잔소리 해방의 날 - 초등 3.4학년 온누리동화 10
A.노르덴 글, A.핀케넬레 그림, 경기대학교 아동-청소년 문학연구실 옮김 / 온누리 / 1997년 5월
평점 :
절판


외국창작동화를 접할 때면 느끼는 매력은, 훈계나 설교조가 아니면서, 아이 스스로 뭔가 깨달으며 그것이 자신의 생활 속에 녹아든다는 점이다. <잔소리 해방의 날>도 마찬가지로, 먼저 아이의 발칙한(?) 제안이 그다지 거슬리는 느낌을 주지 않으면서 선뜻 나오며 또 엄마 아빠에게 받아들여진다.

얼마전 아이로부터 '잔소리 좀 그만 해'라는 말을 듣고 아찔해지며 가슴이 무너지는 듯한 적이 있다. 이런저런 나의 말들이 아이에게는 잔소리로밖에 들리지 않는다면 이제 정말 말을 줄여야, 아니 골라 해야 할까 보다. 아이에게 하루동안 하는 말들의 목록을 만들어보면 하지 않아도 될 말들이 많을 것 같다. 정작 해야할 말들은 하지 않고 하지 않아도 될 말로 서로 벽만 쌓고 있는 건 아닌지. 서로에게 좀더 집중하는 시간으로 그 시간들을 메꾸어야하지 않을까. 한참을 아무것도 하지 못하고 생각하고 생각했다.

엄마 아빠의 간섭으로부터 하루만이라도 벗어나고 싶은 아이는 하루동안의 '잔소리 해방의 날'을 허락받고 뭔가 엄마가 알면 허락하지 않을 만한 일들을 머리 속에 그려본다. 그리고 무작정 실천에 옯겨보지만 예상대로 풀리지만은 않는다.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아이의 순진하고 착한 마음이 '이래서 아이들은 예뻐'라는 생각이 들게 하며 기쁨을 준다. 아이들 본래의 선한 심성은 잔소리가 없을 때 더 빛을 발하는가 보다.

엄마 아빠의 믿음과 속 깊은 사랑은 언제나 아이들의 마음의 고향이다. 또한 마음대로 벗어나 심술을 부리다가도 그 사랑의 힘으로 안정되고 마음 또한 커간다. 잔소리를 하지 않고 묵묵히 믿음의 눈으로 지켜보며 기다릴 줄 아는 어른이 되어야겠다. 군더더기 없이 깔끔하게 만 하루동안의 이야기를 풀어낸 이 동화를 읽고, '잔소리 안 하는 날'을 하루쯤 정해서 실천해보는 건 어떨지. 아이들은 '잔소리 해방의 날'에 무엇을 하고 싶어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