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로사회
한병철 지음, 김태환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피로사회 】  _한병철 / 문학과지성사

 

피로는 넓은 마음을 가지고 있다.” 모리스 블랑쇼의 말이다. 무슨 뜻인가? 피로와 넓은 마음은 왠지 궁합이 안 맞아 보인다. 넓다는 말은 피로라는 단어가 광범위한 뜻을 내포하고 있다는 의미로 이해된다.

 

시선을 성과사회로 돌려본다. 모든 평가는 성과로 판단한다. 아무리 애쓰고 노력해도 결과가 신통찮으면 인정을 받을 수가 없다. 인센티브제도는 개인의 능력을 고무시키는 장점도 있지만, 성과에 도달하지 못할 때 무력감이나 좌절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 책의 지은이 한병철은 성과사회의 피로는 사람들을 개별화하고 고립시키는 고독한 피로라고 한다. 한트케가 분열적인 피로라고 부른 바 있는 그 피로라는 것이다. 피로는 폭력이라는 표현도 한다. 그것은 모든 공동체, 모든 공동의 사람, 모든 친밀함을, 심지어 언어 자체마저 파괴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치유의 방법은 없는 것일까? 지은이는 다시 한트케의 말을 인용한다. 한트케는 말도 못하고, 제대로 보지 못하는, 분열시키는 피로에 대한 대립자로서 말 잘하는, 보는, 화해시키는 피로를 내세운다. 이른바 착한 피로이다. 자아 피로가 고독한 피로이고 세계가 없는, 세계를 없애버리는 피로라면, 한트케의 피로는 세계를 신뢰하는 피로이다. “근본적 피로를 오히려 특별한 능력이라고 하는 점에 주목한다. 근본적 피로는 아무것도 할 능력이 없는 탈진 상태와는 전혀 관계가 없다는 이야기다. 오히려 영감을 주고, 정신이 태어나게 한다는 점에 대해선 생각할 거리를 제공해준다.



이 책은 시대마다 그 시대에 고유한 질병이 있다.”는 문장으로 시작된다. 의학이 발달하면서 규명해낸 박테리아나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의 시대를 지나, 이젠 신경증적인 질병들이 만연하고 있다. 이를테면 우울증,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경계성성격장애, 소진증후군 등이 21세기 초의 병리학적 상황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주목하면서 지은이는 독특한 해석을 내린다. “이들은 전염성 질병이 아니라 경색성 질병이며 면역학적 타자의 부정성이 아니라 긍정성의 과잉으로 인한 질병이다. 따라서 타자의 부정성을 물리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면역학적 기술로는 결코 다스려지지 않는다.”



지은이는 여러 사상가들과 작가들의 견해를 소개하고 비평하며 독자들의 사유를 이끌어주고 있다. 로베르토 에스포지토의 면역성 이론, 보드리야르의 ()의 계보학, 알랭 에랭베르의 우울증, 니체의 주권적 인간, 한나 아렌트의 활동적 삶등과 허먼 멜빌의 단편 필경사 비틀비, 카프카의 단식곡예사등의 문학작품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담고 있다. 책의 후반부엔 피로사회에 개진된 생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강연 원고 우울사회를 통해 피로사회를 보완해준다. 지은이가 언급하는 21세기 대표 질병인 소진증후군이나 우울증 같은 심리 질환들이 모두 자학적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에 공감한다. “사람들은 자기에게 폭력을 가하고 자기를 착취한다. 타자에게서 오는 폭력이 사라지는 대신 스스로 만들어낸 폭력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그러한 폭력은 희생자가 스스로 자유롭다고 착각하기 때문에 더 치명적일 수 있다.”

 

 

#피로사회 #한병철 #문학과지성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