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누굴 먹는 거야! - 내 아이 생각을 바꾸는 책
오바라 히데오 지음, 시모타니 니스케 그림, 홍주영 옮김 / 함께읽는책 / 2002년 8월
평점 :
품절


생태계의 원리는 먹고 먹히는 관계라는 한마디를 독특한 편집으로 소개하고 있는 책이다. 하나의 단원이 시작할 때마다 간결하면서 상징적인 그림을 제시하여 생각의 문을 열게 하는 식이다. 책표지의 수박에 박힌 하얀 치아들을 보면 사람이 수박을 와삭와삭 베어 먹고 있는 것 같지만, 책을 다 보고 나면 수박이 사람을 먹고 있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생물과 무생물의 집합들로 이루어져있는 자연계, 즉 동식물과 흙, 공기, 물 같은 무생물이 구성하고 있는 자연의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은 바로 광합성을 하는 식물이라는 점을 알게 한다. 그래서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의 소중함을 느낄 수 있게 만든다.

동물의 죽은 몸과 배설물은 다른 동물의 먹거리가 되거나, 박테리아가 먹어서 흙의 양분이 되어 다시 동물의 몸 속으로 들어와 영양분을 주는, 그야말로 서로 먹고 먹히는 것이 자연의 규칙이라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죽은 사람의 살을 태워 뼛가루만 항아리에 담아 묻는 화장은 자연의 규칙을 깨뜨리는 것이라는 게 작가의 생각이다.

수장이나 조장, 매장이 그런 의미에서는 자연의 규칙을 제대로 따르는 것이라 한다. 이에 대해 현대에는 맞지 않다고 이의를 제기해 보며, 자연의 구성원으로서 환경과 생명을 염두에 두고 다른 방안을 생각해보게 하는 것도 좋겠다.

이 책을 덮고 나면 자연의 하나인 사람이 죽는 다는 것에 대하여 다소 덤덤하게 자연의 법칙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과학적인 접근으로 생명철학까지로 생각을 넓혀볼 수 있다는 점이 강점이다.

죽음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이다. 먹고 먹혀서 새롭게 태어난다. 자연의 순리로 받아들이고 겸허하게 낮추어 사는 자연의 삶을 살기에는 아직도 무거운 껍질을 많이 덮고 있는 우리. 좀더 가벼운 자연의 옷을 입고 살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