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운 풍경화에 뭐가 숨어 있을까 - 풍경화 어린이를 위한 이주헌의 주제별 그림읽기 1
이주헌 지음 / 다섯수레 / 200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화류도 내용이나 소재에 따라 종류가 세분화되어간다. 예를들면 생태동화, 철학동화, 수학동화, 한자동화, 인성동화 따위다. 그림을 소개해주는 어린이 책 중에도 이렇게 장르를 나눈 책이 나와 반갑다.

이 책은 멋진 풍경화보집 같다. '어린이를 위한 이주헌의 주제별 그림읽기' 라는 부제를 달고 풍경화 읽기를 집중적으로 도와준다. 동서양의 풍경화를 모두 다루고 있지만 서양 풍경화가 더 많다. 이 책은 화보집답게 책의 판형이 크다. 종이의 재질도 깨끗하고 튼실해보이며 행간도 넓어서 그림과 함께 설명글을 볼 때에도 눈이 시원하다. 풍경화를 볼 때의 시원시원한 느낌이 글을 읽으며 반감되지 않아 좋다.

저자는 서문 격인 '부모님께 드리는 글'에서 종래의 어린이 미술교양서가 갖고 있었던 한계점을 지적한다. 어린이의 관심과 흥미에 촛점을 맞추다보니 꼭 알아야 하는 미술보다는 어린이의 입맛에 맞는 미술의 모습만을 보여주는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이다. 어린이를 미술세계로 일단 끌어들이는데에는 도움이 되겠지만 본격적인 미술의 모습도 충분히 보여 줄 때가 되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5학년 아이들과 이 책을 함께 감상했는데 저자의 이런 신념이 틀리지 않았다고 생각되었다. 책장마다 펼쳐지는 풍경화 속으로 아이들은 점차 빠져들더니 화가의 마음과 자신의 마음이 공감을 이루는 지점을 찾고 설레는 표정을 짓기도 했으니 말이다. 갑갑한 책이려니 하고 잘 안 보고 왔다는 한 여학생은 수업 후 이 책들을 그림에 무척이나 관심을 가지는 눈치였다. 좋은 풍경화집 하나 책꽂이에 꽂혀있으니 마음이 갑갑하거나 우울할 때면 아무 곳이나 펼쳐서 풍경 속으로 빠져들지도 모르겠다.

이 책은 편집이 눈길을 끈다. 우선 전체 목차가 일목요연하다. 크게 '눈으로 보는 풍경'과 '마음으로 읽는 풍경' 으로 나누고 다시 소목차로 들어가서 멋진 풍경화로 우리의 눈을 열어주고 다시 잔잔하게 일러주는 말투로 각각의 꼭지로 안내한다. 감상의 포인트를 잘 일러주어 조근조근 옆에서 도와주는 큐레이터 같다.  본격적으로 풍경화의 세계로 들어가기 전 '풍경화란 무엇일까요' 라는 물음에 답하는 장이 있다. 한줄한줄 읽어내려가면 머릿속에 쏙쏙 들어오는 군더더기 없으면서도 자상하고 부드러운 문장이다.

본격적인 장으로 들어가면 왼쪽 책장에는 설명의 중심이 되는 풍경화를 크게 배치하고 오른쪽 장에는 그 그림과 비슷한 소재나 주제의 그림을 작게 배치하여둔다.  그 아래에는 미술용어나 미술사에서 알아두어야할 용어들을 잘 설명해 두었다. 역시 그림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고 깊게 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된다. 각각의 풍경화에 달아둔 저자의 제목도 인상적이다. 예를 들자면 쇠라의 <그라벨린 운하의 밤>에는 "흐르는 듯 멈춘 듯 잔물결이 주는 평화"라고 했고 그림쇼의 1880년 작 <템스강의 땅거미>에는 "황혼은 또 다른 새벽"이라고 이름 붙였다.  

'마음으로 보는 풍경화'에서는 풍경화에 담긴 화가의 마음을 읽을 수 있도록 이끌어준다. 뿐만 아니라 자연에 담긴 신의 섭리와 화가의 순수성, 신화를 소재로 한 풍경화 속에 숨겨져있는 인간의 참모습 같은 것들이 전율적이다. 또한 추상화로만 알고 있었던 그림이 풍경을 소재로 한 추상화였다는 것을 알면 재미나다. 예를 들어 들로네의 <동시에 열린 창들> 은 에펠탑에 올라 주위를 바라본 그림이라고 한다. 실제로 보고 그린 풍경이 아닌, 인간의 이상향을 그린 풍경화를 보면 상상력이 부글대는 느낌이 인다.

풍경화에 이어 인물화 또 다른 장르의 미술로 이어질 것이라고 하니 기대해도 좋을 것 같다. 저자의 말처럼 미술을 통해 '인간과 세계를 이해'하는데 섬세한 길잡이가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