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나귀 귀 문원 세계 청소년 화제작 3
쎄르쥬 뻬레즈 지음, 박은영 옮김, 문병성 그림 / 도서출판 문원 / 2000년 7월
평점 :
품절


삽화가 아주 인상적이며 충격적이었다. 한 쪽 눈이 없는 아이들, 뭔가 결핍되어 있는 아이들이 생각났다. 가정과 학교에서 이해와 사랑을 받지 못하고, 어른들의 부조리와 위선과 욕심에 휘둘리며 살아온 아이들이었다. 한없이 위축되어 쭈그러져 있는 몸에 난 생채기와 혈종들은 마음의 상처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닌, 그런 아픈 아이들의 이야기가 여과없이 펼쳐진다. 군데군데 우리의 정서와는 다소 맞지 않는 부분이 나오지만, 그래서 더욱 강한 어조로 와 닿는 면이 있다.

부모를 괴물로 여기고 보고 싶지 않은 존재로 생각하는 레이몽은 아버지의 폭력과 폭언, 어머니의 무력함과 무관심에 멍드는 아이다. 전혀 존경의 대상이지 못하는 담임 선생님은 무책임하고 교활한 위선 덩어리로 보인다. 친구들은, 바보스러운 자신에게 몰매를 가하는 어리석고 한심한 뭉치들이다. 죠슬린, 저능아 여동생에게 느끼는 연민의 정도 증오의 대상인 부모 때문에 번번이 스스로 차단된다. 레이몽은 자신의 억압된 감정을 자폐증세를 보임으로써 분출한다.

책임을 회피하려는 선생님의 권유로 레이몽은 요양원으로 가게된다. 이 곳은 자신처럼 아픔을 간직한 아이들이 함께 지내는 자유로운 피난처이다. 폴은 이 아이들에게 아주 감동적인 말을 해 준다. 너희들은 외계인이라고, 아주아주 먼 나라에서 온 우주인이라고. 그래서 이 세상 사람들은 너희들을 잘 이해하지 못 하는 거라고. 고향의 별로 다시 가려면 날개가 필요한데, 그 전까지는 눈높이를 낮추어 이 작은 세계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너희들은 세상사람들이 말하는 것처럼 바보나 멍텅구리가 아니라, 너무나 큰 존재인 너희들이 이 작은 세상의 사람들에게 그렇게 보이는 것은 당연한 거고, 정상적인 것이라고 했다.

레이몽은 정신과 의사 앞에 입을 꾹 닫고 앉아, 이 앞에 앉아 있어야 할 사람은 자신이 아니라 부모님, 선생님 그리고 친구들이라고 생각한다. 폴과 레이몽을 통한 작가의 이런 목소리만큼이나, 후반부는 설득력이 있으며 인간적이다. 레이몽은 요양원에서 알게 된 안느를 통해 그 동안 굶주렸던 사랑의 본질을 깨닫는다. 늘 함께 있고 싶은 대상, 내가 관심을 끌기 위해 벌이는 작은 일들 그리고 대담함... 안느를 보는 순간 레이몽은 행복한 예감을 느낀다. 그러나 늘 미소만 짓고 말은 한마디도 하지 않던 안느의 슬픈 비밀을 알게 된 레이몽은 자신만이 상처를 안고 사는 사람이 아니란 것을 알게 된다.

레이몽을 집으로 데려가려고 부모님이 온다. 작가가 레이몽을 다시 힘든 현실로 끌어내는 것은, 궁극적으로 내면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처방전을 쓸 수 있는 자는 자기 자신이라는 것이다. 레이몽은 소극적으로 자기에게 가해지는 억압을 감수하며 살아왔던 예전의 태도를 바꾸어, 이제는 적극적으로 자신의 현실을 헤쳐나갈 수 있는 힘과 용기를 배운 것 같다. '쓰레기 더미처럼 더러운 곳, 힘든 곳'에서 도망치지 않고, 그 곳에서 자신의 삶을 꾸려나갈 방도를 모색할 것이다. '나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있어서도 삶이란 그리 녹녹한 것도, 달콤한 것도 아니'라지. 성장은 고통을 수반하는 것이다. 그래도 '난 죽지 않을 테야.' 3부의 이야기가 기대된다.

** 이 서평은 <당나귀 귀>가 아니라 <난 죽지 않을 테야>의 것입니다. 실수로 <당나귀 귀>에다 올렸네요. <난 죽지 않을 테야>의 서평으로 받아주시기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