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나 아렌트 평전 - 경험하고, 생각하고, 사랑하라
사만다 로즈 힐 지음, 전혜란 옮김, 김만권 감수 / 혜다 / 2022년 9월
평점 :
절판
아모르 문디
사유 - 판단 - 의지
한나의 연대순 저작물을 중심으로 많은 기록물을 요령있게 배치하고 한나 자신과 한나 “부족”들이 남긴 에세이와 편지글 같은 것으로 한나의 깊이 있는 정신과 다감하고 명철한 삶에 풍부하게 다가간다. 군더더기 없이 유연하게 읽히고 한 문장도 흘려버릴 수 없이 명료하다.
#
한나가 남긴 유산은 (소문의 여신,) 파마Fama의 두 가지 힘이 모두 발휘된 결과물이다. 한나는 살아생전 삶과 연구를 두고 끊임 없이 루머와 반쪽짜리 진실에 시달렸으나 죽어서는 불후의 명성을 얻었다. - 306
한나는 사유를 ‘난간 없는 사유‘로 표현했다. 사유란 붙잡을 곳없는 계단을 하염없이 오르락내리락하는 것이다. 한나의 은유에 따르면 붙잡을 곳 하나 없을지 몰라도 계단이라는 서 있을 곳은 주어진다. 자유롭게 밟고 디딜 이 계단이야말로 한나에게 유서 없이 남겨진 유산이었다. 한나는 단 한 번도 스스로 자기 자신을 정의하지 않았다. 내가 누구인지는 나 혼자서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리는 인간사를 논하는 공적영역에서 말과 행동으로 나 자신이 누구인지 보여줄 수 있을 뿐이다. 내가 누구인지는 그 자체로 내 존재를 나타내며 나의 세상경험에 달렸다. 하지만 내 정체성이 내 운명을 결정짓지는 않는다. - P307
명성을 선택한 적 없듯이 여성으로 그리고 유대인으로 태어난 것도 한나의 선택이 아니었다. 그리고 이게 세상이 말하는 그녀의 정체성이었다. 한나는 민족에 대한 사랑이 없다는 게르솜 숄렘의 비난을 부인하지 않았다. 민족을 사랑하라는 요구는 경험 세상은 보지 말라는 일종의 맹목적 사랑을 요구하는 것과도 같았다. 그럼에도 이러한 한나의 입장에 한 가지 모순이 있다면, 한나처럼 비판하고 판단하려면 그 대상을 사랑하지 않고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는 한나가 말하는 세계 사랑에 숨은 뜻이기도 하다. 악을 못 본 체하며 선만 취할 수는 없다. - P308
한나가 우리에게 전하는 핵심은, 이 세상을 끊임없이 새롭게 바라보고, 새로이 한계를 설정하며, 다시 배열하라는 것 그리고 새로운언어로 새 이야기를 들려주라는 것이다. 이것이 한나가 우리에게 남긴 유산이다. 나무 책상 너머 파란 타자기 앞에 서서 손에는 커다란 은빛 가위와 스카치테이프를 든 채, 이해 욕구를 반짝이며 텍스트처럼 보이는 무언가를 만드는 한나를 상상해보기 바란다.
끝. - P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