설 <당신의 아주 먼 섬>에는 증도에서 만났던 그 집이 등장한다. 강렬한 기억 속, 바람과 파도와 그 둘의 시간을 모두 품고 있는 소금집이다.

 

부고는 늘 거짓말 같다. 그이의 소설을 흠모하는 독자로서 믿기지 않았다. 동반자 김병종 화가는 일 년 전 아내가 갑작스런 이별을 통보하고 세상을 뜬 후, 반지하 집필실을 정리하다 원고뭉치를 발견했다. 완벽주의자가 그냥 둔 원고라면 미완일 게 분명하지만 미완은 그것대로 의미가 있을 거라 믿고 발간을 결심했다. 자신의 강요 아닌 강요로 탄생한 소설, 당신 때문에 내 몸이 삭아져 내린다고 투정한 아내를 향한 미안한 마음에 집에 오면 방에 들어가 울음을 토하며 애도의 나날을 보내온 남자. 최초의 독자이자 최후의 비평가였던 그는 아내를 너무나 잘 아는 사람이면서도 잘 몰랐던 사람이었다. 어쩌면 우리처럼 서로 조금은 먼 섬이었을지도.

 

자본주의 사회를 살아내는 쓸쓸한 사람풍경과 인물의 내면을 신랄하게 파고드는 정미경 소설의 문장들 뒤에는 생을 일천 번이라도 살고픈열망이 담겨 있다. 그이가 얼마나 생을 사랑한 사람이었는가를 남은 사람들의 추모 산문과 오랜 세월 함께해 온 남편의 발문에서 알게 되었다. 일상에도 문장에도 빈틈없이 성실하고 온전했던 그이는 자신에게 다가오는 운명을 예감하였던 걸까.

 

이전 작품들과는 달리 훈훈한 기운이 스미는 이야기에 빠져든다. 매만지기 이전의 글이라 그이의 민낯과 속마음이 드러나는 작품이다. 읽다보면 아릿한 풍경과 연민이 이는 사람들 속으로 어느새 걸어 들어가 있다. 상실과 이별, 각자의 상처를 어쩌지 못해 차오르는 눈물로 짜디짠 소금꽃을 피우는 사람들. 그들의 이야기가 섬에 모이고 섬에서 나아간다. 슬픔도 바람에 날리면 바람이 되고 눈물도 바다에 녹이면 바다가 된다. 섬은 그대로 치유의 다른 이름이 된다. 이러저러 맺어진 관계의 중심에는 버려진 소금집을 도서관으로 만들려는 남자가 있다.

 

해풍이 불어드는 도서관이라니! 상상만으로도 너무 멋지지 않은가.  나란히 서 있는 소금집의 칸칸을 다른 종류의 책들로 정리하고 한 칸 정도는 카페로, 작가를 대신한 그 남자가 이루어낸다. 세상의 이익에는 무관심하게, 뚝심 있게 해내는 일이다.

 

남자는 바람이 집채를 들어올려 다른 곳으로 옮겨 놓는다 해도 다시 데리고 오면 된다고 말한다.

그 말을 하는 담담하고 덤덤한 목소리가 들리는 것 같다. 부드러움 속에 신념이 밴 그런 목소리에 나는 빠져든다.

 

언젠가 김병종 화가는 아내에게 좀 몽롱하게 써보라고 충고한 적이 있다고 회고했다. 정 작가는 당시 똑 부러지는 말로 퉁을 주었지만 그 말을 염두에 두었던 듯하다. 이 소설의 끝은 다소 몽롱朦朧하다.

강풍이 불어와 집을 날려버리는 순간, 눈앞에서 세계는 잠시 탈색되었다. 우주의 뿌리처럼 빛이 바다 위에 떠올랐다 사라졌다.(211p)'고 쓴 문장에서 세상을 탐미하는 작가의 형형한 눈빛이 반사되어 내 눈이 다 부시는 것 같다. 남자는 시력을 잃어가는 병에 걸렸지만 그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세계가 하나의 도서관이라면 우리도 하나의 책, 하나의 작은 세계, 곰팡내 나고 빛바랜 시간의 퇴적물이다. 영원한 동시에 덧없는 우주의 먼지, 바람에 날아올라 공중에서 빛을 발하는 하나의 집일 것이다.

 

스러져가는 소금집을 다시 만나러 가야겠다. 누구에게든 맞춤한 일이 운명처럼 주어진다. 그 운명을 사랑할 때 나의 집은 어디서든 참된 빛을 발할 것이다. 지독하게 사랑한 운명 안으로 훌쩍 날아간 그이, 문학의 제단 앞에서 영육靈肉을 사리지 않은 작가의 마지막 문장 앞에서 살포시 눈을 감는다.

 

 

 

 

- 바람소리가 바깥에 있을 때보다 더 세차게 들린다. 틈 사이로 스며든 바람이 거친 목관악기처럼 울어댔다. 불협화음은 불안한대로 아름다웠다. (중략)

누군가 거대한 입을 벌리고 검은  구름을 토해내는 것 같다. 그 틈 사이로 붉은빛이 날카롭게 빛났다. 어디선가 커다란 나무이파리가 휙휙 날아왔다. 창고 지붕들이 들썩거렸다. 갯벌의 풀들이 바닥을 쓸 듯 엎드렸다가 가볍게 일어나곤 했다. 바람의 머리카락이 보이는 것 같았다. 갯둑에 서 있는데 몸이 주춤주춤 뒤로 밀려났다. 입고 있는 옷이 파닥파닥 소리를 내며 나부꼈다. 바다가 하얗게 일어섰다.

  내가, 마지막으로 담아두고 싶은 풍경이야.  

  (210p)

 

 

 

 

 

 


댓글(4) 먼댓글(0) 좋아요(4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2-19 13:55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2-19 14:13   URL
비밀 댓글입니다.

순오기 2018-02-20 03:2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내가 가본 곳이라 글을 읽으며 눈앞에 풍경을 데려다 놓게 되네요. 이 책 기증받았만 아직 순위가 밀려있어요~ 정미경 작가님 마지막 작품이라 안타가워요.ㅠ

프레이야 2018-02-20 12:46   좋아요 0 | URL
네. 많이 안타깝지요. 좋은 작품을 더 볼 수 없다는 것도 생이 꿑난 것도요. 날이 따뜻해지면 한 번 더 가보고 싶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