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권으로 끝내는 초등학교 입학 준비 - 초등 교사가 알려주는 학교 적응 노하우, 개정판
김수현 지음 / 청림Life / 2015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한 권으로 끝내는 초등학교 입학 준비

        _김수현 저 / 청림Life

 

 

1.

곧 입학시즌이다. 특히 초등학교 자녀를 학교라는 공간에 내보내야 하는 부모의 마음은 하루하루 입학일이 다가올수록 생각이 교차될 것이다. 기대감과 불안감이 뒤섞여 있을 것이다. 내 아이가 잘 적응하려나? 좋은 친구들을 만나야 할텐데..담임선생님과의 관계는 어떻게 유지해야할까? 등등.

 

2.

이 책의 저자 김수현은 초등학교 시절부터 장래희망이 늘 '초등학교 선생님'이었다고 한다.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서울교대에 진학하여 실제로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었다.

 

3.

첫 아이가 취학을 앞둔 경우, 엄마들은 학교생활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다고 봐야한다. 단편적으로 듣는 정보 갖고는 너무 많이 부족하다. 엄마들에게 초등학교 시절은 아주 오랜 옛날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4.

저자는 수차례 일학년을 담임하면서 느꼈던 '제대로 된 입학준비'란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하고자 이 책을 썼다.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아이와 부모가 알아야 할 것을 모두 이 한 권에 담았다고 한다. 친구들에게 인기 많고 선생님께 사랑받는 아이들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 학교에 부적응하는 아이들의 문제는 무엇인지, 실제 교실 속에서 빛을 발하는 선행학습은 무엇인지 등을 속 시원하게 알려주고 있다.

 

5.

아이가 이미 1학년을 넘겼거나 초등 고학년으로 올라갔어도 남은 학년들을 잘 마무리하게 위해 읽어봄직하다. '교과 공부를 어느 정도 준비해서 학교에 보내야 하는가?'에 대한 궁금점도 풀어준다. 특히 바뀐 통합 교과서에 발맞춰 국어와 수학 등 교과과목을 어떻게 준비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친절한 설명도 담겨있다.

 

6.

책은 총 8장으로 구성된다. '학교는 성실한 학생을 원한다.' '사랑받는 아이는 따로 있다.' '교과 공부 준비는 엄마 손에 달렸다.' '1학년 학교생활, 아는 만큼 보인다.' '학교에 적응하지 못하는 우리 아이, 이유가 있다.' '엄마의 손길이 닿은 아이는 다르다.' '우리 아이 유형을 알면 지도가 쉽다.' '교실에서 볼 수 있는 남자 유형 & 여자 유형.' '엄마들이 궁금한 우리 아이 학교생활 Q & A.'

 

7.

'성실'이라는 단어를 싫어하는 부모는 없을 것이다. 부모는 비록 부족한 부분이 있다는 생각이 들지 몰라도 내 아이만큼은 학교에서 사회에서 '성실하다'는 말을 듣길 원할 것이다. 그러나 초등학생 아이는 그 성실함이 가정에서 부모에서 형제자매들에게서 자연적으로 묻어 나오는 향이 되어야할 것이다. 아이들의 성실함은 친구들 간에도 금방 표가 나는 부분이기에 초등 6년이라는 기간 동안 아이의 이미지로 굳어질 수 있다.

 

8.

" '성실함'. 많은 엄마들이 공감하는 부분이지만, 막상 엄마들은 아이들에게 지식을 넣어주려는 교육은 해도, 성실한 아이로 키우려는 노력은 그다지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스토리텔링 수학동화는 읽히려 하지만, 성실한 아이로 키우려는 노력은 하지 않지요. 각종 스킬을 알려주는 미술학원에는 보내도, 성실한 아이로 키우기 위한 고민은 하지 않습니다. 아마도 사교육 시장에서 '성실'이라는 아이템은 광고하여 판매하지 않기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9.

'칭찬'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보면 책 몇 권의 분량이 나올 것이다. 성인에게서도 '칭찬'이 약이 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사실 내가 먹고 싶은 약이지 남에게 주고 싶은 약은 아니다.

약은 나눠먹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서 말이다. 아이들에겐 '칭찬'이 종합비타민이다. 저자 역시 '칭찬'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를 조곤조곤 들려주고 있다. 아이들은 칭찬에 목이 마르고, 배가 고플 것이다. 저자가 아이들에게 칭찬을 해주는데 그 효과가 차이가 나는 것을 느꼈다고 한다. 왜 그럴까? 그 이유는 가정에서 칭찬을 받아보았던 아이와 그렇지 못했던 아이의 차이라고 한다.

 

10.

아빠들이 들어야 할 이야기가 있다. 기억을 더듬어보면 사실 나도 내 아이를 초등학교에 입학

시킨 후 별로 관심을 못 가졌던 부분이다. 저자는 아빠의 육아 참여는 아이가 학교에서 적당한 사회성을 발휘할 수 있게 해주는 원동력이라고 표현한다. 아빠가 지나치게 권위적이고, 칭찬보다 훈육을 많이 했다면, 그 아이는 성인남자를 지나치게 두려워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특히 학교에서 남자 담임선생님을 만나게 되면, 아이는 학교생활에서 편안함 대신 두려움을 느낀다는 것이다. 질문을 하거나, 선생님에게 긴급한 도움이 필요한 상황에서 아이는 주저주저하다가 시간과 기회를 흘려보낸다고 하니... 아빠들이여 명심하길~!!

 

11.

마지막 챕터인 '엄마들이 궁금한 우리 아이 학교생활 Q & A 37 문항은 '이럴 땐 어떻게?' 에 도움이 될 내용이라고 생각한다. 저자는 책을 이렇게 마무리한다. "좋은 엄마가 되는 길은 아이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많이 주는 엄마입니다. 아이가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엄마가 좋은 엄마입니다. 그 분야와 방식이 어떤 것인지는 각자의 소신과 판단이겠지요. 그 소신과 판단을 세우는 데에 이 책이 작은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그러면 저는 교사로서 또 하나의 행복을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