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거꾸로 읽는 한국사 - 멸망으로 시작해서 건국으로 이어지는 5,000년 역사 이야기
조경철.조부용 지음 / 클랩북스 / 2025년 5월
평점 :
〈 Book Review 〉
《 거꾸로 읽는 한국사 》 - 멸망으로 시작해서 건국으로 이어지는 5,000년 역사 이야기
_조경철, 조부용(지은이) / 클랩북스 (2025)
“건국과 멸망은 한 나라의 시작과 끝을 이야기해요. 고구려의 건국과 멸망은 고구려의 역사를, 조선의 건국과 멸망은 조선의 역사를 의미하죠. 그런데 여기서 두 단어의 순서만 바꿔 멸망을 서두에 두면, 앞선 나라와 이어지는 나라 사이의 ‘연결고리’가 생겨요. 고조선의 멸망과 고구려의 건국, 고구려의 멸망과 발해의 건국으로요. 그러니까 ‘멸망과 건국’은 앞선 나라의 멸망과 함께 뒤이은 나라의 건국을 자연스럽게 떠올리게 해요. 이렇게 두 단어의 순서만 거꾸로 뒤집었을 뿐인데 역사의 흐름이 느껴지는 연결된 이야기를 듣는 것 같죠.”
우리나라 역사에는 무수한 건국과 멸망이 있었다. 건국과 멸망은 시작과 끝을 의미하기도 한다. 거꾸로 ‘멸망과 건국’이라는 시각으로 바라보면, 하나의 나라가 멸망한 뒤 세워진 그다음 나라를 연상하게 된다. 즉, ‘계승’이라는 단어를 대입시킬 수 있다. ‘멸망’이라는 단어가 무색하게 우리나라 5,000년의 역사가 단절되지 않고 끊임없이 이어져 지금까지 왔다. 나라 이름이 바뀌었다고 백성들이 바뀌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단지 국가를 통치하는 통치그룹만 바뀔 뿐이다. 저자는 이러한 관점이 한국사를 편입시키려는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응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라고 한다. 공감한다. 중국의 알량한 역사관이 비집고 들어올 틈을 만들어주지 말아야 한다.
대한제국의 멸망과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대한민국의 건국
소제목이 사뭇 거창하다. 그렇지만 후세대들도 이 역사를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한국사를 보면 대부분 한국의 영토 안에서 ‘멸망과 건국’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일본이 개입된 이 시기의 역사는 참으로 분하고 부끄러운 역사이다. 몇 해 전엔 때 아닌 ‘건국절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다. 이 책의 지은이인 역사학자 조경철 교수는 박물관에 가면 연표를 주의 깊게 살펴본다고 한다. 시간이 흐를수록 연표에도 변화가 있다는 이야기는 처음 알았다. 하긴 역사학자만큼 연표에 관심이 없었던 탓이기도 하다. “최근 2025년 2월부터는 선사, 고대관이 개편되면서 고조선부터 현대까지 한국사 전체를 관통하는 연표가 아예 사라졌다”고 한다. 무슨 연유일까? 정권이 바뀜에 따라 역사도 달라지는가? 2016년 수정된 연표에는 일제강점기가 1945년에 끝나서 1948년에 대한민국이 시작된다고 표시되어있다고 한다. 그러면 그 사이 3년은 어디로 갔는가? 몇 천 년이나 지난 일도 아니고 100년도 안 된 시기인데 왜 그렇게 공백이 생겼는가? 연표에 표기하지 않은 3년은 미군이 한국을 통치했던 미 군정기였다. 미군이 남한을 점령했던 사건을 굳이 표시하고 싶지 않은 마음이 담긴 것일까? 그러나 일제가 통치했던 일제 강점기는 굵은 글씨로 크게 표시해놓았다고 한다. 나는 왜 이 대목에서 태극기와 성조기가 나란히 휘날리는 모습이 그려지는가?
‘일제강점기’라는 표현
나는 몇 해 전 어딘가에서 읽은 글을 통해 ‘일제강점기’라는 표현은 다분히 소극적이고 굴욕적인 표현이라는 말을 듣고 글쓴이의 제안대로 ‘일제항쟁기’라고 적기 시작했다. 이 책의 지은이도 일제강점기는 우리나라를 통치했던 일본 관점의 표현이라고 한다. 이 표현보다는 우리가 강제로 빼앗긴 나라를 되찾기 위해 어떻게 노력했는지가 중요하기 때문에, ‘일제저항기’라고 부르면 좋겠다고 제언한다. 공감한다.
리뷰를 쓰면서 내가 특히 분통해하는 역사의 부분인 대한제국과 일제항쟁기를 소재로 삼았지만, 역사 이야기는 고조선, 고구려, 삼한시대, 발해, 고려, 조선, 대한제국으로 이어진다. 이 책은 역사학자인 아버지와 함께 한국사 이메일 뉴스레터 〈나만의 한국사 편지〉를 발행하고, 한국역사와 유물에 관한 책을 출판하는 아들의 합작이다. 부모와 청소년이 함께 읽을 만한 책이다.
#북리뷰 #거꾸로읽는한국사
#조경철 #조부용
#클랩북스 #쎄인트의책이야기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