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박형진
풀여치 한 마리 길을 가는데
내 옷에 앉아 함께 간다
어디서 날아왔는지 언제 왔는지
갑자기 그 파란 날개 숨결을 느끼면서
나는
모든 살아 있음의 제 자리를 생각했다
풀여치 앉은 나는 한 포기 풀잎
내가 풀잎이라고 생각할 때
그도 온전한 한 마리 풀여치
하늘은 맑고
들은 햇살로 물결치는 속 바람 속
나는 나를 잊고 한없이 걸었다
풀은 점점 작아져서
새가 되고 흐르는 물이 되고
다시 저 뛰노는 아이들이 되어서
비로소 나는
이 세상 속에서의 나를 알았다
어떤 사랑이어야 하는가를
오늘 알았다.
<바구니 속 감자싹은 시들어가고> (창작과비평사)
박형진 시인은 지금도 전북 변산의 그트머리 모항이라는 곳에서 농사를 지으며 산다고 한다.
1월 6일과 7일, 아이들을 데리고 생협에서 마련한 어린이 친환경캠프를 갔다왔다. 경북 상주로 세시간 가량을 달리는 동안, 옆에 앉은 친구랑 얘기하면서 버스 창 밖으로 보이는 풍경을 간간이 보았다. 가지만으로 버티고 섰는 나무들에서 근육질의 생명력을 보았다. 예상만큼 춥지 않아 논에 물 뿌려 얼음판 얼려 놓고 그 위에서 옛날식 썰매 만들어 놀기로 한 건 완전 물거품이 되었다. 짱뚱이 시리즈에 나온 바로 그걸 타 볼 수 있겠다고 펄쩍펄쩍 뛰어오르며 좋아했던 큰아이는 실망이 이만저만 아니다.
상주로 들어와 어느 폐교를 고쳐 환경학교로 만들어 놓은 아담한 건물 운동장에 버스는 우릴 풀어놓았다. 입교식을 하고, 환경을 생각한 세제와 일반세제를 각각 다른 어항에 풀어넣고 금붕어를 넣었다. 어휴~ 불쌍한 금붕어. 결국 두마리 금붕어는 시간을 달리 하긴 했지만, 아가미에 피를 머금고 물에 둥둥 떠 있었다. 그리고 햄버거와 청랑음료의 비밀에 대해 공부하고 청량음료의 당도를 측정해 보기도 했다. 미리 준비해 간 얼레로 연도 만들었다. 일부러 도와주지 않았는데 아이들은 혼자 힘으로 그런대로 잘 만들었다. 잘 날아 오르지 않아 속 상해 하는 아이에게 그곳 생산자 아저씬 자기가 만든 멋진 연을 선뜻 주며 날아 올리는 쾌감을 맛보게 해 주셨다.
쓱쓱 닦아 껍질째 먹는 사과를 아삭아삭 베어 먹으며, 굴렁쇠 돌리기, 재기차기, 줄다리기, 그냥 먼 산 바라보기를 하였다. 코로는 감자, 고구마 굽는 냄새가 서서히 들어오기 시작했다. 장작불에 감자와 고구마를 호일로 싸서 넣고, 또 한 쪽에선 돼지 바비큐를 준비하고 있었다. 스트레스 받지 않고 항생제도 먹이지 않은 건강한 돼지, 농약이나 제초제를 주지 않고 키운 먹거리라 생각하니 개운했다. 곶감은 또 어떻고. 깨끗하고 적당히 달고 맛있어, 자꾸 먹고 싶어졌다. 변비 따윈 걱정 접어 두자고.
이 곳에 와서 건강한 먹거리 재료로 만든 소박하고 깨끗한 음식을 주니(우리 엄마들이 당번 정하여 주방에서 만들었다), 아이들도 편식을 언제 했나 싶게 잘 먹었다. 그곳 그루터기 생산자들이 마련한 먹거리와 놀거리 모두, 심심한듯 무심하게 둘러 서 있는 그곳 풍경들처럼 그랬다. 수수하고 은근한 맛이랄까.
또 한 가지! 상주는 자전거 도시란다. 다음 날, 집으로 오는 길에 자건거 박물관에 들렀다. 엄복동의 사진과 희귀한 자전거들이 최초의 자전거와 함께 잘 전시되어 있었다. 아담하지만 볼거린 충분했다.
저녁을 먹고 나서 모닥불을 가운데 하고 빙 둘러 서서 어린애마냥 엉덩이를 흔들며 율동도 하고 노래도 하다가 새까만 밤하늘로 문득 시선이 갔다. 내가 왜 여기 와 있지, 여긴 어디지, 이놈의 병이 또... 아니, 생각해보니 오랜만에 아주 기분 좋은 낯섦이었다. 순간이었지만, 그 낯섦이 또 한동안 나를 설레게 할 것이다.
전 국민의 3퍼센트가 생협의 조합원이 되면 우리 농가가 살 만하다고 한다. 있는 사람들이 더 하다며, 우린 우스개 소리를 하면서도, 자기 아이들과 생업까지 팽개치고 십시일반의 일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는 열성 엄마들의 진지한 눈빛을 놓칠 수 없었다.
'모든 살아 있음의 제 자리를 생각했다.'
이 분들은 기꺼이 한 포기 풀잎이 되어주는 사람들 같았다. 내 살아 있음의 제 자리를 생각했다. 나의 자리는 한 포기 풀일까, 아니 난 누군가에게 기꺼이 풀여치가 앉을 수 있는 풀잎이 되어줄 수 있을까, 점점 작아져서 새가 되고 흐르는 물이 되고 다시 저 뛰노는 아이들이 되려면, 난 얼마나 '나'를 버려야 하는지 생각했다. 버려야할 '나'는 보이지 않는 그물처럼 거추장스러워 답답하기도 하고, 때로 타인에겐 이기적이고 이질적이며 소심한 속성을 드러내니 부담스러울 수도 있겠다.
무심하게 살자. 나를 잊고 나를 버리고 걸어보자. 검은 물이 뚝뚝 묻어날 것 같은 시골의 밤하늘 속으로 '나'를 온통 담궈버리자. 이 세상 속에서 나의 '모든 살아 있음의 제 자리'를 진지하게 받아들이고 살아낼 때, 좋든 싫든 나를 대하는 모든 이들도 온전한 한 마리 풀여치, 하늘, 햇살, 바람이 되리.
'이 세상 속에서의 나'는 풀여치에겐 풀잎이 되고, 맑은 하늘에겐 새가 되고, 물결치는 바람에겐 흐르는 물이 되고, 나를 믿고 따르며 안겨드는 아이들에겐 나도 뛰노는 아이들이 되리. 하나가 되리.
'이 세상 속에서의 나를 알았다'
'어떤 사랑이어야 하는가를 / 오늘 알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