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 탐독 - 나무 박사가 사랑한 우리 나무 이야기
박상진 지음 / 샘터사 / 2015년 11월
평점 :
冊
이야기
2016-002
【 나무
탐독 】
박상진
/
샘터
『나무
박사가 들려주는 나무 이야기』
1. ‘내가
특히 좋아하는 나무는 언덕배기에서 바다 쪽으로 길게 줄기가 늘어진 우묵사스레피나무 한 그루다.
나무를
공부하지 않은 사람들은 우묵사스레피나무란 이름이 생소할 것이다.
남해안과
섬 지방에 주로 자라며 잎 끝이 뾰족한 사스레피나무와 달리 잎 끝이 살짝 凹형으로
들어가 있다.’
그렇다.
내겐
참 낯선 이름이다.
우묵사스레피나무.
잎
끝이 凹자형으로
들어가 있기 때문에 오목사스레피나무 라고 이름붙이는 것이 정확할 것 같다.
2.
나무는
자신이 처한 환경을 탓하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자신이
뿌리 내린 곳이 돌밭이던,
모래밭이던,
진흙
속이던 간에 개의치 않고 그 자리에서 살아갈 궁리를 하리라 느껴진다.
다른
곳으로 옮겨볼까?
다른
나무처럼 변신해볼까?
하는
생각이야 해봄직도 하지만 결국 자신의 위치에서 있는 그대로를 받아들일 것이다.
3.
이
책의 저자 박상진 나무박사는 대학에서 전공으로 나무속의 세포를 들여다보는 일에서부터 나무와 첫 인연을 맺었다.
차츰
나무로 만들어진 문화재에 관심을 갖게 됐고,
해인사
팔만대장경판,
공주
무령왕릉의 관재 등 나무로 만들어진 문화재의 재질을 밝히는 일에 직접 관여할 수가 있었다.
‘생명이
다할 때까지 한자리를 지켜야 하는 나무는 이야기에 보탬이 없고 거짓이 없다.’
4.
이
책은 편의상 5부로
구성되었다.
‘나무,
찾아
떠나다’는
반평생 나무를 쫓아다니면서 느낀 일상의 이야기를,
‘나무,
새로움을
발견하다’에선
흔하디흔한 나무지만 우리가 그동안 몰랐던 새로운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고 있다.
‘나무,
추억을
기록하다’는
직접 경험한 추억의 나무들에 대한 단상이 중심이다.
‘나무,
역사와
함께하다’는
연구를 통해 밝혀낸 나무와 관련된 역사,
문화적인
사실들을 풀어냈다.
끝으로
‘나무,
그늘을
만나다’에선
나무를 통해 투영한 사람살이에 대한 생각들을 담았다.
5.
내가
개인적으로 좋아하는 나무들 중에서 특히 이팝나무 이야기가 흥미롭다.
나는
여러 해전 점심시간에 직장 근처 공원을 산책 하던 중 이팝나무 꽃을 보게 되었다.
무심히
바라보던 중,
꽃
더미 속에서 십자가 모양의 꽃 형태가 눈에 들어와서 폰 카메라에 담았던 적이 있다.
그
당시 개인적으로 그야말로 심신이 모두 피곤한 상태가 이어지고 있었다.
크리스천인
내겐 그 꽃 십자가가 주는 메시지가 가슴에 꽂혔다.
“엄살
부리지마라.
바닥만
쳐다보지 마라.
눈
들어 하늘을 봐라.
더
멀리 보아라.
그나저나
너 십자가에 달려봤니?”
그
뒤로 어디서든 이팝나무만 보면 그저 좋았다.
그때
그 생각이 나서 다시 힘을 얻곤 했다.
이팝나무는
5월이
주는 선물이기도 하다.
키가
20~30미터까지
자라고 지름도 몇 아름이나 되는 큰 나무다.
‘꽃마다
가느다랗게 넷으로 갈라지는 꽃잎 하나하나는 마치 뜸이 잘든 밥알같이 생겼다.
이들이
모여서 이루는 꽃 모양은 멀리서 보면 쌀밥을 수북이 담아놓은 흰 사기 밥그릇을 연상케 한다.’
이밥에
고깃국을 먹고 비단옷을 입으며 고래 등 같은 기와집에 사는 것이 소원이던 시절이 있었다.
비단옷과
고래 등 기와집까진 필요 없고,
이밥에
고깃국이라도 먹어보길 원하는 사람은 우리 이웃에도 여전히 있다.
이밥은
‘이(李)씨의
밥’이란
의미로 조선왕조 시대엔 벼슬을 해야 비로소 이씨인 임금이 내리는 흰 쌀밥을 먹을 수 있다하여 쌀밥을 ‘이밥’이라
했다.
이팝나무는
이밥나무에서 유래된 이름이다.
이팝나무는
육의 양식인 쌀과 인연이 있지만,
내겐
영적인 양식으로 다가왔다.
그
해 5월에.