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근대성들 - 중국, 베트남, 한국 그리고 세계사의 위험성 동아시아와 그 너머 6
알렉산더 우드사이드 지음, 민병희 옮김 / 너머북스 / 2012년 12월
평점 :
품절


 

 

잃어버린 근대성들알렉산더 우드사이드 / 너머북스

 

 

1. 일찍이 헤럴드 퍼킨은 동아시아의 과거(科擧)제도를 인류의 세 번째 혁명이라고 표현했다. “직업적 엘리트에 의해 귀족제가 대체된 것이라는 평가와 함께 세습적 권력이 아닌 인재들의 교육을 바탕으로 한 통치를 현실에 실현하기 위한 오랜 노력의 결실이라고 언급했다.

 

2. 독재정권의 영향을 받긴 했어도 개인의 능력에 따라 공정하게 사회적 지위와 권리를 갖는 능력주의는 과거 한국과 중국, 베트남에서 천 년을 넘게 유지, 발전 시켜왔던 관료제이다.

 

3. 우리에겐 너무 자연스러운 일이 세계사의 측면에선 의외의 일로 받아들여졌던 모양이다. 하긴 유럽사회는 1차 세계대전까지 귀족주의적인 세습적 권력을 바탕으로 한 통치가 유지되었던 사회다. 버트런드 러셀이 1922중국인의 문제라는 책에서 중국이 오래된 낡은 제도와 관습에서 벗어나길 충고했을 당시만 해도 여전히 영국은 세습적인 상원이 존재하고 있었다. 또한 러셀 자신도 귀족 출신으로서 여전히 귀족적 원칙이 지배하는 사회에서 살았다.

 

4. 오늘날의 세계는 기존의 근대혹은 전근대(전통)’라는 구분이나 동아시아적혹은 서구적이라는 구분이 점차 모호해지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 책은 바로 이러한 관점에서 근대와 근대성의 문제에 대해 더욱 근원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5. 인류사는 오직 근대에 그 이전의 시기와 완전히 다른, 또는 돌이킬 수 없는 혁명적인 변화를 경험했는가? 더 나아가 우리가 근대와 전근대를 이분법적으로 나누어 보는 시각 자체가 과연 인류사를 이해하는데 유효한 것인가?

 

6. ‘중국, 베트남, 한국 그리고 세계사의 위험성이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이 책 잃어버린 근대성들근대의 시간표 다시 보기라는 도입부를 시작으로 중국식 관료제에 질문을 던지다’, ‘능력주의 사회의 이면’, ‘복지의 꿈 그리고 현실’, ‘중국식 관료제와 경영이론의 위험한 만남등으로 이어진다.

 

7. 이 책은 지은이가 2001년 하버드 대학의 라이샤워 강연에서 강의한 원고를 수정하여 2006년에 출간한 것이다. 그 강연은 라이샤워 교수(1910~1990)의 동아시아 연구에 대한 공헌을 기념하기 위해 하버드 대학교에서 1985년부터 매년 동아시아와 세계의 관계와 유대에 대한 주제로 이 분야의 최고 권위자들을 초청하여 개최하고 있다.

 

 

 

 

 

8. “산업화 이전 시기의 중국, 베트남, 한국의 정체(政體)에서 과거제와 그것에 기반을 둔 정부는 인격의 균열을 초래했다. 정치사의 정수(精髓)만을 기술한 역사가들은 이 세 정체들이 지닌, 공존하기 힘든 요소들의 위태로운 결합을 놓치고 있다. , 한편으로는 행정적 유용성과 채점관의 권위와 같이 암묵적이면서 비가족적인 권위에 대한 신뢰가 강조되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유용성이 아닌 유가적 덕성에 대한 신뢰와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권위의 윤리적 우월성이 아니라 친족의 위계 또는 친족관계를 가장한 윤리적 우월성이 자리하고 있었던 것이다.”

 

 

 

 

 

 

 

9. 지은이 알렉산더 우드사이드 교수는 중국사, 동남아시아사, 비교사의 권위자로 방대한 사료에 대한 꼼꼼한 고증과 사회과학적인 분석력을 바탕으로 아시아의 경험을 보다 보편적인 이론으로 구성하는 가능성을 추구해 온 학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