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인생의 글쓰기 나남산문선 11
한국간행물윤리위원회 기획 / 나남출판 / 2008년 1월
평점 :
품절


 

내 인생의 글쓰기 】        김용택 외 / 나남

 

 

이삼년 전부터 글쓰기열풍이 불고 있다. 글쓰기에 대한 책도 많이 나오고, 글쓰기 강좌에도 수강생들이 몰리고 있다. 아울러 손 글씨 쓰기도 한 몫 한다. 이 모두가 IT 기기들과 연관이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손안의 컴퓨터 스마트 폰은 우리 삶의 양식을 통째로 바꿔놓았다. 엄지족 시절엔 문자나 주고받는 것이 전부였으나, SNS 시대엔 글 쓰는 솜씨도 빛이 나야 좋아요를 한 번이라도 더 받는다. 좀 더 욕심을 내면 블로그를 만들어서 파워 블로거 소리도 듣고 싶다. 더더 욕심을 내면, 나도 책 한 권내고 싶다 라는 마음까지 이어진다. 좋은 현상이긴 하다. 글을 쓰겠다는 것은 나를 위해서도, 남을 위해서도 좋은 일이다. 단 그 내용이 나도 다치고, 남도 다치는 마음의 칼날을 꺼내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해야 한다.

 

 

앞서 상황과 비교할 수는 없지만, 지금은 이름 석 자 만 들어도 누군지 알 것 같은 시인, 소설가들은 어떻게 글을 쓰기 시작했을까? 그리고 어떻게 글을 쓸까? 그 진솔한 이야기를 들어보자. 초대 손님들은 시인 김용택, 도종환, 신달자, 안도현 그리고 소설가로는 김원우, 성석제, 안정효, 우애령 등과 서정오 아동문학가이다.

 

 

김원우 작가는 한 편의 글을 쓰기 위해서는 숱한 고행과 쉼 없는 노력을 감수해야 한다고 말한다. 시인 도종환은 글을 쓰게 되면 내 앞에 있는 장미꽃이 나와 새로운 관계를 갖기 시작하며 내 삶의 의미를 다시 생각하게 되고 새로운 인생을 만난다고 한다. 아동문학가 서정오는 두려움을 덮고 이 세상 모든 사람이 작가가 되어야 한다고 부탁한다.

 

 

 

글쓰기와 독서는 분리 될 수 없다는 것을 김용택 시인이 잘 표현해줬다. “헌책을 사서 읽기를 몇 년, 내 생각은 푸른 나무처럼 자라났고, 산처럼 솟았다. 생각이 많아지고, 생각은 복잡해서 머리가 어지러웠다. 나는 글을 쓰기 시작했다. 생각이 많아지고 머릿속이 복잡하니, 자연히 그 복잡한 것들을 정리할 수밖에 없었다. 그게 나의 글쓰기의 시작이었다.” 왜 헌책인가? 아주 작은 산골 마을 초등학교 선생님인 김용택 시인의 젊은 시절은 헌책이 유일한 벗이었다.

 

 

역시 책을 읽다가 글을 쓰게 된 소설가 안정효는 그의 글쓰기에 대한 변()을 이렇게 이야기한다. “나는 안데스 산맥을 넘어 내려온 비행사의 얘기를 내 손으로 써보고 싶었다.(...)나는 산티아고 노인이 바다에 나가서 겪는 시련을, 그리고 패배를 통해서 승리를 맛보는 상황과 순간을 나의 상상력만 가지고 마음의 허공에 그려보고 싶었다.” 치유의 글쓰기를 쓴 셰퍼드 코미나스가 생각난다. 50년 넘게 일기를 쓴 사람이다. 젊은 시절 편두통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시작한 일기 쓰기는 몸과 마음을 어루만지는 치유의 글쓰기로 발전했다. “글쓰기는 자기 안에서 기쁨을 찾아내게 해주는 한편, 슬픔과 갈등의 경험과 직접 대면하는 일에도 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시나 소설을 써야만 글이 아니다. 내면의 울림을 글로 표현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다. 단지 그것을 공개로 할 것인가, 비공개로 할 것인가만 정하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