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나무' 아래서
오에 겐자부로 지음, 송현아 옮김, 오에 유카리 그림 / 까치 / 2001년 10월
평점 :
절판


노벨 문학상 수상 작가이자 실천하는 지성인으로 알려진 오에 겐자부로의 교육 에세이라는 문구가 다소 상투적인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가지고 이 책을 폈다. 그러나 이 책은 에세이가 아니라 한 편의 성장소설과도 같은 짜임새로 일관된 이미지를 심어주고 있다.

'나의 나무'

몇년 전부터인가 해오지 못하고 있던 일이 떠올랐다. 양산 어느 절의 너른 마당에 있던 나무들 중 하나가 눈에 띄었다. 벌써 6년 전의 일이다. 큰아이가 세살 때, 우리 부부는 그 나무를 아이의 나무로 정하고, 그 나무에 아이의 등을 대게 하고 사진을 찍어 주었다. 해마다 같은 때(아이의 생일은 12월) 이 곳에 와서 '아이의 나무'와 함께 사진을 찍어주기로 하였다. 가지만 앙상한 그 겨울나무는 잿빛 하늘을 향해 기운차게 가지를 벋고 있었다. 모든 걸 다 벗어버리고 굳건히 서 있는 그 나무가 봄기운과 함께 다시 피어올릴 것들을 생각하니, 마음 한 구석 참 희망찼던 기억이 난다.

'계속'

하나의 몸체 안에서 쉼없이 돌고 도는 계절의 여행을 하는 한 그루 나무처럼, 작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이 때부터 어른이 되기까지, 자기 안의 '인간'은 서로 이어져 있'고 '계속되고 있다'고 생각해도 좋을 것이라 한다. 그러므로 '자기 나름대로 시작하는 삶의 방식은 평생 계속되'며, '계속한다는 것은 중요하'다고 들려준다. 어린 시절의 공부와 경험이 얼마나 소중하고 의미있는 것인지, 어떻게 잘 키워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자신의 목소리를 최대한 낮추어 들려주는 방식이다. 그리고, 평생 '계속'되는 자신의 삶의 방식이란 성인이 되어서도 끊임없이 가꾸어나가야 할 숙제라는 생각이 든다.

-지금의 너는 어른인 너에게 계속되어 있어. 그건 네 등뒤의 과거의 사람들과, 어른이 된 네 앞의 미래의 사람들을 잇는 것이기도 해.

한 사람 한 사람이 과거와 미래를 잇는 현재의 주인공으로서 얼마나 소중한 존재인지를 망각하고 자신에게 폭력을 휘두르는 행위(자살)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설득하고 있다. '돌이킬 수 없는 일은 없다'라고 말하며, 이제 돌이킬 수 없는 일을 해야만 한다고 번민하게 된다면, 그때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기다려보는 힘'을 내어 보라고 말하고 있다. '어느 정도의 시간'을 기다리는 데에는 용기도 필요하고 부단한 힘을 길러두어야 한다. 살아가면서 이 '어느 정도의 시간'이란 것이 해결해 주는 것들과 의외의 소득이, 이전에 가졌던 번민의 시간들을 무색하게 하는 때가 종종 있다.

큰아이의 뒤로 당당히 서 있는 겨울나무는 지금 '어느 정도의 시간을 기다리고' 있다. 뿌리 저 밑에서 건져올린 인내와 강인함으로 생명을 부단히 잇고 있다. '계속하고' 있다. pepper and salt에서 salt가 좀더 많은 머리카락이 되었을 때, 내 안에 있는 '어린 나'가 '나는 어떻게 살아왔습니까?'하고 물어오면, 나무처럼 살아왔다고 말할 수 있을까? 살면서 자신 안에 들어있는 '어린 나'와 수시로 대면하기를... 순수와 열정으로 세상을 바로 보는 작가의 맑고 차분한 눈빛을 닮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