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소년 미네르바의 올빼미 1
윤정모 지음, 김종도 그림 / 푸른나무 / 2003년 2월
평점 :
절판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인민군으로 끌려가기 싫어 19세의 학생은 무작정 2층의 창문을 통해 아래로 뛰어내려, 그길로 산으로 들어간다. 끝이 없을 것만 같던 피난길을 걸어걸어 내려오며 지금 들어보면 마치 영화의 한 장면 같기만 한 아슬아슬한 일들을 겪으며 부산에 도착한다. 이 학생은 바로 이제 72세가 되신 아버지이다.

아버지께선 기억의 저 편에 있는 이야기들을 해주시며 바로 눈앞의 상황인양 몸을 부르르 떠셨다. 배가 너무 고파 남의 집 부엌 창문으로 손을 들이밀어 작은 남비 째 음식을 훔쳐 먹던 일, 하도 걸어서 발바닥의 허물이 벗겨지던 일, 몇차례고 죽음의 고비를 넘겼던 일들을 풀어내시는 얼굴에 어린 슬픈 자욱을 잊을 수 없다. 고향에 대한 그리움, 두고 온 가족에 대한 안타까움이 이제는 주름진 얼굴에 아련히 배어있다.

10대에 온몸으로 겪으신 아버지에게 전쟁은, 내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관념적인 전쟁과는 다르다. 불바다가 되어 번쩍이고 있는 바그다드, 늘씬한 몸체로 상공을 날며 폭격을 하는 미사일 부대를 보며, 사이버상의 모의 전쟁 같은 멋지다는 느낌을 가졌을지도 모르는 전쟁을 모르는 세대에게, <전쟁과 소년>은 전쟁의 참모습은 그런 것이 아니라는 말을 하고 있다. 작가는 어린 나이에 전쟁을 경험한 세대이며, 전쟁의 실상은 참혹하고 아픈 것이라는 걸 가르쳐주고 싶어한다.

우리가 사물이나 현상을 바라보는 각도는 중요하다. 그런 만큼 여러 각도에서 바라보는 작업은 반드시 해야한다. 전쟁을 아이의 눈으로 바라보는 동화는 이미 있지만, 이 책은 그 정황을 그리는 방법이 에둘러 가지 않고 좀더 사실적이다. 아버지에게서 겪었던 일들을 직접 듣는 것처럼, 충격을 덜기 위한 묘사의 완충제는 없이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전쟁의 결과는 미화될 수도, 눈 감을 수도 없는, 가슴 아픈 현실이라는 것을 이 책을 읽는 어린이 스스로 보고 받아들이게 하는 방법이다. 전쟁이 남기는 상처는 세월이 지워주는 것이 아니라 어쩌면 보이지 않게 깊숙하고 크게 자리하며, 또 오래 간다.

천년 문화의 고장 경주의 한 산골 마을을 무대로, 9살 남자아이가 치르는 전쟁은, 처음엔 심심하고 외로운 것이었다. 마을 사람들 모두가 피난을 떠나고 동생을 낳으려고 하는 엄마 때문에 피난길을 떠날 수 없는 필동이와 엄마, 할머니에게 수상쩍은 말투의 7살 여자아이가 맡겨진다. 인민군의 딸 담선이와 며칠을 함께 하면서 필동이는, 전쟁은 끔찍하고 고통스러운 것이며 모든 것을 잃은 담선이에 비하면 자신은 한결 낫다는 생각으로 상처입은 사람을 품어주기까지 한다.

필동은 나이가 좀더 많은 것으로 설정되었다면 더 좋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 사려 깊다. 어려운 시절을 서로 돕는 선한 마음으로 사는 필동이네 가족과 스님, 필동에게 싱긋 웃어 준 인민군 소년병, 죽은 엄마가 생각나 필동의 엄마에게 황어를 잡아다 갖다 주고 싶어하는 담선의 마음이 군인들의 시체가 여기저기 널브러져 있던 마을의 풍경과 대조를 이룬다. 이들에게 전쟁은 싸우고 죽여야 할 아무런 이유도 목적도 없는, 오히려 마음 다친 사람들을 걱정하고 손잡아주게 하는 것으로, <전쟁과 소년>은 가슴에 잔잔한 울림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