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명 : 괴물 (개봉일 2006-07-27)

괴물 (2006)

감독
봉준호

주연
송강호....강두
변희봉....희봉
박해일....남일
배두나....남주
고아성....현서
이재응....세진
이동호....세주
김뢰하....방역대원
박노식....흥신소직원
고수희....간호사
윤제문....노숙자
오달수....괴물 목소리

강두와 현서
이 글의 일차 목적은 봉준호의 최신작 [괴물]을 기다리는 잠재 관객들이 남은 3주 동안 기대치를 적절한 수준으로 잡을 수 있게 도와주는 것입니다.

우선 [괴물]이라는 영화의 성격부터 설명하겠습니다. 한 마디로 괴물이 좀 나오는 봉준호 영화입니다. 비교 대상으로 적절한 가장 좋은 영화는 [살인의 추억]과 같은 봉준호의 전작들이지, 괴물이 나오는 장르 영화들이 아닙니다. 봉준호의 목표는 어떻게 보면 굉장히 도식적인 괴물 영화의 설정을 될 수 있는 한 비장르적이고 '사실적인' 자기 세계에 끌어와 자기 식의 영화를 만드는 것입니다. 물론 대부분의 평론가들은 어울리지 않을 법한 이 조합의 시너지 효과에 집중할 것입니다. 그것만으로도 이 영화가 가진 고유의 가치는 부인할 수 없어요.

그래도 다른 장르 영화들에 대한 비교는 불가피합니다. [버라이어티]의 데릭 엘리는 래리 코헨의 [Q]를 언급했는데, 대도시의 극사실적인 묘사와 배우들의 매소드 연기, 비틀린 블랙 유머는 분명 비교대상이 될 만합니다. 게시판의 Q님은 조 단테의 [피라냐]를 예로 들었습니다. 전 루이스 티그의 [엘리게이터]를 예로 들고 싶군요. 두 작품 모두 존 세일즈가 각본을 썼습니다. 분명한 사회의식을 가진 진지한 좌파 작가가 쓴 괴물 이야기들이니 쓸만한 비교대상이 될 수 있겠죠?

[괴물]에서 [쥬라기 공원]의 액션과 스릴을 기대하지는 마시길 바랍니다. 이 영화엔 스필버그식으로 관객들의 신경을 통제하는 장면 같은 건 없습니다. 한강에서 돌연변이 괴물이 나와 사람들을 공격하고 죽이긴 하지만 영화는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식 롤러코스터와 거리가 멉니다. 이건 긴장감이 떨어진다는 말이기도 하고 보다 담은 게 많다는 뜻도 됩니다. 둘 다 맞습니다. [괴물]의 몇몇 장면들은 보다 짜임새 있는 편집과 장르적 테크닉으로 훨씬 긴장감있게 재조립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넉넉한 여유 속에서 영화가 담아낸 풍성한 멜로드라마와 코미디는 쉽게 떨어낼 수 없는 것이기도 합니다. 결국 이건 관객들이 취향에 따라 선택할 문제입니다.

봉준호의 영화 세계와 기존 괴물 영화 장르는 얼마나 유려하게 결합되었을까요? 초반의 괴물 공격 시퀀스는 근사합니다. 그건 감독이 장르 관습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고 그걸 능동적으로 재해석하고 있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기존 장르를 비틀고 우리 사회에 이식하는 작업이 끝나면 조금 맥이 풀리기도 합니다. 중반 부분에서 영화의 각본은 종종 클리셰와 싸우다가 그냥 끌려가버리기도 합니다. 그 때문에 캐릭터들의 '사실적인' 대사들이 관습을 정당화하기 위한 변명처럼 보이기도 하죠. 후반부의 액션은 창의적인 면과 관습적인 면 모두를 갖추고 있습니다. 박해일의 화염병 액션이 대표적이죠. 자세한 설명은 스포일러이니 피하겠습니다.

영화의 정치적 함의는? 봉준호 감독은 영화의 설정이 정치적인 주제를 떠나 별 볼일 없는 주인공들을 극으로 모는 도구로서의 역할이 더 강하다고 주장했습니다. 맞는 말이겠죠. 하지만 그건 이 영화의 정치적 메시지에 대한 뻔뻔스러운 알리바이이기도 합니다. 이 영화에서 차지하는 미국의 위치를 정치적 의미를 제거하고 해석할 수는 없거든요. 차이가 있다면 해석의 범위일 겁니다. 미국과 한국만의 이야기로 잡느냐, 아니면 지금의 세계 정세로 확대해서 해석하느냐. 여기서 비판의 대상이 되는 게 꼭 미국만은 아니지만요.

