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인천 프로젝트 - 4할 타자 미스터리에 집단 지성이 도전하다
정재승 외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론부터 말하자면 ‘백인천 프로젝트‘의 연구결과로 볼 때, ‘한국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다시 나오기 힘들다’이다. 이것은 굴드 가설을 한국 프로 야구 데이터를 가지고 확인한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인천 프로젝트 - 4할 타자 미스터리에 집단 지성이 도전하다
정재승 외 지음 / 사이언스북스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인천 프로젝트 - 4할 타자 미스터리에 집단 지성이 도전하다

       _ 정재승 외 백인천 프로젝트 팀 (지은이) | 사이언스북스

 

 

요즘 알쓸신잡으로 뜨고 있는 뇌 과학자 정재승. 그는 복잡한 시스템을 모델링하는 이론을 공부해 뇌의 의사 결정을 모델링하는 연구를 하고 있다. 과학의 대중화와 생활 속 과학을 소개하는 일에 열심인 그가 이번엔 야구 배트를 들고 나왔다. 그는 인간 사회에서 발견되는 흥미로운 현상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연구에도 관심이 많다. '집단 지성'으로 과학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한지 알아보는 시도가 전 세계적으로 여럿 생겨났었다. 그 중 외계 지적 생명체가 존재한다면 사용했을 성간 신호를 분석해 태양계 밖 우주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하는 천문 연구가 있다. 처음엔 미국 국가 예산을 활용했지만 예산 부족으로 대용량 데이터를 분석하기 힘들어지자 웹에 공개된 스크린세이버 프로그램을 통해 개인 컴퓨터가 쉬는 동안 신호자료를 준 것을 버클리의 연구소로 보내는 프로젝트이다.

 

정재승은 SNS시대에 어떤 형태로 집단 지성을 활용해 과학 연구를 수행 할 수 있을까? 생각하던 중 트위터를 활용할 생각을 하게 된다. 그리고 결국 201112'백인천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프로젝트의 타이틀은 '프로 야구에서 4할 타자는 왜 사라졌는가?"이다. 각계각층에서 100여 명의 자원자가 동참했다(실제 참여 인원은 58). 수시로 오프라인 모임도 가졌다. 그리고 그 결과물을 백인천 선수의 타율인 0.412를 기념해서 20124124개월간의 집단 연구 결과를 내놓게 된다. 이 책은 바로 그 100일간의 뜨거운 열정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야구에서 4할 타자의 멸종을 과학의 연구 주제로 끌어올린 사람은 세계적인 진화 생물학자 스티븐 제이 굴드이다. 야구광이었던 굴드는 "4할 타자가 사라진 것은 타자의 수준이 떨어져서가 아니라 야구의 수준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라는 전혀 새로운 관점을 제시했다. 그는 미국 프로 야구의 통계를 분석해, 리그의 평균 타율은 장기적으로 26(0.260)에서 안정되며, 최상위 타자와 최저 사이의 폭이 줄어들며 안정화된다고 했다. 거의 모든 생태계가 그렇다는 그의 주장이다. 진화 생물학자다운 언급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백인천 프로젝트'의 연구결과로 볼 때, ‘한국 프로야구에서 4할 타자는 다시 나오기 힘들다이다. 이것은 굴드 가설을 한국 프로 야구 데이터를 가지고 확인한 것이다. 모이기전에 서로 교류가 있었던 사람들이 아닌지라, 처음 시작부터 적잖은 갈등이 있었다. 어쨌든 우여곡절 끝에 논문이 완성된다. 그리곤 내친 김에 야구학회 결성 문제가 거론된다. 동호회 수준이 아니라, 진짜배기 학회. 정재승은 미국의 SABR(Society for American Baseball Research)를 모델로 한 SKBR(Society for Korean Baseball Research)를 만들어보자는 제안을 한다. 그렇게 야구학회가 만들어진다. 이 책이 야구로 시작해서 야구 이야기만으로 끝나지는 않는다. 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기도 했던 필진이 남긴 글을 읽다보면 과학 서적을 읽는 느낌도 든다. 세계적으로 기록에 남을 만한 '시민 과학 프로젝트'가 여럿 소개되면서, '백인천 프로젝트'가 지니고 있는 그들과의 공통점, 다른 점도 설명해주고 있다. 다른 점은 '백인천 프로젝트'팀은 스스로 데이터를 모으고 연구 방향을 정했다는 것에 있다.

