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생명체 탐사기 - 서호주에서 화성까지, 우주생물학의 세계를 가다
이명현 외 지음 / 서해문집 / 2015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계생명체 탐사기】              이명현 외 / 서해문집

 

외계생명체를 연구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이른바 우주생물학은 뜬구름 잡는 학문 같기도 하다. 그 연구대상이 외계생명체인데, 아직 발견되었다는 소식이 없기 때문이기도 하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우주 속 유일한 생명체는 지구생명체다. 외계생명체를 찾는 작업은 곧 생명이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유발시킨다. 외계생명체를 탐사하는 대상의 중심에 화성이 있다. 화성탐사선 큐리오시티는 화성에 대기와 바람과 진눈깨비는 물론 최근에는 소금물의 존재에 대한 정보를 보내주고 있다. 물이 있다는 것은 생명체 존재여부를 알려주는 중요한 정보이기도 하다.

 

 

 

 

 

 이 책은 5인의 전문가(천문학자2, 과학탐험가, 극지과학자이자 생물학자, 천체물리학자 겸 외계행성연구가)들의 합작품이다. 필자들은 각자의 식견으로 외계생명체 탐사의 과거, 현재, 미래를 보여주고 있다.

 

 

 

   서호주 샤크만의 카블라 포인트는 우주 생물학자들의 메카이다. 이곳은 연구를 위한 과학자만 출입이 허가된 지역이다. 이곳엔 숨 쉬는 바위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있다. 지구의 나이를 46억 년으로 보면, 초기 10억 년 동안은 지구 대기에 산소가 존재하지 않았다. 질소와 이산화탄소뿐이었다. 생명체는 살아갈 수 없는 환경이었다. 이 시절에 최초로 광합성 메커니즘을 채택한 시아노박테리아가 있다. 시아노박테리아가 광합성을 할 때 분비되는 점액질에 바다 속 부유물이 달라붙어 층층이 쌓여서 오늘날 버섯 모양의 퇴적암 구조가 만들어진 것이다. 시아노박테리아가 만든 산소로 인해 대기 중의 산소 농도가 증가하기 시작하고, 이들이 성층권으로 올라가 오존층의 주요 성분이 되었다하니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는 시아노박테리아에게 고마운 마음을 잃지 말아야할 것이다. 카블라 포인트의 보존 상태가 훌륭한 점에 박수를 보낸다.

 

 

 

 

 

 

  ‘극한생물, 지구 밖에서도 살 수 있을까?’. 극한 환경에서도 종종 놀라운 생명체를 만나게 된다. 극한 생물이다. 화성에서 지구 생물이 살아가기 가장 어려운 점은 대기권이 없다는 것이다. 기압도 없다. 우주의 낮은 기압을 견딘 생물은 아주 작은 동물 밀네시움이다. 이 동물은 0.1~1.5 밀리미터 크기의 무척추 동물이다. 우리말 이름은 물곰이다

 

화성 운석 중에서 어떤 것은 생명체의 흔적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만약 외계지적생명체(또는 외계인)의 인공전파신호가 실제로 포착된다면 어떻게 될까? 익숙한 과학영화에서처럼 재앙에 가까운 사회적 혼란이 일어날지도 모른다. 그러나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사회적, 종교적 혼란이 일정 기간 지속되겠지만, 결국은 외계지적생명체를 우리의 자연스러운 우주 동료로 받아들이게 될 것이라는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한다

 

 

 어디선가, 굉장한 어떤 것이 알려지길 기다리고 있다.” 천문학자 칼 세이건이 한 말이다. 나 역시 내가 이 땅에 머무르는 동안 어느 때, 어디선가, 건조한 일상을 뒤흔드는 뭔가 굉장한 소식이 들려오길 기대해보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