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고생 아니 에르노 시점.
알랭 레네의 “지난해 마리앙바드에서”

대학 강의실에서의 아니 에르노.
경멸과 욕망의 이중감정을 담은 언어 자각.

나는 그들에게 다가갔다. 여자아이들끼리 나누는 대화, 소설, 잡지 <유행의 메아리>에서 읽은 충고들, 뮈세의 시 몇 편, 내가 큰언니라 생각하는 ‘마담 보바리‘의 지나친 몽상들 같은 작은 지식을 가지고, 내 마음 깊은 곳에는, 홀로 찾아낸 쾌락의 욕구가 적절하지않다는 생각이 감추어져 있었다. 나에게 세상의 반쪽은 정말 미스터리였지만, 그 반쪽은 축제일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 남자아이들과 나 사이의 불평등, 신체적인 것 외의 다른 차이에 관한 생각은, 한 번도 경험해보지 않았기 때문에 나는 정말 모르고 있었다. 그것이 재앙이었다. - P115

나는 지나침과 모자람 사이에서 제대로 행동할 줄 몰랐다. 쌀쌀맞은 동시에 바람기 있는 여자, 바보 같은 미소, 숨 막히는 경탄, 그리고 맡은 역할에 대한 피로, 더는 스쿠터를 타고 한 바퀴 돌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았다. 나는 나 자신을 탓했다. 남자아이들은 언제나 남자아이들일 거니까. 영어 문법에서는 보편적 진리의 예로 "Boys will be boys" 라는 문장을 든다. - P128

내가 계시처럼 기다려온 그 학년, 그 반에서 종교가 나를 망가뜨리게 둘 수는 없다. 그리고 나는 대도시와 높다란 고택들 사이를 누비는 익명의 도로, 어린 시절에 내게 보상이 돼주었던 도시 루앙을 갈망한다. 축제의 도시였던 루앙은 결국 내가 매일매일을 보내는 도시가 될 것이다. 나는 이 작은 상점, 벽에 온통 스며든 커피 냄새, 날씨에 마법을 거는 노랫소리, 익숙한 생활과 죽음을 떠날 것이다. 나는 충분히 강한가. 아버지는 아무 말이 없고 어머니는 곰곰 생각하더니 외친다.
"네가 원하면 떠나라. 여자아이라고 엄마 치마폭에 영원히 남아 있으란 법 없다!" - P136

그를 이해하고, 그의 관심사를 공유하고, 상냥해지려는 노력, 나는 그 모든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 그와, 그들과, 진정으로 소통하기 위해 내가 섭렵한 모든 것, 재즈, 현대미술, 심지어 어느 조류학자의 새소리, 어느 가톨릭 신자를 위한 샤르트르 대성당 순례와 기도, 그리고 물집 잡힌 발까지. 기쁘게 해주기. 어쨌든 <지난해 마리앙바드에서>가 아니라, <마지막 일몰>을 보러 간다고 해서 뭐가 달라질까? 그도 서부영화를 좋아할 권리가 있으니, 나는 혼자 알랭 레네의 영화를 보러 가면 된다. 상호교감이라곤 하나도 없을 테니까. 그리고 나는 그들이 원하는 대로 내 모습을 바꾼다. - P145

폴 엘뤼아르의 시에서 "나는 간다 생을 향하여, 나는 인간의 얼굴을 지닌다"라는구절을 읽었을 때, 나는 바로 나 자신을 떠올렸다. 남자들이 경멸적으로 우리를 계집애, 멀대라고 부르는 것을, 나는 어휘 측면에서 명백하게 구분하지 못했고, 흔히 남자애들을 멍청이, 새끼, 고추들로 구분해 불렀지만 일다와 나는 이 단어들의 혐오스러운 의미를 잘 몰랐다. 연애할 만한 가치가 없는 하찮은 녀석들이란 뜻으로 나는 고추들이란 단어를 썼는데, 이 단어가 멀대라는 단어의 대응어임을 인정할 수밖에 없다. 계단식 강의실의 남자동료들, 식당 친구들, 허공을 쳐다보는 기차 여행객들 중 누구에게도 나는 3주 이상 의존하지 않았다. 그들은 내가 누리는 자유의 풍경 속에 있었을 뿐이다. - P15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