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RAIN) - 자연.문화.역사로 보는 비의 연대기
신시아 바넷 지음, 오수원 옮김 / 21세기북스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RAIN) - 자연. 문화. 역사로 보는 비의 연대기

_신시아 바넷 (지은이) | 오수원 (옮긴이) | 21세기북스 | 2017-07-21

| 원제 Rain: A Natural and Cultural History

 

 

Rain A to Z

   

 

다르면서도 같은 것이 되어 땅으로 내려와 가뭄과 미물과 먼지를 씻어낸다. 이 모든 것들, 나 없이는 태어나지 못할 생명의 씨앗이었을 뿐, 나는 내 모태인 대지에 밤낮으로 영원히 생명을 되돌려준다.” _월트 휘트먼 비의 음성

 

 

이 책의 지은이 신시아 바넷은 전 세계 곳곳의 수질과 기후에 대해 탐사 및 보도 활동을 해온 환경전문 저널리스트로 소개된다. 이번 작품을 포함하여 지은이의 저서들은 모두 물 부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에서 출발한다. 세 번째 저작인 이번 에선 물의 근원인 비와 인류의 관계를 지구가 형성된 시기부터 선사 및 역사 시대를 가로지르며 파노라마 형식으로 엮은 비에 대한 모든 것이다.

 

 

최근 화성탐사선이 보내 온 사진을 통해 화성에 물이 있었던 흔적이 보인다는 소식에 관심이 가기도 했다. 물이 있다면 생명체가 있다는 이야기 아닌가? 현대의 과학자들은 태양계에서 물을 갖춘 습한 행성으로 발전한 천체가 지구만은 아니었다는 증거를 제법 갖고 있다.

 

 

지은이는 이 책에서 비와 인류의 역사를 시작으로 비와 과학, 자연, 문화 그리고 비와 지구 그리고 우리를 이야기한다. 최악의 가뭄과 마찬가지로 최악의 홍수도 대개는 수십 또는 수백 년간 지속되던 것들이었다. 비는 색채와 생명력의 원천이지만 너무 오랜 세월 동안 내리는 다량의 비는 곰팡이, 부패, 빠질 줄 모르는 불어난 물, 모기떼, 열병, 셰익스피어의 맥베스에 영감을 주는 공포 등 불길한 어둠으로 끝이 난다. 유럽의 중세시대야말로 오랜 비 때문에 파멸을 겪은 시기였다. 당시 유럽은 인류 역사상 가장 극심한 폭우 중 하나를 겪으며 초토화됐다.

 

 

그런가하면, 폭풍우를 사랑한 예술가들이 있다. 역사상 가장 유명한 음악의 비는 프레데리크 쇼팽의 전주곡 15번 작품번호 28을 통해 후드득 떨어진다. ‘빗방울 전주곡이라는 별칭이 붙은 작품이다. 쇼팽은 스물네 개의 전주곡중 가장 긴 이 곡을 1838년 마요르카 섬의 한 수도원에 머물면서 썼다고 한다. 비는 음악이나 다른 어떤 장르보다 운율과 은유에 적합하므로 시의 언어를 통해 말을 건넨다. 시를 모아놓은 선집들을 보면 는 물론이거니와 4월의 비, 5월의 비, 8월의 비, 정오의 비, 밤비, 그리고 런던의 비 등등 제목에 비가 할애된 경우가 끝없이 등장한다. 롱펠로는 가장 유명한 비의 후렴구를 쓴 것으로 유명하다. ‘비오는 날(The Rainy Day)’의 마지막 구절이다. “누구의 인생에나 비는 반드시 내린다/ 어둡고 음울한 날은 반드시 오리니

 

 

기후변화는 인류를 공포의 도가니로 몰아넣어 분열시킨다. 많은 사람들은 아예 기후변화 이야기를 회피하려 한다. 그러나 비에 관한 이야기만큼은 예외다. 사람들은 누구나 비 이야기를 하고 싶어 한다. 비에 관한 대화는 아무리 나누어도 모자라는 투다. 비는 소통으로 가는 입구다.”

 

 

이 글을 쓰는 지금, 마치 마른하늘에 날벼락처럼 천둥 번개가 치며 비가 내린다. 소나기다. 어지간히 달궈져있던 대지가 샤워를 한다. 비 소식이 있었던가? 모르겠다. 어쨌든 비 오고 난 후엔 이 치열한 더위도 한풀 꺾이지 않을까? 빗소리가 음악처럼 들린다. 천둥이 추임새를 넣는다.

 

 

#Rain ##비의연대기 #신시아바넷 #21세기북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