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에 대한 반론 - 생명공학 시대, 인간의 욕망과 생명윤리
마이클 샌델 지음, 김선욱.이수경 옮김 / 와이즈베리 / 201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벽에 대한 반론 】       마이클 샌델 / 와이즈베리

 

 

급변하는 세계의 면모는 이미 모든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생명공학분야의 발전과 변화는 명암이 분명하다. 그래서 더욱 차분하고 냉정하게 생각해봐야 한다. 그것이 인류의 삶과 행복에 얼마나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인가? 단지 보이지 않는 거대한 손에 의해 연출되는 (대부분은 경제적 논리가 숨어있는)욕망에 불과한 것인가를 따져봐야 한다.

 

 

책의 서두는 한 청각장애인 부부의 이야기로 시작된다. 생명공학과는 다소 거리가 있는 스토리지만, 이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담론이 될 만한 내용이다. 청각장애인 부부는 아이를 갖기로 결정한다. , 소리를 듣지 못하는 아이를 원했다. 레즈비언 커플인 두 사람은 청각장애 자녀를 갖기 위해, 5대째 청각장애를 갖고 있는 가족 출신인 정자 기증자를 찾아냈다. 그리고 그들의 바람은 현실로 이뤄졌다. 그들의 아들은 청각장애로 태어난 것이다. 이들 부부는 그들의 청각장애를 치료해야 할 장애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하나의 문화적 정체성이라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듣지 못하는 것은 그저 삶의 방식일 뿐이다. 우리는 소리를 듣지 못하지만 스스로 온전하다고 느끼며, 청각장애인 공동체의 훌륭한 소속감과 유대감을 아이에게도 느끼게 해주고 싶다. 우리는 귀가 들리지 않아도 진정 풍요로운 삶을 누리고 있다.” 고 그들 부부는 이야기했다. 이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이와 다른 사례지만, 최상급 난자를 제공받기 위해 키가 175센티미터쯤에 탄탄한 몸매여야 하고 가족 병력이 없어야 하며 대학수학능력시험인 SAT점수가 1400점 이상이어야 한다는 광고를 내건 것은 또 어떤가? 이 광고엔 요건을 충족하는 난자 제공자에겐 5만 달러(한화로 약 5900만원)를 주겠다고 쓰여 있었다. 물론 이런 사례엔 찬반양론이 뜨겁다. 스토리는 애완동물 복제이야기로 이어진다. 그러나 진짜 염려되는 것은 인간 복제이다.

 

 

생명공학은 인간의 근육강화, 기억력 강화. 신장 강화, 성별 선택 등에서 시작됐다. 이들 기술은 모두 처음에는 질병 치료나 유전적 질환 예방을 위한다는 동기에서 비롯됐지만, 이제는 신체 기능 개선(이 정도는 그래도 봐줄만하지만)이나 생명윤리적인 측면에서 판단이 흔들린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켜주는 쪽으로 방향을 잡고 있으니 문제가 되는 것이다. 우려되는 것은 새로운 유전학적 지식이 자연으로서의 우리 모습을 마음대로 조작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는 사실이다. 이런 생각도 든다. 자연적으로 태어난 인간과 생명공학적 조작이 개입된 인간은 감기가 들어도 치료 방법이 달라야하지 않을까? 만들어진 인간의 숫자가 더욱 늘어나고 그들이 각기 다른 생체학적 기질을 갖고 뒤섞여 살아간다면 과연 어떤 세상이 될 것인가? 나는 개인적인 상상만으로도 버겁다. 내가 이 땅에 살아있는 동안은 그렇게 염려할 일이 아니야 하고 넘어가야 할까? 나몰랑~하면 그만일까?

 

 

마이클 샌델의 저서는 정의란 무엇인가, 돈으로 살 수 없는 것들이 잘 알려져 있다. 최근 정치와 도덕을 말하다(20164, 와이즈베리)가 국내에서 번역 출간되기도 했다. 이 책 완벽에 대한 반론2010년에 생명의 윤리를 말하다(동녘)로 국내에 첫 출간된 후 이번에 개정판으로 나왔다. 마이클 샌델이 대통령생명윤리위원회에 참여했던 경험과 하버드대에서 윤리와 생명공학이란 주제로 강의한 내용을 정리한 것이다. 샌델은 이 책에서 유전공학 기술을 이용해 완벽해지려는 것에만 목숨을 거는 인간의 충동적 욕구에 대해 반론을 든다. 이 책이 나온 후 뉴리퍼블릭편집인이자 칼럼니스트인 마이클 킨슬리는 이런 말을 남겼다. “샌델 교수가 지적한 대로, 우리는 도덕적인 이해가 과학의 속도를 따라잡지 못하는세상에 살고 있다. 그러나 샌델 교수 덕분에 도덕적인 이해가 진일보하게 되었다. 인간 복제와 줄기세포 연구, 유전학적으로 강화하려는 노력에 우리는 왜 곤란함을 느껴야 하는가? 이 책이 그 답을 들려줄 것이다.” 도덕적인 이해와 과학의 속도는 더더욱 벌어졌다. 아마 눈에 보이지도 않을 것 같다. 우리는 샌델의 염려가 더욱 현실화되고 가시화(可視化)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다음 세대를 위해 우리는 어떤 마음으로 앞에 놓인 숙제를 풀어주며 나갈 것인가를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다. 우리 아이들에게 숙제만 잔뜩 남겨 주고 갈수는 없지 않은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