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의 망상
루퍼트 셸드레이크 지음, 하창수 옮김 / 김영사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 과학의 망상 】
_루퍼트 셸드레이크 (지은이) | 하창수 (옮긴이) | 김영사
| 원제 The Science Delusio
과학은 전문분야이다. 과학의 영역에서 나오는 이론이나 주장들이 과학의 영역에서 분별되지 못하고 세상에 나오게 되면, 과학의 영역 이외의 사람들(과학도 분야가 다르면 역시 마찬가지다)은 여과과정 없이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 반박할만한 지식과 자료가 없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제목은 사뭇 도전적이다. ‘현대과학이 착각하는 믿음에 대하여 《과학의 망상》’이라고 되어있다. 이를 다시 내 맘대로 고친다면, ‘현대의 과학자들이 갖고 있는 잘못된 믿음, 과학자들의 망상’이라 고치고 싶다. 이 책의 지은이 역시 과학자인 만큼 과학자라는 표현보다는 ‘과학’으로 이름 붙였겠지만, 과학이 무슨 죄가 있나? 과학자들의 오류와 독단이 문제이다. 이 책 《과학의 망상》은 현대 과학이 영원불변하다고 확신하는 10가지 도그마에 질문을 던져 과학의 새로운 가능성의 길을 열어주고 있다. 내부고발서 같은 느낌도 든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당연시하는 열 가지 핵심적인 신념 중 몇 가지를 들어본다. ‘모든 것은 본질적으로 기계적이다’, ‘물질과 에너지의 총량은 항상 일정하다’, ‘자연의 법칙들은 고정되어 있다’, ‘정신은 뇌 안에 들어있으며, 뇌의 작용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텔레파시처럼 설명할 수 없는 초자연적인 현상은 환각에 불과하다’, ‘기계적 의학은 실제 작동되는 유일무이한 의학이다’ 등등이다. 지은이는 이와 같은 독선들에 자신의 생각을 담고 있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자연의 법칙이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예전에도 지금과 마찬가지였으며, 앞으로도 영원히 그럴 것이다.” 지은이는 ‘자연의 법칙’들은 불변하지만 우주는 진화한다는 생각은 ‘진화론적 우주론이 생겨나기 이전의 우주론’이 남겨놓은 추론이라고 한다. 법칙들은 스스로 진화하거나, 어쩌면 습성에 더 가까울 수도 있다는 이야기다. “살아남은 것들은 새로운 습성이 형성됨에 따라 또다시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지며, 반복을 통해 그 가능성들은 점점 더 습성화된다.”
“초자연적인 현상은 환각일까?” 살아가면서 텔레파시, 이심전심의 경우를 한 번도 느껴보지 못한 사람이 있을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텔레파시를 경험한 적이 있다고 표현한다. 텔레파시는 대체로, 엄마와 자녀들이나 배우자들, 혹은 친한 친구들처럼, 친밀한 관계를 맺은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난다. 시간과 거리는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물며 공동체를 이루는 동물들도 멀리 떨어진 구성원들과 텔레파시를 통해 접촉을 유지한다는 보고도 있다. 예상했던 대로 지은이는 텔레파시에 긍정적이다. “인간의 예감은 보통 꿈에서 일어나거나 직관을 통해 일어난다. 인간의 예감에 대한 실험 연구에서, 미래의 감정적인 사건들이 탐지 가능한 생리적 효과를 만들어내기 위해 시간이 흐르는 반대방향으로 ‘거슬러’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은이는 과학이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과학의 미래’를 이야기한다. 19세기 이후 과학을 지배하던 유물론적 이념은 낡은 시대의 유물이라는 것이다. 필수적 교리들 전부가 교체되고 있다. 과학의 권위적 구조, 객관성이라는 환상, 전지전능한 과학이라는 환상은 과학이 지닌 유용성을 완전히 잠식해버렸다. 따라서 과학이 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지금의 세계는 전과는 다른 세계이기 때문이다. “과학이 본질적인 답들을 알고 있지 못하다는 인식은 오만보다는 겸손을, 독단보다는 개방을 이끌어오게 한다. 발견되어야 할 것들, 재발견되어야 할 것들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 지혜를 포함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