이는 장점이기도 하고 단점이기도 합니다. 일단 이 영화의 정치적 요소는 영화의 드라마에 보다 거대한 차원을 더해줍니다. 차원을 떠나 드라마가 상당한 정서적 힘을 얻게 되기도 하죠. 하지만 주인공들을 철저하게 고립시키는 이 설정들은 종종 설득력을 잃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매스컴이 사건을 다루는 방식을 들 수 있겠군요. 한강에 버스만한 크기의 괴물이 나타났는데 다들 바이러스에만 신경을 쓰는 게 있을 법한 일입니까? 바이러스의 존재도 확인하지 못했고 그 존재를 과장해서 얻을 것도 없는데 죽어라 그 가설을 밀어붙이는 미국측의 반응은 또 어떻고요? [괴물]의 세계는 사실적인 세계도 아니고 한강변에서 매점을 하는 노동자 계급 사람들의 눈으로 본 주관적인 세계도 아닙니다. 꼭 봉준호와 같은 경력의 한국 좌파 지식인 남성이 만들어낼 법한 우주이죠. 그런 우주를 다루는 것 자체는 나쁠 게 없는데, 그게 너무 분명하게 보여서 탈이랄까.

특수효과는? 음... 이 영화의 괴물은 두 발로 뛰어다니고 서커스 단원처럼 다리에서 곡예를 부릴 줄도 아는 올챙이 비슷하게 생긴 동물입니다. 움직이는 모습이 낯설긴 하지만 전 이런 동물이 실제 세계에서 어떻게 움직이는지는 몰라요. 훤한 대낮에 아무런 분위기도 잡지 않고 튀어나와 사람들을 공격하는 도입부 장면은 특수효과 티가 꽤 나는 편이지만 사실 할리우드 영화에서도 같은 상황에서는 특별히 다르지 않을 겁니다. 밤장면이나 하수구 장면에서는 꽤 괜찮은 편이고요. 더 좋은 건 이 괴물이 캐릭터가 꽤 분명히 잡혔다는 겁니다. 가끔 그 고립된 상황과 기형적으로 일그러진 육체가 안스럽기까지 해요.

[살인의 추억]도 그랬지만, 이 영화에서 가장 큰 힘을 실어주는 건 배우들의 연기입니다. 변희봉의 '늙은 아비의 몸짓'은 그냥 훌륭합니다. 덜 떨어졌지만 딸에 대한 걱정과 사랑으로 가득 찬 송강호의 아빠 연기도 좋고요. 배두나와 박해일도 제한된 캐릭터를 잘 꾸려가는 편이지만 전 딸 역의 고아성이 보여준 당찬 연기를 더 높이 쳐주고 싶군요. 김뢰하, 박노식, 고수희와 같은 노련한 단역들도 무시해서는 안 되고... 심지어 종종 아킬레스건이 되곤 했던 영어권 배우들도 캐스팅이 썩 잘 된 편입니다. 스코트 윌슨과 폴 라자와 같은 베테랑들이 참여하고 있지요. 돌연변이 괴물과 멀쩡한 현실세계의 사람들이 충돌한다는 영화의 기본 설정을 가장 잘 살려주는 것도 바로 배우들입니다. (06/07/04)

DJUNA


기타등등

이병우의 쿵짝거리는 음악은 은근히 니노 로타를 연상시키더군요. 펠리니 생각이 났습니다.

정말 이런 사건이 우리 세계에 일어났다면 이런 식으로 이야기가 끝나지는 않았을 겁니다. MBC에서는 특별 인물 다큐멘터리를 만들고, 인터넷에서는 댓글 논쟁이 달리고, 관련된 사람 대부분은 스타가 되고, 소송사건이 일어나서 몇 억이 오가고 난리가 났겠죠. 아마 보통 할리우드 괴물 영화들이 이 과정을 더 정직하고 정확하게 잡아내고 있을 겁니다.

종종 튀어나오는 거친 편집은 소스 부족 때문이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아무리 제대로 하고 싶어도 만든 괴물이 딱 그 정도밖에 없다면 방법이 없겠죠, 뭐.

 

 

너무너무 기대되는 <괴물>

출처 http://djuna.cine21.com/movies/the_host.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