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샘터 2016.2
샘터 편집부 엮음 / 샘터사(잡지) / 2016년 1월
평점 :
품절
冊 이야기 2016-027
【 샘터 】 2016-2월호 (시샘달)
어느덧 2월 중순도 넘어섰습니다. 음력설을 보내고 난 후라 그런지 요일, 날짜 감각이 둔해진 듯합니다. 지금이 넷째 주(21~27일)인줄로 아는 사람도 많더군요. 2월의 우리말 표현은 ‘시샘달’입니다. ‘꽃샘추위가 있는 겨울의 끝 달’이란 뜻이랍니다. 아직 몸과 마음을 놓진 못하겠으나, 겨울의 뒷모습이 보이는 듯합니다.
「샘터」 2월호에도 좋은 글, 따뜻한 글이 많이 실려 있군요. ‘이달에 만난 사람’은 건축가 승효상입니다. 그는 2014년부터 서울시 총괄 건축가로 활약하고 있습니다. “모든 행정의 결과는 건축으로 나타납니다. 특히 서울처럼 1천 만이 사는 도시는 이런 결정을 해야 할 때가 많죠. 지난 세기에는 시장이 혼자서 다 결정 한 탓에 전혀 조화롭지 못하더군요. 전문가가 꼭 필요하다 생각했는데, 제가 맡게 될 줄은 몰랐습니다.” 그가 말하는 이상적인 건축은 나누는 공간에 있다. 공동체가 지속될 수 있게 하는 것이 건축이다. 그러니 좋은 건축가란 공공성을 위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해인 수녀님이 건강이 안 좋으시다는 이야기는 진작부터 들었습니다. 최근 수녀님은 잠시 어수선한 시간을 보내셨더군요. 위독하시다는 소문, 나아가서 돌아가셨다는 소문이 나돌았기 때문입니다. 해외에서 국내에서 사실 여부를 확인하는 전화가 교환실로 오기 시작했다지요. 더러는 수녀님이 직접 전화를 받기도 했답니다. 수녀님은 이런 글을 올리셨습니다. “이런저런 헛소문의 주인공이 되면서 나는 느끼는 게 많았다. 내가 죽었을 때 사람들이 어떤 반응을 보일지도 부분적으로나마 엿볼 수 있었다. 정말로 위독한 순간의 나를, 이 세상에서의 마지막 순간을 좀 더 자주 그려보게 되었다. 모든 것이 다 예측 불허이긴 하지만 내가 할 수 있는 준비를 미래 해두어야지 하고 다짐하는 계기도 되었다. 사랑을 많이 받는 만큼 갚아야 할 빚 또한 그만큼 많다는 깨달음과 함께!”.
섬진강 시인 김용택의 ‘나무’라는 시를 옮겨봅니다. 매우 좋습니다.
강가에 키 큰 미루나무 한 그루 서 있었지
봄이었어
나, 그 나무에 기대앉아 강물을 바라보고 있었지
강가에 키 큰 미루나무 한 그루 서 있었지
여름이었어
나, 그 나무 아래 누워 강물 소리 멀리 들었지
강가에 키 큰 미루나무 한 그루 서 있었지
가을이었어
나, 그 나무에 기대서서 멀리 흐르는 강물을 바라보고 있었지
강가에 키 큰 미루나무 한 그루 서 있었지
강물에 눈이 오고
강물은 깊어졌어
한없이 깊어졌어
강가에 키 큰 미루나무 한 그루 서 있었지 다시 봄이었어
나, 그 나무에 기대앉아 있었지
그냥
있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