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공원의 하루 -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23 마루벌의 좋은 그림책 23
조미자 그림, 강주경 글 / 마루벌 / 2000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어느 공원의 하루>는 투명수채화가 돋보이는 그림책이다. 화가의 고향, 춘천에 있는 어느 공원의 하루가 공간적, 시간적 배경이다. 이 공원이 새벽 안개를 벗는 시점에서 밤이 되어 다시 또다른 새벽을 기다리는 시점까지, 공원은 여러 색깔의 투명 수채 옷을 입고 있다. 주인공은 나무의자이다. 그 옆에 가로등 하나, 또 다른 쪽 옆에는 쓰레기통. 그리고 주위는 울창한 나무숲이다.

이 그림책을 먼저 그림부터 보면 하루동안의 색깔이 시간의 추이에 따라 섬세하고 아름답게 입혀져있다. 우리는 하루동안 주위의 색깔을 얼마나 주의깊게 들여다보고 느끼는지... 화가의 투명한 마음이 느껴져 참 기분 좋은 그림이다. 물빛, 연두빛, 초록, 파란빛, 다시 녹색에서 주황빛으로, 날이 어두워지면서 짙은 갈색에서 짙은 잉크색까지. 밤이 되어 사방이 흑갈색인데 연극무대의 스포트라이트처럼 노란 가로등빛이 나무의자를 비추어주는 장면은 따스하고 온화한 느낌으로 인상적이다.

그림 못지않게, 잔잔한 어조로 들려주는 글은 커다란 여백을 두고 적혀있다. 특이한 것은 글자들, 특히 의성어와 의태어들이 적절히 동작을 하며 몸짓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글자의 크기와 색깔 그리고 글자의 배열까지, 전체적으로 차분한 인상의 그림책을 생동감 있는 것으로 만들어준다. 마치 아이들이 까르르 웃으며 뛰어노는 모습을 보여주듯이, 나무가 한껏 파란 하늘을 향해 기지개를 켜듯이, 여우비의 빗방울이 공원에 생기를 주고 비를 실컷 마신 나무의자도 '새싹이 돋을' 것처럼 그렇게.

하루에도 여러번 다른 색의 옷을 갈아입는 공원은 어쩌면 어제가 오늘 같고, 내일도 오늘 같을 반복의 일상 속에 숨어있는, 경이로운 소리들이 다채롭게 어우러지는 곳이다. 새벽의 푸른 빛을 뚫고 공원의 하루는 '작은 소리들' 속에 시작된다. 나무들이 투두둑 잎을 떨고 일어나는 소리, 사람들 소리, 강아지 발자국 소리, 바람소리, 초록 나뭇잎을 따라 까르르 웃는 아이들 웃음소리, 후두둑 빗소리, 비가 그치고 똑똑똑 물방울 떨어지는 소리, 툭툭툭 나뭇잎이 그림자에 떨어지는 소리, 밤이 되어 가만히 들리는 풀벌레 소리, 부엉이가 들려주는 자장가 소리... 소리는 끝이 없을 것 같다.

이 모든 소리를 듣고 있는 건 한 곳에 변함없이 앉아있는 나무의자이다. 나무의자는 아이들도, 젊은 언니와 오빠도, 신문지를 덮고 자는 아저씨도 그리고 하루종일 뛰놀던 강아지도 언제든 품어준다. 공원에 가면 늘 그 자리에 있어서 편안한, 아픈 다리를 쉬어 갈 수도 있는 평범한 나무의자이다. 나무의자는 자신을 내세우기보다 타인에게 자신을 아낌없이 주고, 자신과는 다른 색깔에 자연스럽게 물들 줄도 아는 넉넉함을 지니고 있다. 해가 지기 시작하며 땅도 하늘도 나무도 해님에게 물들 때, 나무의자도 공원을 찾은 언니 오빠와 함께 물든다. '좋아하면 서로 물들어 가요.'라고 수줍은 듯 속삭인다.

나무의자는 밤이 되어 혼자가 되어도 심심하지 않다. '나무는, 땅은, 하늘은 혼자가 되기도 해요. 혼자되는 게 꼭 심심한 것은 아니에요.' 가만가만 들려주는 글이, 어둠 속 나무의자를 비추는 노란 가로등 불빛마냥 환한 인상으로 마음에 박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