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키설키 하나가 된 고려 이야기 딱 20장면
한정영 지음 / 가교(가교출판) / 2000년 7월
평점 :
품절


역사는 일기와도 같다고 한다. 역사는 기록이지만, 일어난 모든 일을 기록하는 것이 아니라, 정말 기억해야할 중요한 일을 기록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이 책은 후삼국과 고려의 500여년 역사를 중요 사건 중심으로 엮었다. 사건을 두고 이야기식으로 엮으면서 전체 흐름에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5학년 쯤의 아이들이 크게 부담스러워 하지 않으며 흥미롭게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은 다소 위험해 보이는 부분들이 있어 역사적 사건과 역사적 인물을 보다 비판적인 눈으로 보아야하는 힘을 길러줄 수 있을지, 우려된다. 궁예는 포악하고 미치광이에 가까운 인물같이 그려진 점이 우선 그렇다. 궁예를 새롭게 자리매김하는 견해가 있음에도, 이 책에서는 여전히 그런 여지는 보여주지 않고 있다. 궁예는 왕건의 세력에 의해 무참히 평가절하된 비극적인 인물 중의 하나가 아닐까? 강감찬의 귀주대첩이 강에서 거둔 승리인 것처럼 그려져있는 부분도 그렇다. 쇠가죽으로 강의 상류를 막았다가 일시에 놓아 적군을 섬멸한 기록은 흥화진에서의 일이라고 한다. 그곳에서 수세에 몰린 거란은 개경을 거쳐 귀주로 와서 완전히 패배의 결말을 보았다고 한다.

거란의 1차 침입은 993년 고려 6대 성종 때의 일인데 여기선 시종일관 현종으로 나온다. 흥화진도 홍화진으로, 위화도 회군은 1388년인데 1288로 오자인 것 같다. 막간의 한 꼭지로 '이 무렵 고구려에서는'은 '이 무렵 고려에서는'으로 되어야할 것이 잘못 인쇄된 것 같다. 좀더 정확하게 정성을 들여 한 권의 책이 나와야하지 않을까? 역사공부를 이제 시작하는 아이들에게 혼란을 주거나 흑백논리의 선입견이나 편견이 먼저 들어서진 않을까 조바심이 난다. 반드시 다른 역사책을 두루 보고 나름의 시각을 기른다면, 이 책은 좀더 쉽고 흥미롭게 보기엔 눈 감아 줄 만하다 하겠다.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사 편지 2>는 후삼국에서 고려까지의 이야기를 잘 담고 있어, 이 책을 읽는 아이들에게 꼭 함께 읽으라고 권하고 싶다. 이 책에서 미처 다루지 못한 부분들(벽란도 같은...)과 함께 사진과 그림도 생생하고, 좀더 편중되지 않은 예리한 눈을 기를 수도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