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크라테스 카페
크리스토퍼 필립스 지음, 안시열 옮김 / 김영사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삶은 독파하는 것이 아니라 음미하는 것'이라는 글귀는 이 책을 펼치면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말이다. 삶을 혀끝에 놓고 굴려보고 뒤집어보고 천천히 꼭꼭 씹어서 맛을 보라고? 이 책은 사둔지 좀 된 책인데 이제야 손이 갔다. 게으른 천성에 몇년동안 한가지 일에 매달려 나름대로 바쁘게 사느라, 천천히 주위를 둘러보고 일상의 난제들을 음미해보는 일을 뒷전으로 미루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소크라테스 카페'는 한 젊은 저자가 여는 철학카페 이름이다. 높은 상아탑 안으로 국한되는 철학이 아니라 세상의 어느 곳, 어떤 사람들(연령, 학력, 직업이 어떻든)이 모이는 곳에서도 이루어지는 보통 사람들의 철학이다. 한결같이 그 목소리에는 자신의 삶에서 묻어나는 진실과 통찰 그리고 끊임없는 질문이 내재되어있다.

'질문이란 무엇인가?'를 1장으로 2장의'나는 어디에 서 있는가?' 에서는 '내 집'에 대해 깊이 인식하게 한다. 또한 우리의 정신과 육신을 옥죄는 감방은 역설적으로 지혜와 발전의 산실이 될 수도 있다고 한다. 저자는 어린 초등학생 철학자들과의 만남에서도 자신이 얻는 것이 더 많은 것을 기뻐한다. 우리는 늘 탐구하는 정신을 가져야 한다는 말을 하면서 앙드레 지드의 세계관에 대한 말을 인용하며, 비인간적이고 편협한 세계관은 선한 열매를 맺지 못한다고 한다.

저자가 왜 소크라테스의 추종자인가는, 이외에도 책의 구석구석에서 알 수 있다. 질문을 계속 던짐으로써 상대로 하려금 스스로 무지함을 깨닫게 한 소크라테스처럼, 저자는 답을 주는 것이 아니라 계속 질문을 던져, 말 한마디 하지 않고 앉아있던 사람까지 열띤 소통의 장으로 끌어낸다. 진정한 의사소통의 장이 참 부럽다. 헛된 이야기, 오해, 선입견, 무조건적 순응, 이런 것들은 진정한 소통을 막는 높은 벽으로 작용한다.

소크라테스 카페에 필요한 것이 있다면, 바로 '사람'이다. 우리 자신, 나 자신인 것이다. 그래서 '소크라테스 문답법의 목적은 사람들이 자기 자신, 인간으로서의 자신의 본질과 가능성을 보다 잘 이해하도록 돕는 것'이다. 저자 자신도 자신을 제대로 바라보며 생의 위기를 슬기롭게 넘겨 새로운 가능성의 세계를 찾은 것이었다. 저자는 자신이 그동안 열었던 카페와 사람들에 대한 기억을, 주제에 따라 이리저리 찾아 떠올리며 자신의 철학적인 지식과 철학가들의 이론을 함께 사유하고 비판한다. 딱딱하지 않고 말랑말랑한 무엇으로, 일상에서 '왜?'또는 '어떻게?'하고 고민했던 것들을 짧게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 된다.

카페에 참석한 한 사람의 말은, 우리의 삶 자체가 미완성일 수밖에 없는 숙제를 하는 과정이라고 들린다. 그런 우리를 무엇으로 증명할 것인가?
- '우리 자신이란 우리의 누구됨이며, 우리가 말하고 행하는 것입니다. 우리 자신은 하나의 관점이고 접근법이며 경향입니다. 우리 자신은 완성된 것이 아닌 만들어지고 있는 작품입니다.'
~ 26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