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 살아있는 교육 2
이오덕 지음 / 보리 / 1993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초등학교 4학년 때의 일이다. 교내 글쓰기대회에서 '산길'이라는 주어진 제목으로 시를 써 당선되었던 적이 있다. 한 연에 4행씩 네 연을 썼다. 운율과 반복 어미까지 활용하여 잘 썼다고 내심 우쭐하였었다.

<글쓰기 어떻게 가르칠까>를 읽고 나의 글쓰기가 얼마나 잘못되어 있나를 깊이 느끼게 되었다. 교과서에서 본대로, 내가 겪은 '산길'이 아니라, 온통 머리로 짜내어 일정한 틀 속에서 말을 짜맞추어 쓴 그 때의 시. 예쁜 말로만 채워야 되는 줄로 알고 내 마음과 내 생활은 하나도 담지 않고 쓴 시. 이런 시가 아직도 우리 아이들 교과서에 버젓이 실려있고 또 그것이 잘 된 시라고 소리없이 가르치고 있다.

글쓰기에 어느정도 관심도 능력도 있어보이는 큰아이에게 안 그런 척 하고 있다가도 한번씩 나의 조바심을 눈치채게 할 때가 있다. 자연스럽게 아이가 쓰고 싶다는 생각이 들 때,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마음을 다 드러내어 정성껏 쓰게 하여야 하는데도 말이다. 지은이는 '사람이 숨을 쉬는 것은 코로 하지만 마음의 숨은 표현으로 쉰'다고 한다. '더구나 아이들의 표현은 아이들의 생명을 이어가고 생명을 키워가는 귀중한 수단이 된'다고 한다. 아이들의 마음에 숨쉴 구멍을 내주는 일이, 자신의 이야기를 자유롭게 글로 표현할 수 있게 해 주는 것이라고.

이 책은 우리의 글쓰기 교육과 좋은 글이란 어떠해야 하는 것에 대한 잘못된 생각들을 날카롭게 집어내고 있다. 많은 걸 알게 하고 바로잡아주는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티없고 거침없는 생각들을 오늘도 하고 있을 우리의 아이들이 쓴 글을 무엇보다 많이 읽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들의 글을 바르게 볼 줄 아는 눈을 길러야겠다. 감정도 도덕도 생생한 표현도 모두 무디어진 어른들이, 멈추어서서 자신을 돌아볼 수 있게 하는 것도 다름아닌 아이들이 쓴 살아있는 글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글쓰기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되며, 글은 삶을 가치있는 것으로 가꾸어가는 수단이라고 말한다. 글쓰기를 목적으로만 바라볼 때, 지금의 온갖 그릇된 관행과 인식이 치유될 수 있는 길은 더 멀어질 것이다. 우리 것을 하찮게 여기는 마음은 깨끗한 우리말보다는, 외국어법에서 나온 말과 관료적인 어려운 말을 골라 써서 자신이 좀더 유식한 것처럼 보이려는 어리석음을 낳는다. '깨끗한 우리말'을 살려서 글을 쓰는 것이 오히려 더 어려운 것이 되버린 어른들을 닮아가지 않게, 글에 담긴 생각만큼 깨끗한 우리말을 살려서 글을 쓸 수 있게 지도해야겠다. 어른들이 먼저 모범을 보여야 할 문제다.

'글쓰기와 삶에 대한 자신을 가지게 하고 자기 표현의 마음을 일으키도록' 난 아이의 책상위에 슬그머니 책 한 권을 올려놓고 '엄마아!' 하고 들어올 아이를 기다린다. <1.2학년 아이들이 쓴 글 모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