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길 한빛문고 12
이문열 지음, 김동성 그림 / 다림 / 200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명상하는 시간을 매일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들은 말이 생각난다. 도가 통하면 뜨거운 눈물이 난다고. 어느 분야에서건 그 도가 통하는 순간이 있다고. 명상에서도 그 순간에 자신의 내부 깊은 곳에서 솟아나는 눈물이 있다고 한다. 그런 순간이 바로 하늘을 얻은 기분일까?

우리는 앎에의 끝모를 목마름을 가지고 있다. 알기 위해 책을 읽고, 대화를 나누고, 예술작품을 경험하고, 생각에 생각을 거듭한다. 그러나 앎에의 욕구는 채워지지 않는 밑빠진 독이다. 또한 앎 혹은 인식이란 얼마나 불확실한가. 신기루같은 인식으로 미명을 더듬어가고 있는 게 우리네 삶이 아닐까? 누군가 확실한 인식으로 살아가고 있다고 자부하는 사람이 있다면 손이라도 꼭 쥐어보고 싶다.

하늘길! 우리가 올라가려고 안간힘 쓰는 하늘이 과연 존재할까? 그저 추상적인 그 단어가 내포하는 것은 진리 또는 진실일 텐데. 그 진리의 꼭대기는 잡힐 듯 잡히지 않는 하늘의 별과도 같다. 하늘은 존재하지 않고 하늘길만이 존재하는 게 아닐까. 그 길을 열심히 가는 우리는 단련되고 슬기로와질 것이다. 그리고 어떤 난관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는 강함을 지닐 것이다. 진리를 위해 내딛는 발자국에서 충분한 의미를 건질 수 있을 것이다.

설화에서 그 모티브를 따와 작가가 하나의 판타지 문학으로 승화 시킨 <하늘길>은, 인간이 하늘에 이르지 못하는 어리석음에 대해 말하고 있다. 욕심, 거짓 감정, 경험이 빠진 피상적인 책읽기 등이 그것이다. 몸을 피폐하게 하는 찌들린 가난의 원인을 묻기 위해 하늘의 옥황상제를 찾아가는 한 젊은이는 결국 넘치는 복을 받아 부유한 생활을 하지만 또 다시 집을 나가 돌아오지 않는다. 물질적인 풍요가 채워주지 못한 어떤 갈증은 무엇일까? 그것을 나름대로 생각해 보는 일을 작가는 권하고 있는 것 같다. 진실 그 자체로 나에게도 남에게도 깨어있어야 겠다. 헛된 욕망을 버리고 진솔한 경험으로 나의 인식의 폭을 넓혀야겠다. 하늘보다는 그 길에서 만나는 것들에 인사하며 따스한 시선을 보낼 줄도 알아야겠다. 그래서 나도 뜨거운 눈물로 씻기고 싶다.

김동성이 그린 풍속화풍의 수채화는 서늘한 감동을 준다. 태평스러운 어조와 환상적인 글의 분위기와 잘 맞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