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도 학교에 가야 한다 난 책읽기가 좋아
수지 모건스턴 글, 세르주 블로흐 그림, 김진경 옮김 / 비룡소 / 1997년 8월
평점 :
절판


어쩌다 아이가 학교에 가기 싫다고 할 때가 있다. 이유를 물어보는 엄마에게 아이는, 따분하다고 말하곤 한다. 무엇이 따분할까? 지겨운 수학문제, 반복되는 학습과 일과, 귀찮게 하는 남학생... 하지만 과학실험이 들었거나 특별한 수업이 있을 땐 그런 말이 나오지 않는다. 아이는 끊임없이 변화하는 생활과 활기찬 관계를 원하고 있는 것 같다. 커다란 덩어리로 보면 그날이 그날 같은 일상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어느 것 하나 같은 것이 없다. 그래서 삶은 하루하루가 각자에게 주어진 선물과도 같은 것이다. 선물포장을 뜯듯 설레는 마음을 감추고 조심스럽게 하루를 시작한다.

나의 하루도 아이를 학교에 보내는 것으로 시작한다. 나의 두 공주가 학교에, 유치원에 가야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았다. 그냥 나의 시간을 갖자고, 남들도 다 가니까 가는 거라고 말해버리기엔 뭔가 중요한 것이 숨어있지 싶다. 더불어 지내며 배우고 떠들고 놀고 뒹굴며 아이들이 얻는 것은 집에서 혼자 지내며 얻는 것들에 비교될 수 없을 것이다. 다른 사람들(특히 또래들)과의 관계맺기는 시간지킴, 합당한 차림새 같은 사소한 에티켓에서부터 세상을 살아가면서 인성의 근본이 되는 많은 부분들까지, 스스로 터득해나가야하는 소중한 지혜다.

이 조그만 책의 주인공, 몰락한 왕가의 귀여운 공주는 동굴과도 같은 침침한 궁궐에서 사는 것보다 아파트라는 이상하게 생긴 집에서 사는 게 더 좋다. 드레스를 부풀리게 하는 거북한 속치마를 입고 유리구두를 신는 것보다 시장에서 산 편안한 옷과 운동화를 신는 게 더 좋다. 그리고 아침마다 같은 시각에 아이들이 우글거리는 이상한 건물로 들어가는 것이 더없이 좋다. 자신에게 깍듯이 대하는 사람들만 보았을 공주는 자신에게 '바보' 또는 '밥통'이라고 말하는 아이가 좋다. 그 말이 듣기에도 좋은 눈치다. 공주 덕분에 왕과 왕비도 세상밖으로 나온다. 그리고 세상의 다른 딸들도 '우리 귀여운 공주님!'이란 말을 듣고 자란다는 것도 알게된다. 하지만 호기심 많고 영특한 공주는 황금빛 빛나는 왕관만은 가슴 깊이 간직하며 세상 무엇보다 소중한 자신을 잃지 않는다.

학교는 아이가 엄마라는 제 1의 세상에서 조금씩 벗어나 사회성을 기르는 첫발을 디디는 제 2의 세상이다. 그래서 나는 학교로 가는 아이의 뒷모습을 바라보며 아침마다 가슴이 뛴다. 어깨에 맨 가방에 아이의 소중한 꿈과 기억들이 소롯이 담겨 오늘도 행복한 하루가 되었으면, 하고 바란다. 그런 아이 덕분에 나도 또다른 세상밖으로 나갈 수 있으니, 떨리고 감사하다. 이 책의 공주와 왕과 왕비처럼, 내가 아니라 아이가 나를 이끌어가는 그래서 나를 성숙하게하는 존재라 생각된다. 사랑스런 공주님! 내일 또 학교에 가려면 일찍 자야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