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매무새' '옷매무시'  

 
   보름달이 환한 추석, 생각만 해도

가슴이 절로 부풀어 오릅니다.

   가을의 결실에 대한 감사함과 여

유로움에 함박 웃음꽃이 피어나고,

고향으로 고향으로 차량 행렬은 이

어집니다.

   때깔 좋은 한복을 곱게 차려입은

엄마가 딸레게 한마디 당부합니다.

   "문안 인사 드릴 때 옷매무새 바

르게 하고 해야 한다."

   엄마의 말씀에 나오는 옷매무새'.

차림과 관련된 말인 것 같은데 용어

선택이 잘못됐군요. '옷매무시'와 구분해 사용해야 합니다.

  

 '옷매무새'는 옷을 입고 난 뒤의 완성된 맵시를 뜻하는 말

입니다. "옷매무새가 단정하다" "비단옷 매무새가 물 흐르듯

아름답다" 등에서 보이는 것처럼 '옷매무새'는 옷 입은 상태

를 나타내는 명사로서 형용사(단정하다, 아름답다, 곱다,)와

더 잘 어울리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옷매무시'는 좋은 모양새(매무새)를 내기 위

해 '옷을 입고나서 매만지는 뒷단속'을 뜻하는 말입니다.

복을 입은 뒤에 치마가 잘 여며졌는지, 대님은 제대로 맸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이 매무시의 예라 할 수 있습니다. '옷매무

시'는 행위를 나타내는 명사로 자연스레 '-하다'가 붙어 쓰입

니다. "면접을 치르러 온 사람들은 회사 현관 앞에서 양복을

매무시하였다" "옷매무시를 잘 하는 걸 보니 엄마의 가정교

육이 보통이 아니다"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