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론가 매혈기 - 글을 통해 자신을 단련시킨 한 평론가의 농밀한 고백
김영진 지음 / 마음산책 / 2007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삼관 매혈기’를 쓴 위화를 만났던 기억이 무척 인상적이었던지 저자는 ‘매혈기’라는 문구를 인용했다. 위화의 대답은 그의 진지함을 희석시키는 것이었지만 책은 다소 비장감이 느껴지는 제목이다. 요즘 자주 비유되는 낱말에 ‘연애’라는 게 있다. 그만큼 열정적으로 사랑한다는 의미일 테다. 조금 식상하게도 영화평론가 김영진은 영화를 만나는 일을 그것에 비유하고 있다. 선뜻 내키지 않았다. 이성보다 감정이 우선할 것 같은 ‘연애’에 지성이 우선할 것 같은 평론이 잘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금 더 읽어보면 그는 피를 팔고 다시 피를 수혈 받듯이 영화평론을 쓴다는 대목에서 지독한 ‘연애’의 심정이 느껴지는 것이다.

 김영진이라는 사람에 대해 나는 전혀 아는 바도 들은 바도 없었다. 그의 글을 읽어본 것도 이 책이 처음이다. 평론가 매혈기,라는 제목으로 오른 리뷰에 호감이 가서 읽게 된 책이다. 게다가 내가 조금은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는 영화를 즐겨보는 사람의 글이라고 하니 군침이 돌았다.

 그가 영화와 연애를 한 시기는 오래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모두 3부로 나뉜 내용 중 첫 번째 장은 주로 그의 연애사라고 보면 된다. 간명하고 힘찬 헤밍웨이의 문장을 좋아한다고 썼듯이 그의 글도 꽤 간결하고 담담한 편이다. 이 책에 언급된 영화 제목은 모두 206편 정도가 된다. 내가 보았던 영화도 있지만 못 본 영화들이 물론 훨씬 많다. 그 중 관심이 가는 것들은 챙겨서 보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장을 넘기며 하나씩 메모를 해 보았는데 무협영화에서부터 우리나라 영화까지 무작위로 오고가며 영화와 감독, 사람과 세상을 이야기한다. 물론 그의 주관적인 간택을 받은 감독들이다. 그의 영화 애정사를 보면 역시 한 우물을 파는 사람의 깊이와 집요함이 엿보이기도 한다. 2부에서는 특정 감독과의 조우를 통해 느낀 바를 술회하고 그 감독의 개성적인 부분을 사랑하게 된 내력을 읽을 수 있다. 3부에서는 영화 연애사에 깊이와 통찰을 더해준 위대한 국내/국외 영화감독들에 대한 이야기와 유명한 영화 이야기를 읽을 수 있다. 소제목으로 그 감독들의 이름을 적어두었더라면 후일에 다시 찾아보기에 편리하지 않았을까 싶다. 여기서는 객관적인 평론이거나 직관적인 감성으로 종횡무애 하면서, 일면 재미있는 비화들도 엿들을 수 있다. 관심이 가는 영화들이 많았다.

 글은 술술 읽힌다. 어느 감독과 만났던 인상적인 기억들도 들을 수 있고 어느 영화에 얽힌 자신만의 기억과 생각의 변화들도 읽을 수 있다. 이 책이 내게 의미가 있다면 영화를 보는 것은 인간(영화 속 인물이거나 감독이거나)에 대한 이해를 더 깊이 하게 한다는 것으로 귀결될 듯하다. 비현실적으로 어두컴컴한 극장을 나오는 순간 과연 인간은 나아지고 있는가. 욕망이 꿈틀대는 그 작은 의자 공간 속에 푹 파묻혀 있다가 세상 밖으로 나오는 순간, 인간은 어느 한 순간에 아직도 머무르고 있는 건 아닌지. 적어도 인간적인 그 무엇에 기준 한다면. 그렇다면 세상은?

 책에서 읽게 된 가장 인상 깊은 감독으로 허우샤오시엔과 아네스 바르다를 꼽고 싶다. 허우샤오시엔은 '영화가 생활을 카피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자신의 영화가 대만에서 인기가 없는 것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영화감독은 관객에게 등을 돌려야 한다. 자신이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가에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훌륭하다, 관객의 입맛에 혹은 독자의 입맛에 맞는 작품을 만들지 않고 오로지 자신이 추구하는 것에 집중하겠다는 의지가.

 

 아네스 바르다는 “나이를 먹으면서 어떤 가벼움이 온다. 누군가에게 보고를 해야 한다거나 비평받는 걸 두려워하는 감정이 없어진다. 내가 아무리 초연하려 해도 노년은 이미 내게 다가왔다.”라고 말하며 “좋아, 이제부터 이삭 줍기를 하는 사람들을 찍으러 가자. 나의 무거움, 사회적 책무를 갖고 영화를 만드는 나의 무거움의 산물이지만 동시에 삶과 영화에 대한 나의 사랑, 미술관에 가는 걸 좋아하는 나의 가벼움의 산물이기도 하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늙은 손을 직접 비추어 보여주는 다큐멘터리 영화 <이삭 줍는 사람들과 나>를 찍은 할머니 예술가다. 평론가 김영진이 존경해마지 않는.

 평론은 예술 작품을 텍스트로 한다. 지상의 어느 평론가도 그 작품을 만든 예술가보다 나을 수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자신의 피를 뽑아 쓴다기보다, 작품의 피를 빨아먹고 또 새롭거나 조금은 다른 형의 피를 불어넣기도 하는 평론이란 작업에 얽힌, 그만큼 꼬장꼬장하면서도 겸손한 영화 평론가의 밀담이다. 이제는 더 이상 내밀하지 않은 게 되어버렸지만 공유된 직관과 경험이 읽는 맛을 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01-04 14: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이 책 사 놓기만 하고 손 안 댔어요~~ 그래서 2008년은 일단 지름신을 묶어 두고 있어요. 님의 리뷰 읽으니 빨리 봐야할 것 같지만, 워낙 밀린게 많아서 언제 차례가 올지ㅠ
우리 같은 G조라서 너무 반가워요! ㅎㅎ 사실은 경쟁관계인데도 말이죠! ^^

프레이야 2008-01-04 13:48   좋아요 0 | URL
순오기님 저도 벌써 지름신 강림하사 어제 한 박스 받았어요.
책 두권에 음반 둘, 채플린 전집 디비디로다가..
있는 거나 잘 읽고 봐도 될텐데 말에요.
우리 조 아자아자 잘 해보자구요^^ 님이랑 한 조라서 헤벌쭉이에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