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창백한 오필리아여, 흰눈처럼 아름답구나!
어린아기에 지나지 않았던 그대는 물줄기에 운반 되어 죽었노라
노르웨이의 거봉巨峰에서 불어닥친느 한풍寒風은
- 아주 낮게내려와서, 처절한 자유를 그대에게 가르쳐 주었노라

그대의 머리칼을 온통 매질하고,
꿈꾸는 그대의 마음을, 격렬한 소음으로 가득 채웠던 숨결이었다.
나무들의 통곡, 밤의 탄식 속에서
그대는 대자연의 절규를 들었으리라

거대한 헐떡임과도 같은 해조음海潮音은,
그대의 어린 가슴에는 너무나 인간적으로, 너무나 따듯하게 생각되었노라
사월 어느날 아침,
얼굴이 맑고 창백한 한 사람의 기사騎士, 어리석은 광인狂人은,
그대의 무릎 위에 말없이 앉았도다

하늘이여, 사랑이여, 자유여, 아 가엷은 광여狂女여, 이 꿈은 어쩐 일인가
불에 녹아버리는 눈 처럼, 그대는 그에게 마음까지 떠맡겨버렸노라
그대의 커다란 환상幻想이, 그대의 말을 질식시켜 버렸도다
그리하여 두려운 영원永遠은 그대의 푸른 눈을 놀라게 하였으리라

-랭보-

 

 

 

밀레이 작품

 

 

화가명 :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John Wiliam Waterhouse, 1849~1917)
작품명 : 오필리아
제작년도 : 1894년
작품재료 : 캔버스에 유채
작품크기 : 124.4X73.6cm

작품설명: 19세기 영국 화가 존 윌리엄 워터하우스의, 섬세한 빛의 흐름을 따라 우아하게 묘사된 작품 '오필리아' 에는 어두운 죽음을 맞이 하기 전 가장 아름답고 고귀하게 피어 오르는 꽃과 같은 오필리아의 모습을 담고 있다.
화가는 극히 자연적이고 이상적인 여인의 아름다움을 추구한 표현법에는 전기 파라엘 화파의 화풍이 담겨 있다.
1870년 영국 왕립 학교에서의 교육을 받기 전까지 아버지에게서 가르침을 받았던 워터하우스는 자신이 앨머 태디머와 같은 화가에게서 받았던 초기 영감보다 더 많은 것들을 후대의 젊은 화가들에게 전달하였다. 희곡과 문학에서 비극이 지니는 특별한 가치만큼이나 빛을 받아 흐르는 눈물이 슬프면서도 화려하게 반짝이는 것과 같이 작품 "오필리아"에서는 사랑과 번민이 함께 녹아 있는 비극적 감정의 흐름이 눈부신 아름다움으로 탄생하는 특별한 느낌을 선사하고 있다.

 

이그림 또한 워터하우스 작품입니다.

 

Hebert

 

Pascal Adolphe Jean Dagnan-Bouveret

 

Alexandre Cabanel

 

Paul Albert Steck

 

Henri Gervex

 

Georges Jules Victor Clairin(French, 1843-1919)

-Ophelia
-Ophelia in the Thistles
 
Gregory Crewdson
미국 사진작가의 오필리아 작품이랍니다
또다른 느낌이네요
 
Lucien Levy Dhurmer
 
Jules Joseph Lefebvre
 
George Frederick Watts
 
Redon
 
Margaret Macdonald
 
 
Thomas Francis Dicksee
 
Joseph Severn
 
 
Arthur Hughes
 
 
Amanda Keeys
 
 
Diana Elliot
 
 

레어티즈가 오피리아에게 말하였다.

 

 햄릿 왕자와 그의 하찮은 호의란 건 유행이요 젊음의 객기이며 청춘기의 꽃송이라,

빨리 피나 영원하진 못하고 달콤하나 오래가진 못하니,

한순간의 향기요 시간 때우기 이상은 아니다.

 

오필리아는 시큰둥하게 대답했다. 그뿐여요?

 

레어티즈가

 

 조심해라 오필리아, 조심해라 누이야.

