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실의 시대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유유정 옮김 / 문학사상사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 표지에 씌어있는 문구, 젊은 날 슬프고 감미롭고 황홀한 사랑의 이야기, 를 크게 공감할 수는 없다. 다소 비현실적으로 느껴지는 일관되는 분위기는 있었지만, 연애소설이 아니라 성장소설에 가깝게 느껴졌다. 17세에서 시작되는 주인공의 이야기는 주변 인물들의 죽음을 주축으로 하고 있다. 죽음은 별개의 것이 아니라 이미 삶에 깊숙이 들어와 앉아 있다.

주인공 와타나베는 시종 냉소적인듯 하다가 따스하고 이성적인듯 하다가 충동적이다. 우울함과 편안함을 동시에 느끼게 하는 종잡을 수 없는 성격이다. 우리의 젊은 날이 그랬던 것처럼 말이다. 여러 사람들의 죽음이 나열되면서 마치 제목의 '상실'이 시사하는 것이 죽음인가 하고 생각되었다.

하지만, 이 두꺼운 고백은 '내가 어디에 있는지를 모른다는 상실감'을 외치고 있다. 불확실한 미래, 내 존재의 미확인, 군중 속의 고독감으로 젊은 날은 방황을 거듭한다. 사랑한다는 건 어쩌면 나의 존재를 확인하고픈 본능에 가까운 것이다. 그것을 찾아 주인공은 거리를 헤매고, 여자친구를 만나고, 육체적인 접촉을 하고, 많은 책을 읽고, 죽어가는 분의 침상에서 오이를 와삭와삭 먹는다.

살아있음은 죽음을 보았을 때 더 생생해진다. 우리는 무수한 죽음을 딛고 생을 꾸려가며 행복하게 살아가려 애쓰고 있다. 내가 지금 어디에 있는지도 모른채. 미도리에게 전화를 걸었다가 혼란에 빠지는 마지막 장면은 꽤 인상적이다.

'대체 여기가 어디란 말인가? 내 눈에 비치는 것은 어디랄 것도 없이 걸음을 채촉하는 무수한 사람들의 모습뿐이었다. 나는 아무데도 아닌 장소의 한가운데에서 계속 미도리를 부르고 있었다.'

우리의 삶이 그대로 혼란이 아닐까? 무엇하나 확실한 것도 정확하다할 것도 없이 애매모호한 시간의 연속이다. 상실의 시대는 젊은 날의 특권이 아닌 것 같다. 주인공은 미도리에게 '온 세계에서 너말고 내가 원하는 건 아무것도 없다. 너와 만나 이야기하고 싶다.'라며 전화선을 타고 간절히 목소리를 흘린다. 전화를 걸고 싶은 나만의 '미도리'가 있다면 상실의 시대를 사는 우리에게 서로 위안이 되겠거니.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9-02-06 16:43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9-02-06 19:01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