 

그렇다면 굳이 야구에 통계가 그리도 중요하냐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필진 중 한명이 이런 글을 남겼다. "우리는 야구 통계를 마스터해 그걸로 야구의 승부를 예측하고 선수들의 몸값을 결정하며 구단을 운영할 예산을 책정하지 않는다. 그저 야구를 더 재미있게 보는 데 도움이 되면 그걸로 족하다." "그렇다고 아무도 다시는 4할 타율을 치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그것이 야구 초기에 그렇게 흔하던 최고 기록이 아니라 이제는 100년 만의 홍수처럼 한 세기에 한 번 성취될까 말까 할 정도의 극도로 희귀한 사건이 되었다는 말이다. 매 시즌 그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매 시즌마다 초월의 가능성이 엿보인다." _스티븐 제이 굴드, [풀하우스]에서

 

야구팬들이라면 이름을 모를 리 없는 선수들의 인터뷰 기사도 실려 있다. 김태균, 양준혁, 김현수, 정근우, 홍성흔 그리고 선수 생활 후 코치, 해설위원이 현 주소인 김정준 그리고 선수 장성호, 박병호, 코치 김용달 그 외에도 야구가 곧 삶인 사람들이 여럿 등장한다. 역시 공통 주제는 4할 타율, 4할 타자이다. 책의 말미는 이 프로젝트에 이름을 빌려줬던 백인천 감독의 강연과 질문, 답변 후기가 사진과 함께 실려 있다. 질문 : '홈런''타율'중에 하나만 고르면? 백감독의 답 : "홈런이다. 홈런은 줄지 않는다. 타율은 줄어든다." 우리 삶에도 홈런이 많았으면 좋겠다. 날려 보내고 싶은 것 한 방에 날려 보냈으면 좋겠다. 그리고 타율은 잊자. 그렇다고 로또나 꿈꾸고 살자는 이야기는 아니다. 매순간 최선을 다한다면 언젠간 홈런을 날릴 것이라 믿는다. 또 설령 홈런을 못 치면 또 어떠리. 백감독의 말을 하나 더 붙이고 싶다. 감독님은 어떻게 4할 타자가 되었는가? "4할은 아무나 치나" ('사랑은 아무나 하나' 멜로디에 맞춰 운을 떼셨다.) 자기가 하는 일에서 일류가 되려면 첫째, 좋아해야 하고, 둘째, 미쳐야 하고, 셋째, 중독이 되어야 한다." 야구에만 국한 될 언급이 아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장소] 2017-09-04 17:4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글이 너무 재미 있어요 . 엊그제 이 정재승이란 분의 기사를 읽었어요 . 보수와 진보 , 가난한 사람이 왜 보수를 지지하는가에 대한 실험과 연구 결과에 대한 얘기였죠 . 매우 흥미로웠어요 . 앞으로 자주 눈이 갈것 같아요 . 그런데 야구 ㅡ 백인천 이분에 대한 정보가 제게 너무 없네요 .ㅠㅠ ㅎㅎㅎ 소설만큼 재밌게 읽다 갑니다!^^

쎄인트saint 2017-09-04 23:11   좋아요 1 | URL
가난한 사람이 왜 보수를 지지하는가? 에 대한 이야기를 하시니까..[왜 가난한 사람들은 부자를 위해 투표하는가]란 책이 생각나는군요. 아직 못 읽어봤지만...비슷한 내용이 담겨 있을 것같은 생각이 듭니다. 뇌 과학자 정재승..참 재능이 많은 사람입니다. 백인천 감독은 한국 프로야구와 일본 프로야구에서 활약했던 대한민국의 야구인이지요. 중국 장쑤성 우시 출생이며 8.15광복 후 귀국하여 서울에서 성장하였습니다. 현역 야구선수 시절 포지션은 포수 겸 외야수였지요. 이승엽 선수는 “백인천 감독은 나에게 최고의 스승이다.” 라는 말을 했습니다.
댓글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그장소] 2017-09-05 16:56   좋아요 0 | URL
아 , 기사에서 본 내용과 거의 비슷한 내용으로 책도 있겠군요 .^^
백인천에 대한 정보 너무 고맙습니다 . 4할 타자가 그렇게 드문 케이스였다는 걸 덕분에 알게되네요 .^^

좋은 하루 되세요!^^
 
나무를 진찰하는 여자의 속삭임
오카야마 미즈호 지음, 염혜은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 반, 꽃과 나무 사진반입니다. 나무에 관심이 많은 분들, 나무에 대해 더욱 알고 싶은 분들이 읽어두시면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수많은 나무 이야기를 통해 생명의 경외와 이 땅의 환경을 생각해보는 시간이 됩니다. 나무가 다시 보여 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무를 진찰하는 여자의 속삭임
오카야마 미즈호 지음, 염혜은 옮김 / 디자인하우스 / 201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무를 진찰하는 여자의 속삭임

_오카야마 미즈호 (지은이) | 염혜은 (옮긴이) | 디자인하우스 | 2013-08-15 

 

 

오늘은 '나무의사' 이야기를 들려 드릴까요? '나무의사'. 처음 들어보시지요? 오래 전 속리산의 얼굴이자 천연기념물 103호인 정이품송(正二品松)이 폭설로 치유하기 어려운 큰 상처를 입어 지역 주민들은 물론 정이품송을 아끼던 사람들의 마음을 안타깝게 한 적이 있었습니다. 벌써 10여 년 전 이야기군요. 수령이 600살이 넘은 정이품송은 1980년대에도 중부 산간지역을 휩쓴 솔잎흑파리를 피하지 못해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철제 보호망에 갇혀 링거를 맞는 신세를 진 적이 있었지요. 그 때 그런 생각이 들긴 했습니다. 나무에게도 의사가 필요하겠구나. 체계적인 관리와 보호를 해줄 수 있는 전문가가 있어야겠구나 하는 마음 말입니다.