그리고 네 몸을 욕망의 포격과 위험이 닿지 않는 네 애정의 후방에 두거라.

가장 정숙한 처녀가 자기 아름다움을 달에게만 드러내도 방탕하기 짝이 없어.

악담의 타격은 미덕의 화신도 못 피해.

봄의 새싹들이 봉오리를 열기도 전에 자벌레가 너무 자주 그들을 갉아먹고,

청춘의 아침 이슬 속에는 저염성 마름병이 당장에라도 생길 수  있단다.

그러니 주의해. 최상의 안전은 조심이야.

젊음은 곁에 뉘 없어도 자기에게  반항해.

 

 

-<햄릿>, 셰익스피어, 민음사 세계문학전집3

 

 

 오필리아는 죽었다. 그녀의 오라비가 말한데로 사랑에 몸을 사렸다면 그녀는 더 행복할 수 있었을까?

 

레즈티어의 말처럼 사랑은 잠시 왔다 풀썩 주저 앉고 만다. 그리고 오필리아처럼 그 사랑에 두 번 다시 잊지 못할 상처를 주기도 한다. 그 아름다운 처녀가 더 이성으로 햄릿을 보았다면 그녀는 그런 가련한 이름으로 불리지 않았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가련하다 못 해 청승스러운 그녀에게 질투를 느낀다.

 '한 순간의 향기'는 곧 사라질 것이다. 죽도록 사랑해도 죽도록 미워해도 어느 순간 금붕어처럼 다시 사랑하고 다시  미움을 반복하는 것이 사람이라 피 흘리며 아파하는 것도 잠시 사랑이 식어지듯 아픔도 식어지면 그 뿐이다. 그렇게 '그들을 갉아먹고' 가버리면 다시 꿈틀거리며 오늘을 살려 바둥거릴 것이다. 그 때 기쁨과 슬픔이 죽어진 자리에 적당히 간하고 적당히 익힌 추억이 있으니 그리 나쁜 장사는 아닐 것이다.

 

 

 

EspeRaNZ님이 올려주신 오필리아 설명 작품의 이해를 위해 여기에 추가합니다^^

 

햄릿의 연인이자 비련의 여주인공 :오필리아

그녀의 연인인 햄릿에 의해 아버지 플로니어스가 살해당하고 햄릿이 영국으로 떠나자

그만 정신을 놓아버리고 만 그녀는 실성해서 들판을 헤매다 물에 빠져 죽는다....

한 남자를 뜨겁게 사랑한 죄밖에는 없는데...

그녀의 너무나 순수한 영혼은 비통했던 현실의 세계와는 어울리지 않았는가 보다.

꽃으로 만든 관을 늘어진 버드나무 가지에 걸려고 기어오르다 심술궂은 가지는 그만 뿌러지고 말았다.

가여운 그녀는 화환과 함께 흐느끼는 시냇물 속으로 떨어져 떠내려간다.

지고의 여인은 소리도 지르지 않고 그저 꽃을 꼭 쥔 채 강물에 몸을 맡긴다.

이제 그녀는 강물이 되고 강물을 그녀가 된다. 그녀는 들풀이고 들풀은 그녀가 된다.

덤불과 이끼는 여인의 드레스 장식으로 번지고, 물빛은 그녀의 가냘프고 하얀 목덜미와 핏기 가신 뺨 주위를 맴돈다.

죽음만이 그녀의 안식처였을까. 오필리아Ophelia는 마치 꿈을 꾸며 즐기듯 천천히 자신의 무덤 속으로 가라앉고 있다.

죽음 앞에서 모이는 완벽한 아름다움이라니.

지그시 반쯤 감긴 오필리아의 눈은 마치 자신의 쉴 곳을 찾은 듯 슬픔을 건너 오히려 평온하다.

생에서 죽음으로 변해가는 여인을 거부할 수 없을 것 같다.

점차 무거워지는 눈꺼풀, 살포시 벌어진 입과 위로 열린 두 손 모두 비극적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또또유스또 2006-07-07 22: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서워요....히끅~
혼자 보니 ..으스스입니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