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걸스
에마 클라인 지음, 정주연 옮김 / arte(아르테) / 2016년 10월
평점 :
절판


 

9


 

더 걸스 에마 클라인 저/정주연 역 | arte(아르테) | 원제 : THE GIRLS

 

 

 이미 중년기에 접어든 이비는 우연찮게 십대 아이들과 함께 한 지붕 밑에 있게 되면서, 자신의 십대 시절을 회상한다. 1969년 남부 캘리포니아. 약물과 폭력, 반전운동이 한참 기세를 떨치던 그 시절. 이비의 십대 시절을 암울함 그 자체였다. 무엇이 되고 싶은지도 몰랐고, 그 무엇이 되고 싶지도 않았다. 그저 그 시류에 몸을 던질 뿐이었다.

 


웃음소리가 나서 쳐다보았는데, 소녀들 때문에 계속 보게 되었다." 

이비는 한 무리의 컬트 집단 소녀들을 보게 된다. 길고 엉클어진 머리카락, 햇살을 붙드는 장신구가 먼저 눈에 들어왔다. 소녀들은 공원에 있는 어느 누구와도 다른 존재감들이었다. 이비는 소녀들을 대 놓고, 아주 넋을 놓고 뜯어보았다. 그 애들이 내 쪽을 볼 것 같지도, 그녀한테 신경을 쓸 것 같지도 않았기에 뚫어져라 보고 있었다. 그 중에서 특히 (나중에 이름을 알았지만) 수전이라는 소녀에게 시선이 꽂혔다.

 

혼자가 된 이비의 엄마는 새롭게 바쁘다. 남자 친구가 생겼다. 나중에야 그 때의 엄마를 이해하게 된다. “아빠와 산 15년이 엄마의 인생이 큰 공백을 남겼고 엄마가 그것을 메우는 법을 배우고 있었다는 것을. 자동차, 식탁, 연필 같은 단어를 다시 배우는 뇌졸중 환자들처럼, 거울의 신탁을 받으며 수줍게, 청소년처럼 투덜거리며 기대에 들떠 자기 모습을 뜯어보던 엄마. 배를 밀어 넣고 새 청바지의 지퍼를 올리던 엄마를.”

 

그해 여름, 나는 열네 살이었고 수전은 열아홉이었다. 나는 그녀의 모든 것이 부러웠다결국 이비는 이들의 무리에 합류한다. 그리고 사회를 떠들썩하게 만든 큰 사건에 휘말리기 직전에 혼자가 된다. 이 소설의 작가 에마 클레인은 소설의 모티브를 실제 사건에서 빌려왔다. 1969년 찰스 맨슨과 그를 추종하던 소녀들이 저지른 끔찍한 살인사건.

 

그는 궁지에 몰린 깡마른 여자들, 대학을 다 마치지 못한 아가씨들, 자식에게 관심 없는 부모와 끔찍한 직장 상사가 있는 코 성형을 꿈꾸는 여자들을 혹하게 했다. 그런 여자들이 그의 봉이었다. 낡은 소방서 건물에 들어선 시설에서 그는 추종자들을 끌어 모았다. 그는 이미 슬픈 여자 전문이었다.”

 

작가는 소설의 초점을 가 아닌, ‘소녀들에게 맞춘다. 소녀들에겐 무언가 빈 가슴을 채워주길 원하는, 상실된 마음을 공유할 수 있는 공동체가 필요했을지도 모른다. 전개되는 이야기는 결코 밝지 않다. 어둡다. 그러나 그들을 이해한다. 성장기 소녀들의 혼란, 불안정감, 두려움, 동경, 성적욕구 등이 작가의 의식을 통해 담담히 그려진다.

 

주인공 이비에겐 그 치열했던 십대의 시절을 겪은 트라우마가 큰 상처로 남게 된다. 세상과 거리를 두고 살아가는 그녀에겐 터닝 포인트가 필요했다. 우연히 만나게 된 한 소녀를 통해 그녀는 기이한 컬트 집단에 들어가기 전 모습으로, 자신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고 싶었다. 그러나...

 

초고 상태에서 36개국 판권이 판매되고, 영화화 판권 선 판매 등 미국 현지에서 출간 전부터 엄청난 화제를 불러일으킨 작가의 데뷔작이다. 이 책에 쏟아지는 세계의 일간지나 저널의 찬사가 대단하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 소설의 가장 놀라운 점은 충격적인 사건의 선정적인 측면을 그리는 것을 신중하게 피했다는 것이다. 대신 기묘한 두려움과 황폐함, 멈칫한 욕망의 분위기를 감각적인 표현 방식으로 드러냈다.” 오스틴 크로니클은 호밀밭의 파수꾼을 연상시킨다. 미국 문학의 본질을 보여주는, 새로운 고전이 될 작품.”이라 평했다.

 

사춘기 소녀들의 흔들리는 자아와 정체성을 슬프지만, 진솔하게 그려내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