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학에 관한 모든 것
파스칼 보니파스 지음, 정상필 옮김 / 레디셋고 / 2016년 7월
평점 :
절판


 

지정학에 관한 모든 것 】    파스칼 보니파스 / RSG(레디셋고)



지정학(地政學, geopolitics)은 인문지리학의 원리를 적용하여 국제정치를 분석하는 학문분야이다. 국가의 국제적 행위를 자연 자원의 필요, 인구증가로 인한 더 넓은 국토의 필요, 바다에 이르는 통로의 필요 등과 같은 지리적, 경제적 또는 인구학적 요인의 결과로 본다. 이 용어는 스웨덴의 정치학자 J. R. 셸렌이 1916년 국가이론 5체계를 설명하면서 사용했다.

 

오늘날의 국제정세와 질서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정학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우선이다. 냉전, 데탕트, 양극화 이후의 세계 등으로 서술된 이 책은 1945년 이후 국제관계의 드라마를 보여준다. 많은 지도와 연대표, 쉬운 용어를 사용해서 복잡하고 방대한 현대 세계사를 조망하는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

 

이 책의 지은이는 프랑스의 대표적 지성, 프랑스 국제관계 전략연구소(IRIS)소장으로 소개된다. 지은이는 이 책을 통해 지구상에 일어난 다양하고 굵직한 사건들을 연속성의 맥락에서 재배치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는다. 특히 협력과 대립에 주목한다. 유럽의 몰락, 미국과 소련의 등장, 소련의 붕괴 등 1945년 이후의 국제관계를 거시적으로 다룬다.

 

양극화 세계는 매우 뚜렷하게 구별되는 두 가지 국면을 지니고 있다. 냉전데탕트이다. 모스크바와 워싱턴으로 대표되는 냉전의 시기는 1946~47년에서 1962년까지 보는 것이 정설이다. 세계를 이질적으로 만든 두 개의 대립된 시스템이 등장한 것이다. 이 이질성이 지구상에 진정한 평화를 불가능하게 만드는 원인 제공을 한다.

 

지은이는 데탕트화합에 대한 환상이라고 이름 붙였다. 데탕트는 유로 미사일 위기,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과 함께 1970년대 말까지 동서관계의 특징을 드러낸다. 데탕트는 긴장의 완화를 뜻하지 화합을 한다는 의미가 아니라는 것이다. 역사학자 레이먼드 가소프에 의하면 화합이란 어떠한 적대감도 없는 파트너들 세계에서 이뤄지는 공동경영이라고 이야기했다. 화합의 진정한 의미를 잘 표현해주는 말이다. 데탕트가 가능했던 것은 소련이 자신감에 넘쳐 있었고, 미국은 상대적으로 하향세여서 국제사회의 문제를 독단적이고 일방적으로 처신할 수 없다는 사실을 간파했기 때문이다.

 

일부 국가들이 핵무기를 포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국가에 따라 핵무기를 포기하는 이유는 다양할 것이다. 일부 국가들은 재정적, 산업적 기반이 없기 때문에 핵무기의 세계에 진입하지 못하는 것이 우선이 될 것이다. 워싱턴이나 모스크바에 안보를 의지하고 있는 다른 일부 국가들은 공연히 잠자는 사자의 코털을 건드릴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핵개발은 꿈도 못 꿀 것이다. 또 다른 국가들은 주변국들을 부추길 위험이 있는 핵무기 개발 경쟁을 포기하면 상대적으로 더 큰 의미의 안보를 얻어낼 수 있다고 판단했다. 핵 억제력의 개념에 반대 의견을 보이는 또 다른 일부 국가들은 자신들의 원칙에 따라 논리적 선택을 한 것이다. 지은이는 만약 모든 국가가 핵무기를 갖거나 너무 많은 국가들이 핵무기를 보유한다면 부정확한 계산 또는 무기고의 관리 실패로 인한 우발적 핵전쟁 발발의 위험은 더 커질 것이라고 경고한다.

 

요즘 국제 정세에 관해 안 좋은 외신을 접할 때마다 도대체 이 세계는 도대체 어디로 향하고 있는가?를 염려하지 않을 수 없다. 유럽연합과 세계경제를 들었다 놨다하는 최근의 브렉시트사례만 해도 그렇다. 정보와 분석은 차고 넘치지만, 그 중에서 어떤 것이 진정성을 갖고 있는지 선별하기 힘들다. 그 이유는 바로 눈앞에서 벌어지는 일에만 초점을 맞추는 근시안적인 생각이 지배적이기 때문이 아닐까? 대한민국의 상황도 지정학적 견지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 남북 간의 갈등 역시 지정학적 관점에서 풀어나가야 할 것이다. 지은이는 이념으로 구분되는 각 나라간의 대립 구도는 그 개념이 바뀌었을 뿐 사라진 것이 아니라고 한다. 설령 핵전쟁의 위험이 사라진다고 해서 대립 구도마저 자취를 감추지 않을 것이라는 이야기다. 오히려 뚜렷하게 남아 있을 것이다. “인류를 짓누르는 중대한 위협에 적절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대응하기 위해 결국 단 하나의 길이 있을 뿐이다.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고 지구 온난화에 대항하며 보편적 인권을 보호하고 모두의 의식주가 보장된 체제를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 그곳에 이르지 못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