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흑백으로 만든 영화 『동주』를 보면서 두 번 울었다. 눈물을 흘릴 수밖에 없었던 그 두 장면이 어쩌면 그 영화의 클라이맥스였던 것 같다. 한 번은 송몽규 때문에 울었고, 또 한 번은 윤동주 때문에 눈물을 흘렸다.
먼저, 윤동주와 달리 매사에 적극적이고 투사적인 기질을 지녔던 송몽규가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일본 경찰로부터 '범죄사실'에 대해 서명을 강요받았을 때를 생각해 보자. 그가 끝내 끓어오르는 울분을 참지 못하고 도리어 '자신의 독립운동 과정에서의 불찰'을 한탄하는 장면은 정말 격한 감동을 불러일으켰다. 그 대목에서 그만 나도 모르게 눈물을 왈칵 쏟을 수밖에 없었다. 얼마나 많은 순국 선열들이 조국의 불행과 자신의 처지를 함께 바라보며, 남을 탓하기에 앞서 도리어 자기 자신의 구국 활동이 용의주도하지 못했음을 탓하며 저토록 처절하게 스러지고 말았던가. 특히 그 장면에선 가증스런 일본 고등경찰 때문에 뜨거운 분노도 함께 치밀어 올랐다. 남의 나라, 남의 민족을 무참하게 짓밟았던 모든 제국주의 열강들의 비열함이 동시에 겹쳐 떠올랐던 것이다.
뒤이어 윤동주 시인이 같은 형무소에서 송몽규와 매한가지로 서명을 강요받았을 때, 그 또한 '조국의 불행'을 눈으로 바라보면서도 너무나도 연약하게 '한갓 시나 쓰면서' 저항할 수밖에 없었던 자기 자신이 '너무나 부끄러워서' 서명을 하지 못하겠노라고 버티며 진술서를 마구 찢어버리는 장면을 보자. 그때는 시인의 타고난 천성 때문에 도저히 어찌할 도리가 없었던 '한없는 나약함'이 도리어 나를 슬프게 했다. 시인이 느꼈을 그 한없는 무력감과 차마 말로도 표현해 내지 못한 뜨거운 분노 앞에서 슬픔과 분노를 동시에 느끼지 않을 사람이 누가 있었을까...
영화를 보고 나오면서 들었던 생각은 두 가지였다. 하나는, 전쟁으로 점철되다시피 했던 기나긴 인류의 역사에서 '피지배 민족이 겪었을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과 정복자들이 보였던 '극악무도한 잔인함'이었다. 다른 하나는, 그래도 우리 민족은 '무수한 외세의 침입'을 잘도 버텨내고 여기까지 왔다는 안도감과 함께, 그래도 '남의 나라를 억지로 짓밟은 부끄러운 역사'는 없었다는 일말의 자긍심이었다.
어쨌든 3.1절 97돌을 맞아 여러모로 몹시도 복잡하게 돌아가고 있는 '주변 정세'를 함께 떠올리면서, 아직도 과거 역사에 대해 통절한 반성은 커녕 최소한의 교육조차도 여전히 생각할 줄 모르는 '제국주의 일본'의 잔학한 그림자마저 엿볼 수 있게 만드는, 기억에 남을 영화를 봤다는 느낌이 들었다.
마침 때맞춰 보게 된 이 영화를 내 글의 도입장치 겸 지렛대로 삼아 지금부터는 조금 더 개인적인 얘기를 사진들과 함께 잔뜩 늘어놓고 싶은 욕심도 생긴다.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친 순국열사들에게 크게 누를 끼치지 않는 범위내에서라면 아마도 나의 못난 시도를 얼마쯤 눈감아 줄 지도 모르겠다. 사실 '독립운동'에 관해서라면 이미 가까운 주변에서도 훌륭한 분들이 너무나 많은 형편이어서, 아무나 나서서 함부로 자신이 '독립운동가의 후손'이라고 내세우기가 꽤나 곤란한 것도 사실이다. 나 또한 이런 얘기를 글로 써 본 적은 아예 없을 정도다. 다만 결국 '집안 사람들'일 수밖에 없는 '동네 친구들'과는 그런 '선조들'에 대해 아주 가끔씩 얘기를 나누곤 해왔다.
그런데 우리 집안의 어르신들은 틈날 때마다 가문의 전통과 위신을 결코 잊지 말라는 가르침을 어릴 적부터 우리에게 전수하는 걸 잊지 않으셨다. 오래 전부터 대대로 우리 집안이 '불천위(不遷位) 사당'을 모시는 가문이었으니 늘 '자긍심'을 갖고 살라고 말이다. 수백 년 전에 지어진, 우리 마을의 종가집 뒷편에 반듯하게 자리잡은 사당에는 임금님께서 직접 친필로 썼다는 사액현판(賜額懸板)이 걸려 있다. 그 사당엔 임진왜란때 혁혁한 공을 세운 우리 가문의 선조 할아버지 '위패'가 모셔져 있고, 그분의 후손들인 우리 집안 사람들은 아직도 해마다 '제사'를 모시고 있다. 자손대대로 그분의 덕을 기리고 제사를 지내는 게 바로 '불천위 사당'을 모시는 집안의 가장 중요한 의무이니까 말이다.
