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적인 영화가 떠올랐다. I Am Love, 의 마지막은 여주인공 엠마가 집을 뛰쳐나와 동굴에 누워 있는 장면을 비춘다. 자궁이 연상되는 이 광경은 거대하지만 차가운 집, 사방이 훤한 유리문 안에서 남자의 소유물처럼 영육이 감금된 채 살던 여자, 천박한 부르주아 사회에 이식된 가난한 이국여자가 맨발로 탈출해 꾸밈없는 자연으로 들어간 것에 불과한 게 아니다. 생명력 넘치는 사랑을 나누며 가장 행복해 보이는 그 표정은 아기처럼 순수하고 어떤 초월성이 느껴진다. ‘흙의 자궁’ 속에서 여자는 근원적 고향의 기억, 잊혔던 과거와 소리 내지 못한 자신의 목소리를 떠올리며 편안해진다. 이후의 이야기는 이전의 이야기기와 다를 것이다.

메리 셸리는 <최후의 인간>(1826) 서문에서 동굴에 대한 또다른 이야기를 소설 형식으로 담는다. 작가 자신을 은유적으로 사라지는 예언자, 모든 여성 예술가들을 잉태했던 신화 속 최초의 예언가의 딸로 그린다고 하며 이 장에 긴 발췌문이 적혀 있다. 구매하려고 보니 1권이 품절이다.

- 3장 동굴의 비유

‘창조‘는 자신을 ‘보이게‘ 만드는 ‘갈라진 거대한 틈처럼 보였기‘ 때문에 그녀는 또다시 은신처인 ‘어둡고 지붕 없는 동굴‘로 숨어들었다. 그곳에서 그녀는 파편일지라도 자신의 진실과 홀로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 P227

무녀의 잎들을 다 같이 꿰어 맞추는 메리 셸리처럼, 그 비전은 보부아르의 글에 나오는 동굴에 사는 침모의 예술을 지하에서 ‘베 짜는 여성‘의 강력한 예술로 전복적으로 변형시킨다. 베 짜는 여성은 여성 고유의 ‘낙원의 태피스트리’를 짜기 위해 자신의 마술적인 베틀을 사용한다. 그런 비전이 가능했고 현재도 가능한 곳이 동굴이라는 사실은 그 자체로 동굴의 힘과 동굴의 비유가 주는 중요한 메시지다. 이 메시지를 통해 동굴이란 단순히 과거가 회복되는 장소일 뿐만 아니라 미래를 잉태하는 장소, 새로운 땅이 솟아오르는 ‘흙의 자궁‘(또는 윌라 캐더의『나의 안토니아』에서처럼 ‘열매 동굴‘)이라는 사실을 우리는 떠올릴 수 있다. - P2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