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MBC 느낌표 선정도서 소설로 그린 자화상 2
박완서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199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그리 이르지 않은 나이에 나목을 발표한 후 쉬지 않고 꾸준히 작품을 써오는 작가의 글쓰기 욕망을 늘 부러워하고 있었다. 작가 스스로 내건 부제 '소설로 그린 자화상'이란 문구가, 제목에 나오는 싱아와 무슨 관계가 있을지, 고 예쁜 이름 '싱아'란 무엇인지, 궁금증을 손에 쥐고 단숨에 읽었다. 인생의 황혼녘에 자화상을 그린다면 나는 어떤 모습으로 그리게 될까? 붓이 아닌 펜으로 그린다면.

이 소설은 작가의 기억이란는 실타래의 끄트머리를 잡고 풀어헤쳐진다. 단지 기억이라는 것에만 의존하여 쓰는 새로운 글쓰기를 시도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그것이 그리 새로운 방식이라고는 보아지지 않는다. 어느 글이건 작가가 드러나지 않기란 어렵고 어쩌면 그런 것은 공허한 것으로 독자에게 공감을 주지 못할 지도 모른다. 기억은 주관적이다. 방금 전의 상황도 사람에 따라 각자 다르게 기억되는 것이다. 기억이란 그만큼 자신의 상상력이 개입되지 않을 수 없는, 그래서 그 사람에게는 오히려 처참하리만큼 진실일 수 있는 도구이다.

이 작품을 넘기면서 싱아가 작가에게 다가가는 의미가 무엇일지 생각해 보았다. 고향 산기슭이나 길가 아무데나 있었던 새콤달콤한 맛의 싱아는, 작가가 서울 변두리에서 살 때 아카시아꽃으로 상한 비위를 가라앉히는 데는 그만일 것으로 기억되는 것이다. 차츰 도시의 생활에 젖어들면서 싱아에 대한 기억은 '여전히 지천이었지만 이미 쇠서 먹을 만하지는 않았'던 것으로 된다. 싱아는 고향 박적골에서의 작가의 아름다웠던 유년을 떠올리게 하는 상징과도 같다.

내 유년의 '싱아'는 어디있을까? 나는 지금도 밤하늘의 달을 보기를 좋아한다. 가만히 들여다보면 마알간 얼굴이 내비치는 것 같은 환상과 함께, 내 어릴 적 대사건과도 같았던 기억이 떠오르기 때문이다. 어린 내게는 분명 대사건이었다. 저녁에 엄마 심부름으로 외할머니 댁에 갔다오는데 커다란 보름달이 나꾸 나를 따라오는 것이었다. 빨리 가면 빨리 따라오고 천천히 가면 달도 걸음을 늦추는, 그건 황홀한 발견이었다. 집에 들어서면서부터 기쁨에 찬 목소리로 호들갑을 떨던 기억이 난다. 지금은 아무도 그 일을 기억하지 못하겠지만 나만은 그렇게 신비한 경험이었다. 시골에서 자란 적은 없지만 도시 변두리 큰 우물이 있었던 그 넓은 마당을 환히 비추던 그 달을 잊을 수 없다. 내 유년의 싱아, 달은 지금도 깨끗한 얼굴을 내밀곤 한다.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을 잇는 아픈 현대사를 순전히 작가의 기억으로만 썼다고 해서 특별히 점수를 주고 싶지는 않다. 그 시대를 살아온 아버지 어머니들에게서 이런 정도의 아픈 자화상을 찾아내기란 그리 어렵지 않다. 자신의 기억에 의미있는 상상력으로 그림같은 묘사를 펼치는 작가의 순수성에 손을 들어주고 싶다. 묘사는 섬뜩하리만치 냉소적이기도 하고, 가슴이 아릴 정도로 아름답기도 하다. 모두 진실의 힘이 아닌가 한다. 작가가 말하는 '자기 미화의 욕구'는 그런대로 잘 자제되었다고 생각한다. 글을 씀으로써 '벌레'로부터 해방되고자 하는 작가의 열정 또한 높이 사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