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

 

                                                                             안홍렬

 

금강 근처에 살 때에는 강이 낯설어서

강가에 서기가 두려웠다.

강가에 가면 강의 깊이와 만날 수 있을까

강을 찾아 가다가

중도에서 포기하기가 여러 번이었다

가만히 앉아서 강을 생각하면

강은 참으로 보고 싶다

강가에서 멀리 이사를 오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하나 얻었다

그러나 강은 아직도 낯설고 두렵다

이제 강을 찾아가도 될 때라면

한 번 용기를 내야 하겠다

두려움은 피할수록 커지는 것

어서 강과 만나 늦은 이유를 말해야 하겠다.

 

                                                                      <아름다운 객지> (대교출판)

 

# 안도현 시인은 충남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 낯선 시인으로부터 어느 날 시집 한 권을 받고 고마웠단다. 이윤택 시인이 시집 해설에서 극찬하고 있는 인용글 중 일부를 옮기자면...

" ...신동엽의 금강이 서사적 정서를 확보했다면, 안홍렬의 금강은 서사적 정서 자체까지 인간의 존재론으로 수렴해 내는 데 성공한 것이 틀림없다.... 자연으로서의 금강 - 그러나, 금강은 바로 나라고 하는 자기 인식의 수면이다. 그 깊이를 알 수 없는 심증이다 - 이 인간 내면의 심증을 흐르는 강이야말로 시를 시이게 하는 상상력의 수면인 것이다...."

# 내가 결혼하기 전까지 살았던 동네에서 한 10분쯤 걸어가면 낙동강둑이 나온다. 낙동강의 파수꾼 요산 김정한 선생이 가지는 올곧은 의식은, 부끄럽게도 내게 없고, 다만 비릿하고 찝찔한 홍합을 삶아 파는 리어카와 구수한 번데기 냄새,  초등학생 때 사생대회를 갔던 기억, 철없던 이십대의 치기, 괜한 낭만(이라고 생각했었던) 같은 것들이 생각난다.

아주 어릴 적 일이라 난 생각나지 않지만, 지금도 작은 이모는 한 번씩 이야기 한다. 이모가 스무살 때 친구들이랑 배를 타고 낙동강을 건너 저 편으로 가 딸기를 따기로 했는데, 다섯 살짜리 내가 자꾸 따라가려 해서 데려갔다가 업고 다니느라 진땀을 뺐단다. 조그만 게 몸무게가 보통이 아니었다나. 보기엔 그렇지 않은데, 안거나 업어보면 돌덩이 같았단다.

지금도 그곳 낙동강둑에 젊은 사람, 늙은 사람, 이런 저런 사람들이 많이 오는지 모르겠다. 한번 가보고 싶어진다. 그곳 둑에 앉아 바라보았던 낙동강은 사실 그리 낭만적이지 않다. 더럽고 이곳저곳 지저분하다. 하지만 고개를 들고 멀리 보면 괜찮다. 뭐든 너무 가까이서 보면 사람을 질리게 한다. 턱을 약간 치켜들고 들숨을 쉬면 강바람이 살랑거리며 코로 스며든다. 강물은 언제나 고요하고 담백한 미소를 짓고 있지만, 지금에 와서 생각해보니, 사실 내가 찾아갈 때마다 강물은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었다.

안홍렬 시인은 아마도 강물처럼 소금기 없는 담백한 심성의 사람이 아닐까 싶다. 꼬여있는 듯한 강제성의 은유나 난해한 이미지의 나열 없이 아주 솔직한 자신의 회한을 고백하고 있는 시인이 강물을 닮아있는 것 같다. 우리는 역시 거울을 보며 나를 들여다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을 통해, 사물을 통해 나를 보는 것임에 틀림없다. 그래서 투르니에는 타인을 포함한 모든 대상을 그렇게 꼼꼼히 들여다보고 메모하고 자신의 사유 세계를 넓혀가는 것이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