 

 

아직 국내엔 '나무의사'라는 그룹이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이웃나라 일본은 약 2000명 정도의 나무의사가 있다고 합니다. 그 중 여성이 약 60 여명 정도라고 하네요. 이 책의 저자는 그 60명 중 한 사람인 오카야마 미즈호라는 여성입니다. 각종 나무에 관한 여러 가지 일을 하고 있으나 프로필은 생략하고 이 책에서 저자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를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책은 4부로 편집되어 있습니다. 1부는 나무라는 존재의 생리생태. 2부는 나무를 진찰하며 듣는 나무의 소리. 3부는 나무가 가르쳐주는 자연관. 그리고 마지막으로 나무의사라는 직업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수목(樹木)형 인간'에 주목합니다. 늘 아름답고 당당하며 위엄이 있으면서도 편안함이 동시에 느껴지는 사람이라고 표현합니다. 엄청난 존재감을 드러내는 수목형 인간은 자신이 직접 움직이지 않고 주위를 자신의 편으로 만들어 '활동'한다고 합니다. "나무는 인간에게 먹을 것을 주기도 하고, 매 순간 숨을 쉴 수 있도록 신선한 공기를 제공해주는 등 살아있는 것만으로도 우리에게 많은 것을 준다. 하지만 인간은 스스로 만들지 못하는 것투성이다. 나무 곁에 있으면 크나큰 안정감을 느낄 수 있고 동시에 내 안에 에너지가 가득 차오르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나무와 사람의 성품을 비유한 대목이 흥미롭습니다. "'느티나무'는 스마트하고 술을 즐길 줄 아는 사람의 느낌. 하지만 나무 모양은 강렬한 편이니 겉보기보다 의지가 강한 사람. '적송(赤松)'은 균류를 잘 이용한다는 점에서 협상에 능한 사람을 떠올리게 하고 외양도 아름다우니 재색겸비라는 말이 생각난다. 거기에 참을성도 강하고 우는 소리도 하지 않는다. '은행나무'는 눈에 띄게 수세(樹勢)도 왕성하고 힘도 좋지만 숲속에서 다른 나무들과 의외로 잘 못 어울리는 타입이다. 오히려 마을에서는 완전히 절단된 참혹한 상태에서도 죽지 않고 살아 있는데 말이다. 그러니까 사람을 참 좋아하는 나무라 할 수 있다. 사실 은행나무의 친구격인 나무는 없다. 11과로 고독한 인생이랄까.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 건강해 보이는 나무다."

 

 

 

 

나무의사들이 한 목소리로 하는 말이 있군요. "나무는 자신이 처한 환경에서 항상 최선을 다한다." 사람이 나무에게 배울 교훈입니다. 나무에게 말을 걸고 싶을 때는 '마음을 열고 눈을 잘 '기울인'다음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기억해둡시다. 사람을 진단하는 CT처럼 나무를 진단하는 장비도 있군요. 독일에서 개발했다는 음파를 이용한 진단장비 '피카스'라는 기계를 통해 나무의 상태를 조사합니다. 상태별로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참고로 한답니다.

 

 

나무의사들의 진단 도구들이 상당히 많습니다. 카메라, 필기구, 강철 줄자, 나무망치, 뿌리 주변의 흙을 부수는 스콥(schop), , 전지가위, 쌍안경, 루페, 토양경도계, 나침반 등등 한 짐입니다. 그 중 나무망치를 이용한 진단방법이 흥미롭습니다. 나무망치로 두드려 보았을 때 좋은 소리는 '콩콩' '' 하는 느낌으로 목검 같은 비교적 높은 소리를 낸다고 합니다. 이런 소리를 낸다면 건강하다는 것이지요. 살아있는 나무이기 때문에 탄력도 느껴져야 좋답니다. 나쁜 소리는 '북북' 목탁과 같은 둔한 소리가 난답니다. 이런 소리가 나면 건강하지 않은 것으로, 썩어 있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글 반, 꽃과 나무 사진반입니다. 나무에 관심이 많은 분들, 나무에 대해 더욱 알고 싶은 분들이 읽어두시면 좋을 듯합니다. 그리고 수많은 나무 이야기를 통해 생명의 경외와 이 땅의 환경을 생각해보는 시간이 됩니다. 나무가 다시 보여 집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똑똑하게 분노하라 Anger Power - 묵은 화가 산뜻한 에너지로 탈바꿈하는 놀라운 반전 생각법
마샤 캐넌 지음, 안진희 옮김 / 대림북스 / 2011년 11월
평점 :
절판


저자는..사람들이 하도 화를 못 풀고 살다보니 그 에너지를 꺼내어 재활용 시켜줘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모양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