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Classics in Love (푸른나무) 7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지음, 김영하 옮김 / 푸른나무 / 2000년 10월
평점 :
품절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한 작가 로맹 가리와 헤밍웨이가 생각났다. 우리가 생을 선택하여 시작한 게 아니라면 죽음은 선택하여 맞이할 수 있는 특권이 있지 않나. 베르테르, 로맹 가리, 헤밍웨이... 이들의 선택된 죽음을 생각해보았다. 이런 죽음이, 얼마 전 생활고를 비관하여 딸을 먼저 아파트 아래로 밀어 떨어뜨리고 자신도 뛰어내린 한 젋은 엄마의 죽음과 다를까? 고생하는 부모는 안중에 없고 엄청난 카드빚과 사치 낭비로 생을 탕진하는 젊은 아들을 더 이상 감당할 수 없어 죽음을 선택한 부부는 어떤가? 정황은 다르지만 이들을 죽음으로 몰고 간 기저는 보통 사람들의 몰이해에 있다. 좀 참고 살아갈 것이지, 쯧쯧, 그 용기로 살려고 애쓸것이지, 라고 또 한번 관습적인 비난의 화살을 퍼부을 것인가.

베르테르는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자살은 정신의 열병을 앓다가 도저히 못 견뎌 숨이 끊기는 것과 같다고 했다. 열병을 앓다가 죽은 이에게 좀더 참고 열을 견뎌볼 것이지, 라고 혀를 차는 건 극단적인 몰이해의 단면이라고 했다. 베르테르는 젊다. 그는 기존의 격식과 관습을 중시하는 모든 양상에 거부반응을 보인다. 그의 권총자살은 현실의 도피가 아니라, 보다 적극적인 또다른 생의 선택이라고 볼 수 있을까. 가식과 편견으로 타인에게 불쾌한 감정을 드러내는 양자택일의 흑백논리를 베르테르는 혐오했다. 알베르트를 비롯한 보통 사람들의 논리로는, 자살이란 관습에 어긋나는, 부도덕한 행동이다. 하지만 베르테르의 선택은 자신의 소중한 감정을 가식이나 편견으로 위장하거나 상처 주지 않고, 고스란히 아름다운 것으로 간직하기 위한 최선의 선택이었다.

젊은 베르테르는 이성과 감정이라는 두 친구 사이에서 갈등하지만, 감정에 전적으로 많은 힘을 실어준다. 사람들은 그의 지성과 재능을 그가 가지고 있는 본성보다 높이 평가하지만, 정작 베르테르 자신은 그가 가진 감정을 최고의 자랑거리로 삼고 있다.

'오로지 감정만이 모든 힘의 원천, 모든 행복과 불행의 원천이라네. 아, 내가 알고 있는 지식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것이지만 내 감정만은 나만이 가지고 있는 것이라네.' ~ 145쪽

'하느님! 당신은 인간으로 하여금 이성을 가지기 이전과 그 이성을 다시 잃어버린 후가 아니면 행복하게 될 수 없도록 운명을 만드셨나요!' ~ 177쪽

베르테르는 보통 사람들이 하기 어려운 선택을 했다. 기존의 격식과 이성을 중요하게 여기는 관습이 배제된, 열정과 감정(보다 개인적이라 할 수 있는)으로 산 신인간상이다. 그 행동(표면적으로는 로테를 사랑하는 것)이 죄가 된다면 기꺼이 받아들이겠다고 하며 '죽음의 술잔'에 입을 댄다. 당시 계몽주의에 대한 강한 반발을 보여주는 젊은이답게 큰소리를 친다. 자살이라는 소극적인 반격으로 더 이상의 구차한 위선과 무서운 대중의 비난으로부터 벗어나, 무엇보다 소중한 자신의 아름다운 감정과 행복을 지킨 베르테르는 어쩌면 자신의 죽음을 선택했다는 점에서 적극적이다.

고전으로 자리매김한 이 책을 표면적인 사랑의 이야기로만 읽었던 시절이 있었다. 괴테가 이십대에 쓴 이 책에는 작가의 우울함과 젊음의 열정이 내비친다. 그 후 고전주의로 돌아간 작가이고 보면, 베르테르를 다시 만나며, 이성보다 감정에 충실했던 젊은 시절(이십대)이 그립기도 하다. 어떤 종류이든 정신의 열병을 앓는 우리가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방식이란 쉽게 비난할 수도, 동정할 수도, 찬양할 수도 없는 어떤 것이란 생각이 든다. 난 벌써 관습에 얽매이고 싶지 않은데 현실은 그런 나를 모순덩어리,어중이떠중이로 만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