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나무가 다시 살아났어요 - 아이과학 1단계, 생물영역 아이과학
김동광 지음, 정순임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1년 9월
평점 :
절판


'과학과 기술, 사회가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과학도 처음부터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가르쳐야 한다'는 철학이 아주 공감이 간다. 아이과학 시리즈로 나온 책들 중의 하나인 <죽은 나무가 다시 살아났어요>는 순환하는 생태계의 원리를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부드럽게 깨우쳐주는 책이다.

벼락을 맞고 쓰러진 숲 속의 나무 두 그루. 한 그루는 개울로 떨어지고 또 한 그루는 숲 쪽으로 떨어진다. 물로 떨어진 나무는 자연스레 둑을 만들어, 세월이 흐르면서 커다란 웅덩이가 생긴다. 죽은 나무가 만든 웅덩이 속에는 맛있는 먹이가 많으므로 여러가지 생물들의 보금자리가 된다.

'물에 떠내려가지 않은 다른 나무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이 죽은 나무로 제일 먼저 달려온 것은 곤충, 그 중에서도 나무좀벌레이다. 영양분이 풍부한 속껍질을 먹기 위해 겉껍질을 뚫고나무에 길을 내는 나무좀벌레 덕분에 개미와 다른 곤충들도 나무 속으로 들어가 곤충들의 풍성한 잔치가 열린다.

이 잔치는 앞으로 있을 동물들의 더 큰 잔치의 예고편에 불과하다. 신비로운 일들이 이들도 모르는 사이에 벌어지고 이제 이 죽은 나무는 갖가지 생물들의 보금자리가 된다. 그리고 이 곳에서는 여러 종류의 동물과 식물들이 서로를 도와 가며 더불어 살아간다. 서로에게 도움을 주고 또 받으면서, 이 생명체들 사이에는 엄연한 질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죽은 나무는 점점 모습을 알아볼 수 없게 된다. 다른 나무의 뿌리가 파고들어 더 작은 조각으로 부수어지는 것이다. 동물들은 하나둘 다른 보금자리를 찾아 떠나고 나무는 다시 흙으로 돌아가 이제는 그 형체를 찾아볼 수 없다. 나무는 죽어 흙으로 돌아갔지만, 그 자리에는 많은 동물과 식물들이 자라난다.
'나무는 죽어서 정말 많은 것으로 다시 태어난'것이다.
장엄하다.

한 세대가 가면 또 새로운 세대가 어김없이 그 자리를 대신하는 우주의 생명 원리를, 자연과 인간이 별개의 것이 아님을, 나무를 통해 쉽게 느끼게 하고 있다. 세밀하게 그린 그림들을 들여다 보는 재미도 솔솔하고, 글도 초등 저학년 아이들이 접근하게에 맞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