또한 우리 마을엔 일제 강점기때 마치 윤동주 시인처럼 '저항시인'으로 이름을 떨친 분도 계신다. 비록 이육사 시인이나 윤동주 시인에 비해서는 그 명성이 많이 뒤떨어지지만 말이다. 마침 그 할아버지께서도 일제 시대때 일본에 건너가 윤동주 시인이 다녔던 바로 그 '릿쿄대학'을 나왔다. 귀국 후에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시전문 잡지를 창간하시며 왕성하게 활동하신 적도 있었지만, 끝내 시인은 태평양 전쟁 말기에 이를수록 극심해지는 '일본의 통제'를 견디지 못하고 결국 '낙향'하여 절필하고 칩거에 들어감으로써 '무언의 저항'을 이어갈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오늘 우연히 발견한 '우리마을' 관련글들.
☞ http://www.dbdbstory.com/detail.php?number=1520&thread=22r08r04)
☞ http://www.expres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314
이쯤에서 나의 얘기를 다시 저 멀리 '백두산'까지 돌려보고 싶은 생각도 든다. 왜냐하면 나는 '백두산 종주산행'을 끝내면서 뜻밖에도 '시인 윤동주'의 발자취를 겨우 조금이나마 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니 우선 백두산에서 그리 멀지는 않았던 '시인의 모교'를 찾기 전에, 잠시 '백두산'부터 좀 둘러보자. 국경일마다 울려퍼지는 애국가에서도 결코 빼놓을 수 없는 '민족의 영산'이니 말이다. 내가 백두산을 찾은 때는 2007년 8월이었다.
- 고산화원(高山花園)에서 바라본 백두산의 모습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06.jpg)
- 5호 경계비에서 청석봉으로 이동하는 길목에서 만난 야생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07.jpg)
- 청석봉으로 이동하는 도중 잠시 되돌아 서서 5호 경계비 쪽을 바라본 모습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08.jpg)
- 청석봉에서 한허계곡으로 이동하는 길목에서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09.jpg)
- 백운봉에서 녹명봉으로 이동하는 등산객들의 모습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10.jpg)
- 뒤로는 수백미터 낭떠러지인 외륜(外輪)의 끄트머리에 걸터앉았다. 친구와 함께.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11.jpg)
- 마침내 시원하게 모습을 드러낸 백두산 천지의 모습(백운봉 근처에서 바라본 모습)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12.jpg)
- 드디어 외륜 종주의 막바지 부근(용문봉과 천문봉 사이)에 다 왔다. 우리 일행들 뿐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14.jpg)
- 외륜 종주의 막바지 부근(용문봉과 천문봉 사이)에서 단체 사진 한 컷. 아직도 하산길은 멀기만 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15.jpg)
- 악전고투끝에 종주산행의 실질적인 종착점이라 할 '장백폭포'에 다다랐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16.jpg)
- 가곡 <선구자>에 나오는 '해란강'(연길시에서 용정시로 이동하는 버스 안에서 원경 관광)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17.jpg)
- 역시 <선구자>에 나오는 '일송정'(용정시내로 진입하기 직전에 버스에서 하차한 후 원경 관광)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18.jpg)
- 용정시내 대성중학교 교정 뜰에 있는 윤동주 시비, 문익환 목사도 이 학교 출신이다. 영화『동주』에서 배우 문성근이 등장하는 걸 보고 깜짝 놀랬으나 결코 우연은 아닌 셈이다. 마침 문성근 배우의 자택이 내가 사는 아파트에서 아주 가까운 곳에 있어서 가끔씩이나마 그 앞을 지나칠 때도 있고, 그와 마주치기도 하는데, 그래서 더 놀랬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19.jpg)
- 영화『동주』의 막바지에 감옥 창살 밖으로 비친 '밤하늘의 별'을 배경으로 낭송되던 서시(序詩)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20.jpg)
- 우리 일행은 '용정'을 거쳐 두만강까지 진출했다. 두만강 푸른(?) 물과 푸른 버드나무 아래에서 막걸리 한 잔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21.jpg)
- 백두산 잣, 벌꿀, 기념 부채, 백두산 사진, 백두산 기념 수건, 백두산 화석, 그리고 <윤동주 시집> ......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22.jpg)
- 우리 일행이 산행했던 <백두산 종주 코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23.jpg)
- 2007년에 백두산 종주 산행때 함께 데리고 갔던 아들 녀석이 어느새 180cm가 넘도록 훌쩍 컸다.
그 당시 중2에 불과했던 녀석이 건장하게 자라 지금은 어엿한 '대한민국 군인'이 되어 군복무중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24.jpg)
- 광복을 불과 몇 달 앞두고 끝내 옥사하고 만 시인 '윤동주'의 삶을 회상할수록 안타깝기만 하다.
영화 『동주』를 보고 나서 그런지 학사모를 쓴 시인의 앳된 모습을 다시 보는 것만으로도 가슴이 시리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25.jpg)
- 1941년 11월에 쓴 <서시>의 육필 원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26.jpg)
- <별 헤는 밤>의 육필 원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27.jpg)
- <자화상>의 육필 원고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28.jpg)
- 윤동주 연보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6/0301/pimg_7798831131374829.jpg)
오늘이 마침 3.1절이어서 그런지 이 글을 쓰는 동안 라디오로 흘러나오는 <선구자 >라는 노래조차 그냥 예사로 들리지 않는다. '조국을 찾겠노라' 맹세하던 그 모든 우리의 선조들께 오늘은 진심으로 고개를 깊이 숙여 감사드리고 그 분들의 명복을 빌고 싶다. 우리의 선구자이자 선조들이시여, 부디 고이 잠드소서.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