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카시아 파마 ㅣ 국시꼬랭이 동네 10
윤정주 그림, 이춘희 글, 임재해 감수 / 사파리 / 2006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아카시아로 파마를 한다니.. 제목만 봐도 기대되는 일이에요. 잃어버린 우리 자투리 문화라고 하는데요. 민속학자 임재해 선생의 감수를 거친 그림책이니 신뢰감이 들지요. 전체적인 그림의 색조 또한 차분하고 따뜻해서 끝장면을 맞을 때까지 내내 마음이 푸근하네요. 아이들의 대화가 있는 그대로 들리는 것 같이 꾸밈 없어요. 글자체도 다른 그림책과 달라서 좋아요.
꼬마 여자 아이 영남이와 미희 언니의 얼굴도 볼이 통통하니 얼마나 귀엽고 친근감 드는 우리의 얼굴이라구요. 한 손에 엄마의 손거울을 들고 미희언니의 손에 붙들려 아카시아 숲으로 가는 영남이 뒤로 동생 영수와 삽사리가 달려갑니다. 낮은 나무 울타리에 초가집, 울타리에 붙은 공명선거 벽보, '20일은 쥐잡는 날' 이라는 종잇장까지 보이네요.
아카시아 숲에서 미용실 놀이가 벌어져요. 손거울은 아카시아 나무 줄기에 걸어두고 영남이는 발그레한 얼굴로 미희 언니의 손길대로 머리를 맡기고 앉았어요. 미희 언니는 능숙한 솜씨로 영남의 머리를 만집니다. 영수는 삽사리의 털을 미희 누나처럼 감고 있네요. 버둥거리는 삽사리에게 하는 말, "사자처럼 멋있게 만들어 줄게." ^^ 애가 타는 듯 보채는 영남이를 달래는 미희언니의 말투가 참 다정스러워요. 파마가 잘 나오기를 기도하듯 두손 모아 기다리는 영남의 뒷덜미가 그렇게 진지하게 보일 수가요.
갑자기 쏟아지는 소나기... 아이들은 모두 토란밭으로 달려갑니다. 비를 긋기 위해서지요. 하지만 이미 파마는 풀어져버렸네요. 정말 울고 싶겠죠. 빗줄기가 마치 손에 잡힐 듯 그려져있어요. 일러스트레이션이 멋집니다. 토란잎을 우산 삼아 앉아 펑펑 우는 영남이 머리 위로 무지개가 걸려요. 아카시아 파마하러 가자는 미희 언니의 말에 언제 울었냐는 듯 벌떡 일어나 따라가는 영남이의 통통한 다리가 사랑스러워요. 토란잎은 집어던지고요. 이번엔 삽사리가 앞장서네요.
요즘은 초등학생들도 엄마가 나서서 파마 시키고 귀 뚫어주고 그러던데요. 돈도 들고 몸에도 해로운 그런 것보다 이런 파마가 참 좋아보여요. 저도 어제 파마를 했지만요, 이런 파마 한 번 해보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