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저먹기 외국어 난 책읽기가 좋아
마리 오드 뮈라이유 글, 미셸 게 그림, 최윤정 옮김 / 비룡소 / 1997년 3월
평점 :
절판


사람은 태어나면서부터 언어생활이 시작된다. 듣기만 하는 단계에서 한 음절씩 늘여가며 말하는 단계에 오면 부모는 거의 환희의 지경이다. 언어는 숨을 쉬고 옷을 입는 것처럼 자연스러운 것이다. 모국어 습득은 그런 자연스러운 과정을 거치는 것이다.

그러나, 외국어라는 과목으로 들어가면 숨이 막혀온다. 혼돈스러운 것은 둘째로 하더라도, 왜 그 어렵고 이상한 언어를 배워야 하는가 라는 질문에 접하면 말문이 막힐 때가 있다. 지구촌시대에 필요한 거라고? 아이에게 영어학원을 보내면서도 지금의 과열 영어교육 풍조에 때론 회의적인 마음이 들 때도 있다. 그것이 목적이 아니라 삶을 풍요롭게 하기위한 수단일 뿐이라고 생각하면서도 말이다.

<거저먹기 외국어>는 언어란 본질적으로 사람과 사람간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성립되는 약속과도 같은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주인공 아이의 한달간의 외국에서의 휴가 동안 우연잖게 빚어진 재미있는 에피소드를 통해, 이런 본질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외국어 앞에서 주눅들 필요가 없다고 우리의 아이들에게도 격려가 된다. 외국어에 끌려다니는 것이 아니라, 외국어를 능동적으로 바라보며 주도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당당할 필요가 있다. 어차피 외국인이 보기에 우리말도 외국어인 것을...

역시 효율적인 학습에는 동기부여가 되어야 하고 무엇보다 거기서 즐거움을 얻어낼 수 있어야 함을 증명한다. 외국어라고 예외가 아니다. 우스꽝스러운 외국어 만들기 놀이때문에, 어른들로부터 외국어에 재능이 있는 걸로 인정받은 아이는 이제 8개국의 외국어에 통달한 유명한 학자가 되었다. 외국어를 좀더 편안한 마음으로 대하며 주도적인 입장에서 배워서 유용하게 사용하라고 말해줄 수 있을 것 같다, 이 유쾌한 책으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