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외에도 걷고 앉고 말하고 웃고, 길에서 크게 소리쳐 부르고, 먹는 몸짓과 물건을 잡는 방식들이 유럽과 프랑스 시골을 바탕으로 둔 과거의 기억을 몸에서 몸으로 전했다. 개개인이 다르고, 착한 이들과 못된이들로 나뉘어도, 사진으로는 볼 수 없는 유산이 가족구성원들과 마을 사람들 그리고 우리와 똑같은 사람이라고 했던 모든 이들을 하나로 만들었다. 습관들, 벌판의 아이들과 작업실의 청소년들에 의해 형성된, 까마득히 오랜 옛날의 아이들이 선행했던 모든 몸짓들: - P33

자신을 더 잘 알 수 있게 해주는 중요한 질문이 하나 있다면 그것은 나이마다 자신이 살아온 해를 규명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과거를 어떻게 그릴 것인지를 묻는 것이다. 두 번째 줄에 있는 여자아이에게는 어떤 기억이 적합할까? 어쩌면 그녀에게는 지난여름의 기억외에 다른 기억은 없는 게 아닐까. 그녀 안에 들어왔다가 사라진 육체, 남자의몸, 상(像)이 거의 없는 그 기억.
그녀는 미래를 위한 두 가지 목표를 가지고 있다 : 1) 날씬해지고 금발 머리가 되는 것, 2) 자유롭고 독립적인 세상에 쓸모 있는 사람이 되는 것. 밀렌느 드몽죠와 시몬드 보부아르를 보며 꿈꾸기. - P97

그녀는 어느 순간에 자신이 배워온 모든 것들을 감당할 수 없다고 느낀다. 그녀의 몸은 젊고, 그녀의 생각은 늙었다. 그녀는 일기장에 이론이 만능열쇠라는 생각에 진저리가 나고", "다른 언어를 찾고 있으며", 원초적인 순수함으로 돌아가기를 원한다고 적었으며그녀는 낯선 언어로 글쓰기를 꿈꾸고 있다. 그녀에게 단어란 밤이 드리워진 천의 가장자리에 수를 놓은 일"이다. 권태에 반박하는 "나는 의지이고 욕망이다." 같은 문장도 있으나, 무엇에 관한 의지이고 욕망인지는 쓰여 있지 않다. - P112

20년 후의 여성은 상념이자 유령이다. 절대 그 나이가 될 수는 없을 것 같다.
사진 속의 견고하고 아름다운 소녀를 보면서 그녀의 가장 큰 두려움이 광기라는 것은 짐작조차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녀는 그 광기를 순간적으로나마 보존하기 위해 글쓰기만을 - 어쩌면 남자도 - 생각한다. 그녀는 과거, 현재의 장면들과 밤에 꾼 꿈들 그리고 미래의 상상이 그녀의 또 다른 자아인 "나" 안에서 교차되는 소설을 쓰기 시작했다.
그녀는 전혀 «개성»이 없다고 확신한다. - P113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